설교/강해설교

고린도전서(1)

주님만 주님만 2023. 5. 6. 16:04

 

 

책망할 것이 없는 믿음

(고전1:1-9)

 

여러 해 전 성지를 순례하던 중에 그리스의 수도 아테네에서 고린도 운하를 지나 고린도에 갔을 때 바울의 발자취를 통해 깊은 감회에 젖었던 일이 있었습니다.

바울은 주후 오십이 년에 마케도냐를 지나 예루살렘으로 향하던 길에 처음으로 고린도를 방문하였습니다(행18:1).

고린도에서 브리스길라와 아굴라 부부를 만났는데 그날 이후 그들 부부의 충성심은 대단했습니다. 바울이 로마서에서 그들을 천거한 것을 보면, “내 목숨을 위하여 자기의 목이라도 내어 놓았다”(롬16:4)고 하였습니다.

또 에베소에서 보낸 첫 번째 편지에서 바울은 고린도 교회를 방문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유는 잘못된 교사로 인해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어느 때를 막론하고 지도자의 영향은 크지만 특히 영적인 지도자가 잘못되면 많은 사람이 실족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내 형제들아 너희는 선생 된 우리가 더 큰 심판받을 줄을 알고 많이 선생이 되지 말라”(약3:1) 하였습니다.

 

1. 발신자

“하나님의 뜻을 따라 그리스도 예수의 사도로 부르심을 입은 바울과 및 형제 소스데네는”(1절).

여기서 바울이 본서의 저자라는데 대해서는 새삼 언급할 필요가 없으나 소스데네에 관해서는 우리가 잘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행십팔 장 십칠 절에서 보면 그는 유대교의 회당장으로서 유대인들을 선동하여 바울을 고소하였는데 그때 갈리오 총독이 바울에 대해 국법을 어긴 일이 없으므로 재판하지 않겠다고 하자 소스데네는 헬라인들에게 구타당했던 일이 있었습니다.

그런 사람이 언제 어떻게 복음을 받아들여 바울과 함께했는지 궁금합니다. 다만 소스데네는 고린도에서 잘 알려진 회당장으로서 그의 개종이 유대인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쳤으리라 짐작할 수 있습니다.

 

2 수신자

“고린도에 있는 하나님의 교회 곧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거룩하여지고 성도라 부르심을 입은 자들과 또 각처에서 우리의 주 곧 그들과 우리의 주되신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을 부르는 모든 자들에게”(2절) 하였습니다.

1) 고린도 교회와

2) 동일한 믿음을 가진 모든 교회들입니다.

기억할 것은 하나님의 말씀은 불변의 진리이므로 어느 때, 또 어떤 특정한 사람에게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복음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거룩하여지고 성도라 부르심을 입은 모든 자를 구원에 이르게 하는 진리임을 믿어야 합니다.

 

3. 바울의 감사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에게 주신 하나님의 은혜를 인하여 내가 너희를 위하여 항상 하나님께 감사하노니”(4절).

목자로서는 은혜 가운데 있는 성도들을 대할 때 보다 더 큰 기쁨은 없을 줄 압니다.

“형제들이 와서 네게 있는 진리를 증거하되 네가 진리 안에서 행한다 하니 내가 심히 기뻐하노라 내가 내 자녀들이 진리 안에서 행한다 함을 듣는 것보다 더 즐거움이 없도다”(요삼서3-4).

“우리의 소망이나 기쁨이나 자랑의 면류관이 무엇이냐 그의 강림하실 때 우리 주 예수 앞에 너희가 아니냐 너희는 우리의 영광이요 기쁨이니라”(살전2:19-20).

저는 새벽예배 1부, 2부를 통해 내려주시는 하나님의 은혜를 감사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주님의 은혜는 갈급한 마음으로 사모하는 심령에 임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 모두 경성하여 은혜받는 성도들이 되어야 합니다.

“이는 너희가 그의 안에서 모든 일 곧 모든 구변과 모든 지식에 풍족하므로”(5절).

오순절 이후 예루살렘 교회에 일어난 변화를 보십시오.

1) 언어가 달라졌습니다.

방언으로 기도하고 또 담대하게 복음을 전하고, 베드로의 설교를 듣고 삼천 명, 오천 명이 가슴 치는 회개의 역사가 일어났던 것입니다.

“그들이 베드로와 요한이 기탄없이 말함을 보고 그 본래 학문 없는 범인으로 알았다가 이상히 여기며”(행4:13).

몇 해 전 구역을 맡은 어느 집사님 중에서 “목사님, 저는 배운 것이 없는데 하나님의 말씀만 전하면 은혜가 됩니다.”라고 했습니다. 그것이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은혜를 모르는 사람들은 “예수 믿는 사람은 말을 잘한다”고 하지요. 이것이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또 너희가 나를 인하여 총독들과 임금들 앞에 끌려가리니 이는 그들과 이방인들에게 증거가 되게 하려 하심이라 너희를 넘겨 줄 때에 어떻게 또는 무엇을 말할까 염려치 말라 그때에 무슨 말할 것을 주시리니 말하는 이는 너희가 아니라 너희 속에서 말씀하시는 자 곧 너희 아버지의 성령이시니라”(마10:18-20).

2) 지식이 풍족하였습니다.

이는 여호와를 아는 지식입니다.

“내 거룩한 산 모든 곳에서 해 됨도 없고 상함도 없을 것이니 이는 물이 바다를 덮음 같이 여호와를 아는 지식이 세상에 충만할 것임이니라”(사11:9).

이 진리와 은혜로 하나님을 섬겼습니다. 주의 은혜는 받는 자만이 알 수 있는 비밀입니다.

“그리스도의 증거가 너희 중에 견고케 되어 너희가 모든 은사에 부족함이 없이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나타나심을 기다림이라”(6-7).

 

4. 책망할 것이 없는 믿음

“주께서 너희를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날에 책망할 것이 없는 자로 끝까지 견고케 하시리라”(8절).

책망할 것이 없는 믿음, 그것은 칭찬받는 믿음입니다. 계시록 2-3장에 나오는 아시아 일곱 교회 중에 칭찬받은 교회는 서머니 교회와 빌리델비아 교회입니다. 기억하십시오. 주님께로부터 받는 칭찬이 곧 상급입니다. 무엇 때문에 우리가 기도하는 일과 봉사하는 일에 힘쓰고 주님을 섬기는 일에 충성해야 합니까? 주님 앞에 설 때 “잘 했다” 칭찬 받기 위해서입니다.

바나바 사역자 훈련을 수료한 성도들이 모두 은혜를 받고 사십 일 작정기도에 들어가는 것을 보고 하나님께서 얼마나 기뻐하실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것이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누가 주의 마음을 알았느뇨 누가 그의 모사가 되었느뇨 누가 주께 먼저 드려서 갚으심을 받겠느뇨 이는 만물이 주에게서 나오고 주로 말미암고 주에게로 돌아감이라 영광이 그에게 세세에 있으리로다 아멘”(롬11:34-36).

십팔 세기 미국 교회가 낳은 조나단 에드워즈의 말입니다.

“내가 죽게 되었을 때, 그 일을 했으면 좋았을 텐데 하고 바라는 것처럼 오늘을 그렇게 살자. 내가 노인이 되었다고 가정했을 때, 그때 내가 이런 일을 했으면 좋았을 텐데 하고 생각되는 바로 그런 일을 하자. 이미 천국의 행복과 지옥의 고통을 맛본 사람처럼 행하도록 최선을 다하자. 병상에 있을 때 가치 있다고 판단 될 그런 일을 지금 하도록 하자. 무슨 일을 하려고 하든지 내 임종의 순간에 이 일이 얼마나 가치 있다고 생각될 것인가? 라는 질문을 자주 던지도록 하자.”

좋은 나무가 좋은 열매를 맺습니다. 복을 받을 사람이 복 받을 열매를 맺게 됩니다. 우리 모두 주 앞에 서는 날이 영광의 날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너희를 불러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 우리 주로 더불어 교제케 하시는 하나님은 미쁘시도다”(9절). 아 멘

 

유일한 복음

고전 1:10-17

고린도전서의 내용을 보면,

1) 분쟁의 문제(1:10-4:)

2) 도덕적인 문제(5:-7:)

3) 우상 제물에 관해서(8:-10:)

4) 집회 문제(10:-14:)

5) 부활의 문제(15:)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바울은 고린도 교인들을 향해 “모든 은사에 부족함이 없이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나타나심을 기다리는 것을”(7절) 보고 감사하였습니다. 그러나 은혜가 충만할 때도 시험이 있다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바울은 고린도 교회에 여러 가지 문제를 지적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가 어떻게 내게 임했는지 그 은혜를 망각하지 않아야 합니다.

 

1. 바울의 권면

“형제들아 내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너희를 권하노니 다 같은 말을 하고 너희 가운데 분쟁이 없이 같은 마음과 같은 뜻으로 온전히 합하라”(10절).

기억하십시오. 이것은 바울이 사도의 권위로서 그들에게 권면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아무리 값진 교훈이라 할지라도 권위를 무시하면 효력을 잃게 됩니다. 부모의 권위를 무시하는 자식이나, 스승의 권위를 무시하는 학생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영적 교훈도 마찬가지입니다. 유대인들의 교만을 보십시오.

“유대인들이 예수에 대하여 수군거려 이르되 이는 요셉의 아들 예수가 아니냐 그 부모를 우리가 아는데 자기가 지금 어찌하여 하늘에서 내려왔다 하느냐”(요6:41-42).

“유대인들이 대답하여 이르되 우리가 너를 사마리아 사람이라 또는 귀신이 들렸다 하는 말이 옳지 아니하냐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나는 귀신들린 것이 아니라 오직 내 아버지를 공경함이거늘 너희가 나를 무시하는도다”(요8:48-49).

이것이 마귀의 교만입니다. 마귀는 감히 하나님의 권위에 도전하다 저주 받은 악령입니다.

“만일 내게 엎드려 경배하면 이 모든 것을 네게 주리라”(마4:9).

누가 누구에게 하는 소리입니까? 유대광야에서 주님의 권위에 도전하는 사탄의 소리입니다. 마귀의 교만을 주의하십시오. 그러므로 바울은 “사람이 마땅히 우리를 그리스도의 일군이요 하나님의 비밀을 맡은 자로 여길지어다”(고전4:1) 하였습니다.

우리는 백부장 고넬료의 믿음을 본받아야 하겠습니다.

“내가 곧 당신에게 사람을 보내었더니 오셨으니 잘하였나이다 이제 우리는 주께서 당신에게 명하신 모든 것을 듣고자 하여 다 하나님 앞에 있나이다”(행10:33)

그때 고넬료의 가정은 오순절에 임한 성령의 은혜가 충만하였습니다. 고린도 교회를 향한 바울의 권면입니다.

“다 같은 말을 하고 너희 가운데 분쟁이 없이 같은 마음과 같은 뜻으로 온전히 합하라”(10절).

2. 분쟁의 요소

1) 나는 바울에게

그들은 바울을 통해 은혜받은 성도들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바울을 통해 복음을 듣고 고린도 교회 일꾼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이천 년의 역사를 이어 오는 고린도 교회 가면 초대 당회장으로 바울의 이름이 있습니다. 내가 누구에게 은혜를 받았느냐 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2) 나는 아볼로에게

아볼로는 알렉산드리아에서 탄생한 유대인으로서 성경에 해박하고 언변이 뛰어난 학자입니다(행18:24-19:2).

바울이 고린도에 복음의 씨를 뿌린 전도자라면 아볼로는 물을 주며 가꾸었습니다. 사람을 키우는 데는 낳은 정, 기른 정 모두 귀중합니다. 사실 아볼로는 바울과 불화를 일으킬 이유가 없었지만, 그들을 두고 교회가 분쟁을 일으키고 있었습니다. 자식이 어릴 때는 부모의 사랑을 더 받고 싶어 싸우기도 합니다.

“그런즉 아볼로는 무엇이며 바울은 무엇이뇨 그들은 주께서 각각 주신 대로 너희로 하여금 믿게 한 사역자들이니라 나는 심었고 아볼로는 물을 주었으되 오직 하나님은 자라게 하셨나니 그런즉 심는 이나 물주는 이는 아무 것도 아니로되 오직 자라나게 하시는 하나님뿐이니라”(고전3:5-7).

 

3) 나는 게바에게

고린도에 게바파가 있었다는 것은 이상한 일입니다. 왜냐하면 베드로가 고린도에 가서 복음을 전한 일이 없기 때문입니다. 다만 그중에 오순절 날 예루살렘에 갔다가 베드로의 설교를 듣고 은혜받은 자들이라 짐작할 수 있습니다. 또 그들은 베드로를 주님의 수제자로 알고 있었을 것입니다.

 

4) 나는 그리스도에게

한국 교회가 WCC 가입 문제로 예수교와 기독교로 분쟁하는 것을 보고 어느 선교사가 “한국에는 예수와 그리스도가 싸운다”는 말을 했습니다. 어떠한 일이 있어도 예수님을 두고 분쟁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그런데 고린도 교회는 이러한 기현상까지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동일한 복음이라 할지라도 해석상 문제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근본적인 진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오늘날도 같은 복음을 믿으면서 교회와 교회끼리 시기와 질투로 양들을 병들게 하는 일들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구원의 진리에 대한 본질적인 문제가 아니라면 피로 값 주고 사신 교회에서 분쟁하는 일이 없어야 합니다.

 

3. 바울이 전한 복음

“그리스도께서 어찌 나뉘었느뇨 바울이 너희를 위하여 십자가에 못 박혔으며 바울의 이름으로 너희가 세례를 받았느뇨”(13절).

저도 바울과 같이 복음을 전하고 싶은 소원이 있습니다. 또 바울에게서 직접 세례를 받을 수 있다면 제일 큰 기쁨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지만 바울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 수는 없는 것입니다.

‘바울이 너희를 위하여 십자가에 못 박혔으며 바울의 이름으로 너희가 세례를 받았느뇨’ 만일 ‘제가 바울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노라’ 한다면 또 한 사람의 이단이 등장하게 될 것입니다. 바울이 조심스럽게 빌립보 교회 성도들을 향해서 말하고 있습니다.

“형제들아 너희는 함께 나를 본받으라”(빌3:17).

. 이것은 신앙의 대상을 그리스도가 아닌 바울에게 두어서가 아닙니다.

“내가 그리스도를 본받는 것같이 너희는 나를 본받으라” 하였습니다.

바울은 주의 이름으로 목숨을 바쳤습니다. 그렇지만 바울의 피가 골고다에서 흘린 그리스도의 보혈과 동일할 수 없는 것은 바울은 누구도 대속할 수 없는 아담의 자손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그는 대속의 은혜를 받았고 또 이 복음은 자신뿐 아니라 모든 믿는 자에게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임을 깨달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그는 이 복음 전하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았습니다.

“내가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아니하노니 이 복음은 모든 믿는 자에게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이 됨이라”(롬1:16).

바울은 유일한 복음, 이 구원의 진리를 변질시키는 일은 조금도 용납하지 않았습니다.

“우리나 혹 하늘로부터 온 천사라도 우리가 너희에게 전한 복음 외에 다른 복음을 전하면 저주를 받을지어다. 우리가 전에 말하였거니와 내가 지금 다시 말하노니 만일 누구든지 너희의 받은 것 외에 다른 복음을 전하면 저주를 받을지어다.”(갈1:8-9).

“그리스도께서 나를 보내심은 세례를 주게 하려 하심이 아니요 오직 복음을 전케 하려 하심이니 말의 지혜로 하지 아니함은 그리스도의 십자가가 헛되지 않게 하려 함이라”(17절).

A. P. 깁스는 말입니다.

“내가 철학을 전파하였더니 사람들은 칭찬하였다. 그러나 내가 그리스도를 전파하였더니 사람들은 회개하였다”고 했습니다. 보는 자와 듣는 자, 믿고 순종하는 자에게 영생을 주시는 유일한 복음! 죄인을 용서하시고 병든 자를 고쳐주시고 가난한 자에게 소망을 주시는 그리스도 예수의 은혜가 우리 모두에게 충만하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Irreproachable faith

1 Corinthians 1:1-9

 

Years ago, while on a pilgrimage to the Holy Land, when I went from Athens, the capital of Greece, to Corinth via the Corinth Canal, I was deeply moved by Paul's footsteps.

Paul first visited Corinth in AD 52 on his way through Macedonia to Jerusalem (Acts 18:1).

He met Priscilla and Aquila in Corinth, and their loyalty has been great since that day. When we see that Paul recommended them in Romans, he said, “He laid down even his neck for my life” (Romans 16:4).

Also in his first letter from Ephesus, Paul had plans to visit the church in Corinth. The reason was that the wrong teachers were causing a lot of problems.

A leader's influence is great at any time, but especially if the spiritual leader is wrong, many people will stumble.

Therefore, it is said, “My brethren, do not be many teachers, knowing that we who are teachers will receive a greater judgment” (James 3:1).

 

1. Caller

“Paul, called to be an apostle of Christ Jesus by the will of God, and his brother Sosthenes” (v. 1).

It is not necessary to mention again that Paul is the author of this book, but we do not know much about Sosthenes. In Acts eighteen and seventeen, as the leader of the Jewish synagogue, he incited the Jews to accuse Paul. At that time, when the governor of Gallio said he would not judge Paul because he had not violated the laws of the country, Sosthenes was beaten by Greeks. .

I wonder when and how such a person accepted the gospel and joined Paul. But Sosthenes was a well-known synagogue leader in Corinth, and it can be assumed that his convers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Jews.

 

2 Recipients

“To the church of God which is in Corinth, to those who are sanctified in Christ Jesus and called to be saints, and to all who in every place call on the name of our Lord Jesus Christ, both them and our Lord” (verse 2).

1) The Corinthian church and

2) All churches of the same faith.

Remember, God's Word is an immutable truth and is not limited to any particular person or time. Therefore, we must believe that the gospel is the truth that leads to salvation for all who are sanctified in Christ Jesus and are called to be saints.

 

3. Paul's Thanksgiving

“I always give thanks to God for you for the grace of God given to you in Christ Jesus” (verse 4).

As a shepherd, I know that there is no greater joy than dealing with the saints in grace.

“There is no greater joy in my brothers than to hear that my children walk in the truth” (3 John 3-4).

“What is our hope, or our joy, or the crown of boasting? Are not you before our Lord Jesus at His coming? You are our glory and our joy” (1 Thessalonians 2:19-20).

I can't help but thank God for the grace that God gave m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morning worship services. We must remember that the grace of the Lord comes to the heart of longing with a thirsty heart. Therefore, we must all be vigilant and become believers who receive grace.

“For in him you are rich in all things, in every speech and in all knowledge” (verse 5).

Look at the changes that have taken place in the church in Jerusalem since Pentecost.

1) The language has changed.

They prayed in tongues, preached the gospel boldly, and listened to Peter's sermon, and the works of repentance that touched the hearts of 3,000 or 5,000 people took place.

“When they saw Peter and John speaking without question, they thought that they were originally ignorant criminals, and they were amazed” (Acts 4:13).

A few years ago, one of the deacons in charge of the district said, “Pastor, I have not learned anything, but if I only preach the word of God, it will be a blessing.” That is God's grace. People who do not know grace say, “Those who believe in Jesus speak well.” This is God's grace.

“And you will be brought before governors and kings because of me, as a witness to them and to the Gentiles. It is not you, but the Spirit of your Father who speaks in you” (Matthew 10:18-20).

2) Knowledge was abundant.

This is the knowledge of Jehovah.

“There shall be no harm and no harm in all places on my holy mountain, for the earth will be full of the knowledge of the Lord, as the waters cover the sea” (Isaiah 11:9).

They served God with this truth and grace. The grace of the Lord is a secret that only those who receive it can know.

“For the testimony of Christ may be established among you, so that you do not lack in any gift, waiting for the appearing of our Lord Jesus Christ” (6-7).

 

4. Reproachable Faith

“The Lord will establish you to the end, blameless on the day of our Lord Jesus Christ” (verse 8).

A faith that is irreproachable, it is a faith that is praised. Among the seven Asian churches in Revelation 2-3, the churches that are praised are Summer Church and Philadelphia Church. Remember. The praise you receive from the Lord is your reward. Why should we be devoted to prayer and service, and to be faithful in serving the Lord? This is to receive praise for “doing well” when standing before the Lord.

Seeing all the saints who completed the Barnabas ministry training receive grace and enter into prayer for forty days, I thought of how pleased God would be. This is God's grace.

“Who has known the heart of the Lord? Who has been his counselor? Who will give the Lord first to be repaid? For all things come from you, and to you, through you, and to you, glory is to him forever. Amen.” (Romans 11) :34-36).

The words of Jonathan Edwards, born of the American Church in the eighteenth century.

“When I was about to die, let’s live today as we wish, I wish I had done that. Let's do exactly what you think I would have wished I had done at the time, assuming I was an old man. Let's do our best to act like those who have already experienced the happiness of heaven and the pain of hell. Let us now do those things that will be judged worthwhile while in bed. Whatever work I am going to do, how valuable will it be to me at the moment of my death? Let’s ask the question often.”

A good tree bears good fruit. Those who will receive blessings will bear fruit that will be blessed. May the day we all stand before the Lord be a day of glory.

“Faith is the God who calls you into fellowship with his Son Jesus Christ our Lord” (verse 9). Amen

 

 

 

 

십자가의 도

고전 1:18~25

 

십자가의 도는 십자가의 교리 즉 그리스도께서 받으신 고난으로 우리가 구원받게 된 진리를 의미합니다. 우리가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고난받을 때 기뻐할 수 있는 것은 모세와 같이 하늘의 상 주심을 바라보기 때문입니다(히11:26). 주님을 위해 사는 것이 복인 줄 안다면 우리는 더 큰 영광에 이르도록 충성을 다짐해야 하겠습니다.

우리 교회 어느 권사님의 이야기인데, 얼마 전에 퇴행성관절염 때문에 걸을 수 없을 정도로 고통이 심해 병원을 찾았더니 당장에 수술을 받아야 한다는 진단이 떨어져서 “내가 살면 얼마나 산다고 이 나이에 수술을 받는단 말이요 나 수술하지 마십시오.” 하고 하나님께 기도하기를 ‘하나님! 세상에서 내가 사는 날 동안 마음껏 봉사하고 살겠습니다.’ 하였더니 수술을 받지 않고도 좋아져서 지금 열심히 봉사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하나님께 영광을 돌립니다.

우리가 주님을 위해 살고 주님을 위해 죽을 수 있다면 이보다 더 큰 영광은 없을 것입니다. 폴리갑과 익나타우스는 초대 교회 순교의 제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린 일로 그들은 역사에 위대한 발자취를 남겼습니다. 그런데 그리스도의 죽음은 순교자의 죽음과 달리 대속의 죽음입니다.

 

1. 멸망하는 자들

진리의 진수는 ‘십자가의 도’입니다. 그런데 구원의 이 진리가 ‘멸망하는 자들에게는 미련한 것이요’ 하였습니다.

깨닫지 못하는 자들은 이성 없는 짐승같이 육신의 소욕을 따라 사는 자들입니다.

“내가 여러 번 너희에게 말하였거니와 이제도 눈물을 흘리며 말하노니 여러 사람들이 그리스도 십자가의 원수로 행하느니라 저희의 마침은 멸망이요 저희의 신은 배요 그 영광은 저희의 부끄러움에 있고 땅의 일을 생각하는 자라”(빌3:18-19).

 

2. 구원 얻는 자들

“십자가의 도가...구원을 얻는 우리에게는 하나님의 능력이라”(18절).

여러분! 능력 받기를 원하십니까? 십자가를 지고 주님을 따르십시오. 은혜받고 복 받기를 원하십니까? 맡은 임무에 충성하는 성도들이 되시기 바랍니다. 십자가와 무관한 것이라면 욕심 부리지 마십시오.

십자가를 멀리하는 것은 마귀의 유혹임을 깨달아야 합니다. 십자가의 도는 우리가 위해서 살고, 위해서 죽어야 할 영생의 진리입니다.

우리는 역사적인 안목을 가지고 빛을 남긴 자들이 어떠한 믿음의 사람들이며, 또 영원한 영광에 이른 자들이 어떤 발자취를 남겼는지 깨달아야 하겠습니다.

“그를 향하여 우리의 가진 바 담대한 것이 이것이니 그의 뜻대로 무엇을 구하면 들으심이라 우리가 무엇이든지 구하는 바를 들으시는 줄을 안즉 우리가 그에게 구한 그것을 얻은 줄을 또한 아느니라”(요일 5:14~15).

모세가 출애굽의 거사를 이룩할 수 있었던 것이 무엇이었습니까? 하나님의 능력입니다. 바울이 무엇으로 그 큰 업적을 남길 수 있었습니까? 십자가의 도, 하나님의 능력입니다.

저는 우리 교회가 한 일 중에 값진 일이 있다면 양지 해성 교회를 개척한 일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지난 목요일 임재용목사님을 만났는데, 그날 교회 부지 오백사십 여 평이 되는 땅을 계약하고 이제 그 땅에 평면 백이십 평으로 2층 교회를 건축하게 되리라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지금 건축헌금이 얼마나 있느냐고 물었더니 이천만 원이 있다고 했습니다. 감사한 일은 삼 년 주기로 오늘까지 갑절의 성장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아직 그 교회는 안수집사와 장로도 없을 뿐 아니라 교인은 칠십여 명입니다. 그런데 지금 특별 새벽기도에 들어가 매일 4-50명이 기도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번 우리 교회도 새벽을 깨우는 운동을 통해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놀라운 역사가 일어날 줄을 믿습니다. 또 하나님의 은혜는 고난과 역경 속에서 더욱 빛을 발하게 됩니다.

세상에서 가장 불행해 보이는 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는 유럽에서 발발한 삼십 년 전쟁으로 열두 살 때 아버지를 잃었습니다. 이 년 후 어머니도 잃고 고아가 되었는데 비극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습니다. 얼마 후 신학대학에 들어가서 공부를 하였으나 건강이 좋지 않아 십사 년 만에 졸업하고 목회 사역을 하는데 페스트가 유럽을 휩쓸자 아내와 자녀들까지 잃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사람들은 그를 ‘비극을 몰고 다니는 자’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고통을 통해 하나님을 찬양하는 시를 쓰기 시작하였습니다. 이 사람의 이름이 폴 게어하트입니다. 그는 찬송가 18장 ‘내 영혼아 곧 깨어’를 작사하였습니다.

“나의 가는 길을 오직 그가 아시나니 그가 나를 단련하신 후에는 내가 순금 같이 나오리라”(욥23:10).

주님께서는 오늘도 십자가를 지고 따르는 자들과 함께 하심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3. 지혜와 총명

“기록된바 내가 지혜 있는 자들의 지혜를 멸하고 총명한 자들의 총명을 폐하리라 하였으니 지혜 있는 자가 어디 있느뇨 선비가 어디 있느뇨 이 세대에 변사가 어디 있느뇨 하나님께서 이 세상의 지혜를 미련케 하신 것이 아니뇨”(19~20절).

인간은 다른 피조물들과 달리 지혜와 총명이 있습니다. 이것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을 받은 인간에게 주신 선물입니다. 만일 인간보다 뛰어난 총명을 다른 피조물에게 주었다면 어떻게 될까요?

노예의 운명을 숙명으로 생각하고 살다가 죽을 것입니다. 그런데 동일한 인간이지만 어떤 사람은 고도로 발달한 문명의 혜택을 누리지만, 어떤 사람은 원시의 생활을 면치 못한다면 그것은 인간에게 주어진 지혜를 얼마나 개발했는지에 달려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아무리 삶이 윤택하고 환경이 좋아졌다 할지라도 인간이 하나님을 등지게 되면 모든 것은 허무로 돌아갈 것입니다. 무너진 바벨탑은 인간이 하나님께 도전하겠다는 도전장입니다. 오늘 진화론을 주장하는 과학 문명도 마찬가지입니다.

“하나님의 지혜에 있어서는 이 세상이 자기 지혜로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고로 하나님께서 전도의 미련한 것으로 믿는 자들을 구원하시기를 기뻐하셨도다”(21절).

남태평양 피지에 사는 원주민들은 기독교가 들어가기 전에는 식인종이었으나 지금은 98%가 복음을 받아들였다고 합니다. 진정한 지혜는 하나님과 그리스도를 아는 영생의 있음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4. 유대인이 구하는 표적

표적은 자연 법칙을 초월하여 일어나는 역사를 의미합니다. 표적을 좋아하는 유대인들은 시내산에 강림하신 하나님의 권능을 눈으로 보고 또 친히 기록한 계명을 받았어도 하나님을 온전히 섬기지 못했습니다. 오히려 목이 곧고 마음이 강퍅해서 하나님과 모세를 원망하다가 죽었습니다.

유대인들은 그리스도의 복음 사역에 표적이 없어서 또 다른 표적을 요구한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도마가 확신을 얻기 위해 증거를 구했던 것과는 달리 복음을 불신했기에 무덤에서 살아난 나사로를 보고 나사로까지 죽이려고 하였던 것입니다.

 

5. 헬라인이 구하는 지혜

이것은 헬라인의 교만입니다. 본래 헬라에는 철인 소크라테스, 플라톤과 같은 많은 학자들이 있었습니다. 그들의 철학이 인류사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습니다.

그런데 바울이 아덴에서 그들을 의식하고 복음을 전했을 때는 기대했던 복음의 열매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고린도에서는 오직 십자가의 도 외에는 다른 것을 전하지 않기로 다짐했습니다.

놀라운 사실은 십자가의 복음이 믿는 자에게 하나님의 능력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도 복음의 초창기에 있었던 일화가 많이 있습니다. 최권능 목사님은 단지 “예수 천당 불신 지옥”이라고 외쳤지만 일본 경찰들이 감당할 수 없는 하나님의 능력이 일어나 많은 사람이 그리스도를 영접하게 되었습니다.

만일 지금도 그런 방법으로 전도한다면 웃음거리가 되기 쉽겠지요. 그러나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능력입니다. 오늘날 화려한 교회 건물과 다양한 프로그램에 하나님의 능력이 살아서 역사하는지 살펴보아야 할 것입니다.

중세 교회가 극도로 부패했을 때 교황은 “이제 우리는 베드로와 같이 은과 금은 내게 없으나 라는 염려를 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고 하였습니다. 과연 그들이 경건의 능력을 알았다면 겸손히 무릎 꿇고 성령의 도우심과 기름 부으심을 위해 기도했을 것입니다.

“유대인은 표적을 구하고 헬라인은 지혜를 찾으나 우리는 십자가에 못 박힌 그리스도를 전하니 유대인에게는 거리끼는 것이요 이방인에게는 미련한 것이로되 오직 부르심을 입은 자들에게는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능력이요 하나님의 지혜니라 하나님의 미련한 것이 사람보다 지혜 있고 하나님의 약한 것이 사람보다 강하니라”(22~25절). 아 멘

 

 

Way of the cross

1 Corinthians 1:18-25

 

The message of the cross signifies the doctrine of the cross, the truth that we are saved through the sufferings of Christ. When we suffer in the name of Christ, we can rejoice because, like Moses, we look to the reward of heaven (Hebrews 11:26). If we know that it is a blessing to live for the Lord, we must pledge our loyalty to achieve greater glory.

This is the story of a pastor in our church. Recently, because of degenerative arthritis, I was in so much pain that I couldn't walk, so I went to the hospital, and the diagnosis that I needed to have an operation fell right away. Do not.” and prayed to God, ‘God! As long as I live in the world, I will serve and live to the fullest.’ He said that he got better without surgery, and that he is now serving diligently. Glory to God.

If we could live for the Lord and die for the Lord, there could be no greater glory. Polycarp and Ignataus glorified God as sacrifices for the martyrdom of the early church, and they left great footprints in history. But, unlike the death of a martyr, the death of Christ is a substitutionary death.

 

1. Those who perish

The essence of truth is ‘the Way of the Cross’. But it is said that this truth of salvation is “foolish to those who are perishing.”

Those who do not understand are those who live according to the lusts of the flesh like irrational beasts.

“Many times I have told you, but now I say with tears, many walk as enemies of the cross of Christ, their end is destruction, their god is their belly, their glory is in their shame, who thinks of the things of the earth. ” (Philippians 3:18-19).

 

2. Those who are being saved

“The message of the cross...to us who are being saved it is the power of God” (verse 18).

everyone! Do you want to be empowered? Take up your cross and follow the Lord. Do you want to be blessed and blessed? I hope that you will become faithful members of your mission. If it has nothing to do with the cross, do not be greedy.

We must realize that avoiding the cross is a temptation from the devil. The message of the cross is the truth of eternal life for which we must live and die for.

We need to realize what kind of faith those who left the light with a historical perspective and what kind of footprints those who reached eternal glory left behind.

“This is the confidence that we have toward him, that if we ask anything according to his will, he hears us. If we know that he hears us, whatsoever we ask, we also know that we have obtained the things we ask of him” (1 John 5:14- 15).

What was it that allowed Moses to accomplish the greatness of the Exodus? It is the power of God. What could Paul have made such a great achievement? The way of the cross, the power of God.

I think if there is one valuable thing our church has done, it is the planting of Yangji Haeseong Church. Last Thursday, I met Pastor Jaeyong Lim, and I heard that on that day, I signed a contract for a land of about 5,400 pyong, and now I will build a two-story church on that land. When he asked how much money he had for construction now, he said that he had 20 million won. What I am grateful for is that there has been double growth until today in a three-year cycle.

The church does not yet have ordained deacons and elders, and there are more than 70 members. However, it is said that 4-50 people are praying every day by entering the special early morning prayer. We also believe that the amazing work of revealing the glory of God will occur through the movement to awaken the dawn this time. Also, God's grace shines brighter in the midst of hardship and adversity.

There was one man who seemed the most unhappy in the world. He lost his father when he was twelve years old in the Thirty Years' War that broke out in Europe. Two years later, his mother also lost and became an orphan, the tragedy did not end there. After some time he entered a seminary to study, but due to poor health, he graduated after fourteen years and went into pastoral ministry, losing even his wife and children when the plague swept Europe. For this reason, people called him “the tragedies driver.” But he began to write poems praising God through this suffering. This man's name is Paul Gehrhart. He wrote the hymn chapter 18, “Awake, My Soul.”

“But he knows the way I go; and after he has tried me I will come out as pure gold” (Job 23:10).

Please believe that the Lord is with those who carry the cross and follow it today.

 

3. Wisdom and intelligence

“For it is written, I will destroy the wisdom of the wise,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prudent. No” (verses 19-20).

Unlike other creatures, humans have wisdom and intelligence. This is a gift given to man, created in the image of God. What would happen if you gave other creatures a greater intelligence than humans?

They will live and die considering the fate of slaves as their destiny. However, if the same human beings enjoy the benefits of a highly developed civilization while others are unable to escape from a primitive life, it depends on how much they have developed the wisdom given to them.

However, no matter how prosperous life is and the better the environment, if man turns his back on God, everything will return to vain. The collapsed Tower of Babel is a challenge for humans to challenge God. The same is true of scientific civilizations that claim the theory of evolution today.

“As for the wisdom of God, since the world did not know God by its own wisdom, God was pleased with the foolishness of evangelism to save those who believed” (verse 21).

The indigenous people of Fiji in the South Pacific were cannibals before the introduction of Christianity, but now 98% of them have accepted the Gospel. Please believe that true wisdom is eternal life to know God and Christ.

 

4. The sign the Jews seek

A sign is a history that transcends the laws of nature. Although the Jews who liked signs saw the power of God descending on Mt. Sinai and received the commandments written by Himself, they could not fully serve God. Rather, he had a stiff neck and a hard heart, and he died while complaining against God and Moses.

The Jews did not ask for another sign because there was no sign in Christ's gospel work. Unlike Thomas who asked for evidence to be sure, he did not believe in the gospel, so he saw Lazarus alive from the tomb and tried to kill Lazarus as well.

 

5. The Greeks Seek Wisdom

This is Greek pride. Originally, there were many scholars such as the iron man Socrates and Plato in Greece. Their philosophies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human history.

However, when Paul was conscious of them and preached the gospel in Athens, the expected fruit of the gospel did not come.

So, in Corinth, I decided not to preach anything other than the message of the cross.

The amazing thing is that the gospel of the cross has become the power of God to those who believe. There are many anecdotes that happened in the early days of the gospel in Korea too. Pastor Kwon-Neung Choi simply exclaimed “Hell of disbelief in Jesus Heaven,” but the power of God that the Japanese police could not handle arose and many people accepted Christ.

If you evangelize in that way even now, it would be easy to become a laughing stock. But what is important is the power of God. Today, we need to examine whether the power of God is alive and working in the splendid church buildings and various programs.

When the medieval church became extremely corrupt, the pope said, "Now we do not have to worry, like Peter, that we do not have silver and gold." Indeed, if they had known the power of godliness, they would have humbly knelt and prayed for the help and anointing of the Holy Spirit.

“Jews ask for signs and Greeks seek wisdom, but we preach Christ crucified, to Jews a stumbling block and to Gentiles foolishness, but to those who are called, both Jews and Greeks, Christ is the power of God, and God The foolishness of God is wiser than men, and the weakness of God is stronger than men” (verses 22-25). Amen

 

 

하나님의 부르심

 

고전 1:26-31

 

‘하나님의 부르심’은 그의 예정 섭리를 따라 선택받은 은혜를 의미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어느 때를 막론하고 그의 택한 자들을 부르시고 부르신 자들을 의롭다 하시고 의롭다 하신 자들을 영화롭게 하십니다.

“하나님이 미리 아신 자들로 또한 그 아들의 형상을 본받게 하기 위하여 미리 정하셨으니 이는 그로 많은 형제 중에서 맏아들이 되게 하려 하심이니라 또 미리 정하신 그들을 또한 부르시고 부르신 그들을 또한 의롭다 하시고 의롭다 하신 그들을 또한 영화롭게 하셨느니라”(롬8:29-30).

세상 사람은 선택하는 기준을 어디에 두지요? 그 사람의 자질과 능력을 봅니다. 그리고 필요를 따라 선택하지만, 하나님께서는 은혜로 선택하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을 부르셔서 믿음의 조상을 삼으시고, 미디안 광야에서 모세를 부르셔서 출애굽의 거사를 이루셨습니다. 그것도 혈기 왕성한 젊을 때가 아닌 팔십 노구의 모세를 부르셨던 것입니다.

오늘도 마찬가지로 건강할 때 쓰지 않으시고 병들었을 때, 부유할 때가 아닌 가난할 때 부르시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똑똑한 자를 쓰지 않으시고 부족한 자를 쓰시는 주님이십니다. 그렇다고 건강한 자, 부한 자, 똑똑한 자는 하나님께서 버리신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다만 어떤 형편에 있든지 죄인 된 근본과 무익함을 알고 모든 영광을 하나님께 돌릴 수 있는 믿음의 사람을 귀하게 쓰신다는 말씀입니다.

하나님께서 가장 마음 아프게 생각하시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은혜를 배역하는 일입니다. 약속의 땅 가나안을 앞에 둔 이스라엘 백성에게 당부한 말씀입니다.

“네가 먹어서 배불리고 아름다운 집을 짓고 거하게 되며 또 네 우양이 번성하며 네 은금이 증식되며 네 소유가 다 풍부하게 될 때에 두렵건대 네 마음이 교만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잊어버릴까 하노라... 또 두렵건대 네가 마음에 이르기를 내 능과 내 손의 힘으로 내가 이 재물을 얻었다 할까 하노라 네 하나님 여호와를 기억하라 그가 네게 재물 얻을 능을 주셨음이라 이같이 하심은 네 열조에게 맹세하신 언약을 오늘과 같이 이루려 하심이니라”(신8:12-14, 17-18).

과연 하나님께서 쓰시는 사람은 어떤 사람인지 보십시오.

“형제들아 너희를 부르심을 보라 육체를 따라 지혜 있는 자가 많지 아니하며 능한 자가 많지 아니하며 문벌 좋은 자가 많지 아니하도다”(26절).

이는 고린도교회가 육체를 따라서 지혜 있고 능력 있고 문벌 좋은 자가 많지 않다는 것입니다.

 

1. 지혜 있는 자

인간이 만물을 다스릴 수 있다면 그것은 지혜로 말미암아서입니다. 우리는 육신의 힘을 과시하는 자를 곰같이 미련하다고 합니다. 곰이 얼마나 미련한가 보십시오. 사람이 곰을 잡기 위해서는 곰이 잘 다니는 길목에 돌을 달아둔다고 합니다. 마침 곰이 그 길을 지나다가 돌이 머리에 부딪히면 그때부터 ‘나보다 더 힘센 놈은 없는데...’ 생각하고 계속 그 돌과 박치기를 한다는 것입니다. 결국은 돌이 깨어지는 것이 아니라 곰의 머리가 박살나서 쓰러지고 만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과연 짐승이 미련할까요?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인간이라면 짐승같이 어리석은 존재임을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인간의 지혜로는 하나님을 알 수 없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다윗 시대에 살았던 나발을 기억합니다. 하루는 그가 양털을 깎는다는 이야기를 듣고 다윗이 사람을 보내어 먹을 것 얼마를 달라고 하니,

“이새의 아들은 누구며 다윗은 누구기에 내가 그에게 먹을 것을 주겠느냐” 하면서 거절했습니다. 그는 자기를 위해서는 임금 상같이 차려 호의호식 하면서 사람을 알아볼 줄 몰랐습니다. 결국 그는 다윗의 소식을 접하자 석고 인생이 되어 열흘 만에 죽고 말았습니다(삼상25:38). 이것이 미련한 인생의 말로입니다.

 

2. 능한 자

이는 높은 관직 곧 세상의 권세 있는 자를 의미합니다. 권세는 중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권력을 잡고 싶어 합니다. 우리나라도 이제 선거철이 돌아오니 서로들 대통령 되겠다고 나서고 있습니다. 모두가 내가 대통령이 되어야 우리나라가 민주화가 될 뿐만 아니라 또 잘 살아갈 수 있다고 합니다.

과학자 아인슈타인은 그의 조국 이스라엘로부터 “국회는 만장일치로 당신을 초대 대통령으로 추대하였으니 조국을 위해 봉사해 주십시오.” 하였을 때 “대통령 하겠다는 사람은 많습니다. 그러나 물리학을 가르칠 사람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하고 사양하였고, 수상 자리를 물러난 벤구리온은 “이제 수상직을 사임하고 무엇을 할 것이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나는 땅콩 밭으로 갑니다. 수상을 할 사람은 많으나 땅콩 농사는 아무나 지을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하고 땅콩 농장으로 행했습니다.

분수도 모르고 명예욕에만 들떠서 공약을 남발하는 정치인들이 본받았으면 좋겠습니다.

스스로도 자인하는 정치인들의 거짓말들을 보십시오. 프랑스의 드골 대통령은 “정치인들은 자기가 하는 말을 믿지 않기 때문에 자기 말을 믿는 사람을 보면 자신이 놀란다” 고 하였고, 소련 공산당 서기장 후루시초프는 “정치인은 강이 없는 곳에도 다리를 놓아주겠다는 공약을 한다”고 했습니다. 정치인들이 그처럼 거짓말을 할 수밖에 없는 것은 자신의 잘못을 국민에게 숨겨야 하니까 자연히 거짓말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속이 다 다보이는데도 “나 그 사람 모르네, 일면식도 없는 사람일세.” 하다가 증거가 드러나면 “기억력이 어두어서 그랬다” “대가성 뇌물을 받은 것이 아니다”라고 변명합니다. 과연 언제부터 그렇게 후해져서 아무런 조건 없이 수천 수억을 주고 받을 수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이제 권좌에서 물러났을 때 미국의 전 대통령 지미 카터와 같이 국민으로부터 사랑받고 존중받는 지도자들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진정한 힘은 권력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 있음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다윗의 고백입니다.

“나의 힘이신 여호와여 내가 주를 사랑하나이다 여호와는 나의 반석이시오 나의 요새시오 나를 건지시는 이시오 나의 하나님이시오 나의 바위시오 나의 방패시오 나의 구원의 뿔이시오 나의 산성이시로다”(시18:1-2).

 

3. 문벌 좋은 자

세상 사람들은 가문 좋고, 학벌이 좋고 또 좋은 직장이 있으면 최고의 배우자로 생각합니다. 진정한 행복, 참된 만족이 거기 있을까요? 그림자일 뿐입니다.

은혜를 배역하지 마십시오. 은혜를 받아야 주님께 영광을 돌릴 수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물론 하나님께서는 부자나 권세 있는 자도 쓰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함께 하시지 않으면 나는 무익한 죄인임을 알아야 합니다. 진심으로 하나님을 의지하는 자를 들어 쓰심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하나님께서 세상의 미련한 것들을 택하사 지혜 있는 자들을 부끄럽게 하려 하시고 세상의 약한 것들을 택하사 강한 것들을 부끄럽게 하려 하시며 하나님께서 세상의 천한 것들과 멸시받는 것들과 없는 것들을 택하사 있는 것들을 폐하려 하시나니 이는 아무 육체라도 하나님 앞에서 자랑하지 못하게 하려 하심이라”(27-29).

 

4. 유일한 자랑

바울도 자랑한 때가 있었습니다.

1) 은혜받은 일에 대해 자랑하였습니다.

“무익하나마 내가 부득불 자랑하노니 주의 환상과 계시를 말하리라 내가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한 사람을 아노니 십사 년 전에 그가 셋째 하늘에 이끌려 간 자라 (그가 몸 안에 있었는지 몸 밖에 있었는지 나는 모르거니와 하나님은 아시느니라)”(고후12:1-2).

셋째 하늘에 올라갔던 이 놀라운 은혜를 십사 년 동안 감추어두었다가 이제야 간증하는 것입니다. 저 같으면 복음을 전할 때마다 ‘내가 이런 은혜를 받았노라’고 간증하고 싶은데 바울은 그러지 않았습니다. 사실 간증할 때 주의하지 않으면 하나님의 영광을 빙자하여 자기를 과시할 수 있지요. 그러므로 바울은 “여러 계시를 받은 것이 지극히 크므로 너무 자고하지 않게 하려고 내 육체에 가시 곧 사탄의 사자를 주셨으니 이는 나를 쳐서 너무 자고하지 않게 하려 하심이니라”(고후12:7).

2) 약한 것을 자랑하였습니다.

유대인들을 의식하여 바울도 자기를 변명한 일이 있었습니다.

“내가 다시 말하노니 누구든지 나를 어리석은 자로 여기지 말라 만일 그러하더라도 나로 조금 자랑하게 어리석은 자로 받으라 내가 말하는 것은 주를 따라 하는 말이 아니요 오직 어리석은 자와 같이 기탄없이 자랑하노라 여러 사람이 육체를 따라 자랑하니 나도 자랑하겠노라...그들이 히브리 인이냐 나도 그러하며 그들이 이스라엘 인이냐 나도 그러하며 그들이 아브라함의 씨냐 나도 그러하며 그들이 그리스도 일꾼이냐 정신없는 말을 하거니와 나도 더욱 그러하도다”(고후11:16-18; 22-23).

“내가 부득불 자랑할진대 나의 약한 것을 자랑하리라”(고후11:30).

이렇게 하나님께서는 약할 때 더 귀하게 쓰심으로 홀로 영광 받으시기를 기뻐하십니다.

3) 주님을 자랑하였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복된 사람이 있다면 주님을 기쁘시게 하는 사람이라 할 것입니다. 이런 자는 전적으로 그리스도만을 자랑하는 사람입니다. 바울은 다메섹 도상에서 변화 받은 후 살든지 죽든지 그리스도만을 영화롭게 하기 위해 자신을 불태웠던 사람입니다.

“나의 나 된 것은 하나님의 은혜요... 모든 사도 보다 더 많이 수고하였으나 내가 아니요 오직 나와 함께 하신 하나님의 은혜로라”(고전15:10).

“너희는 하나님께로부터 나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고 예수는 하나님께로서 나와서 우리에게 지혜와 의로움과 거룩함과 구속함이 되셨으니 기록된바 자랑하는 자는 주 안에서 자랑하라 함과 같게 하려 함이니라”(30-31) 아 멘

 

 

God's Call

1 Corinthians 1:26-31

 

‘God’s call’ means the grace of being chosen according to his providence of predestination. At all times God calls his elect, justifies those whom he calls, and glorifies those whom he justifies.

“For those whom God foreknew he also predestined to be conformed to the image of his Son, that he might be the firstborn among many brethren; and those whom he predestined he also called, and those whom he called, he also justified, and those whom he justified he also glorified. ” (Romans 8:29-30).

Where in the world do people place their selection criteria? He sees the qualities and abilities of the person. And we choose according to need, but God chooses by grace. God called Abraham and made him the father of faith, and called Moses in the wilderness of Midian to accomplish the great exodus from Egypt. It was also that Moses, who was 80 years old, was called, not when he was young and full of blood.

In the same way today, we can see many cases where he does not use it when he is healthy, but calls him when he is sick or when he is poor, not when he is rich. Not only that, the Lord does not use the smart but uses the weak. This does not mean that the healthy, the rich, and the smart will be rejected by God. However, it is saying that God will use a person of faith who can give all glory to God, knowing the root of sin and his futility, no matter what the circumstances.

If there is one thing that hurts God the most, it is a betrayal of grace. This is a message to the people of Israel who are facing the Promised Land of Canaan.

“When you eat and you are full, and you build and live in beautiful houses, and your flocks multiply, and your flocks multiply, and your silver and gold increase, and all your possessions abound, lest your heart become arrogant and you forget the Lord your God... Say in your heart, 'By my power and by the power of my hand I have obtained this riches. Remember the LORD your God, for he has given you power to obtain riches, so that you may fulfill the covenant you swore to your ancestors as it is today." Deuteronomy 8:12-14, 17-18).

Look what kind of people God is using.

“Behold your calling, brethren, not many wise according to the flesh, not many mighty, not many noble” (verse 26).

This means that in the Corinthian church, there are not many wise, powerful, and noble people following the flesh.

 

1. The wise

If man can rule all things, it is through wisdom. We call those who show off their physical strength as foolish as a bear. Look how foolish the bear is. It is said that in order to catch a bear, a stone is attached to the road where the bear often travels. Just when the bear is passing the road and a stone hits his head, he thinks, 'There is no one stronger than me...' and continues to head butt against the stone. In the end, it's not that the stone breaks, but that the bear's head is smashed and it collapses.

But is the beast really foolish? Humans who do not know God should not forget that they are foolish like beasts. But the problem is that we cannot know God through human wisdom.

We remember Nabal, who lived in David's time. One day when he heard that he was shearing sheep, David sent and asked for some food.

He said, “Who is the son of Jesse, and who is David, that I should give him something to eat?” he refused. He dressed like a king's table for himself, and did not know how to recognize people. In the end, when he heard the news of David, he became a gypsum and died after ten days (1 Samuel 25:38). These are the words of a foolish life.

 

2. The mighty

This means a high office, that is, a person with power in the world. Authority is important. That's why a lot of people want to take power. As the election season is here in our country, each of us is stepping forward to become presidents. Everyone says that only when I become president can our country not only become a democracy but also live well.

Scientist Einstein said from his homeland Israel, "The National Assembly unanimously appointed you as the first president, so please serve your country." “There are a lot of people who want to be president. But there are not many people who can teach physics.” Ben-Gurion, who resigned as Prime Minister, said, "I am going to the peanut field when asked by reporters what he will do after resigning as Prime Minister. There are many people who will win the award, but peanut farming is not something everyone can build.”

I hope that politicians who do not know the fountain and are excited only by the desire for honor and make excessive promises are imitated.

Look at the lies of politicians who admit to themselves. French President de Gaulle said, "Politicians don't believe what they say, so they are surprised when they see people who believe what they say." do,” he said. The reason politicians have no choice but to lie is that they naturally lie because they have to hide their faults from the public. Even though he can see everything inside, he says, “I don’t know him. However, when the evidence is revealed, they make excuses by saying, “It was because I had a dark memory” and “I did not receive a bribe in return.” I wonder when they really became so generous and able to send and receive hundreds of millions of dollars without any conditions.

Now, when I step down from power, I hope that leaders like former President Jimmy Carter of the United States are loved and respected by the people. Please believe that true strength does not lie in power, but in God.

David's confession.

“I love you, O LORD my strength. The LORD is my rock, my fortress, my deliverer, my God, my rock, my shield, my horn of salvation, my stronghold” (Psalm 18:1-2). .

 

3. A well-to-do person

People around the world think that if you have a good family, a good education, and a good job, you are the best spouse. Is there true happiness, true satisfaction? It's just a shadow.

Do not betray grace. We must not forget that we can glorify the Lord only when we receive grace. Of course, God can use the rich and the powerful. But if God is not with me, I must know that I am a useless sinner. Please believe that He listens to those who truly trust in God.

“God chose the foolish things of the world to shame the wise; God chose the weak things of the world to shame the strong; God chose the lowly and despised things in the world, things that are not, and things that are not, to bring to nothing things that are. so that even the flesh might not boast before God” (27-29).

 

4. The only pride

There were times when Paul boasted.

1) He boasted about the work he received grace from.

“It is useless, but I must boast, that I will speak of the visions and revelations of the Lord. I know a man in Christ, who was taken up into the third heaven fourteen years ago (whether he was in the body or out of the body I do not know, but God knows. )” (2 Corinthians 12:1-2).

I have been hiding this wonderful grace that ascended to the third heaven for 14 years, and now I am testifying. If I am like myself, I would like to testify, ‘I have received this kind of grace,’ whenever I preach the gospel, but Paul did not. In fact, if you are not careful when you testify, you can show off yourself in the name of the glory of God. Therefore, Paul said, “Because of the exceeding greatness of the revelations, a thorn, a messenger of Satan, was given in my flesh, so that I would not be overconfident.

2) He boasted about his weakness.

Being conscious of the Jews, Paul also made excuses for himself.

“I tell you again, let no one regard me as a fool; if that is the case, let me boast a little, and accept me as a fool. I am not speaking after the Lord, but as fools, boasting without fear. Many boast according to the flesh, and I also I will boast...Are they Hebrews, so am I, are they Israelite, so am I, are they Abraham's seed, so am I, and are they Christ servants?

“If I must boast, I will boast in my weakness” (2 Corinthians 11:30).

In this way, God is pleased to be glorified alone by using it more preciously when we are weak.

3) He boasted of the Lord.

He would say that if there is any happiest person in the world, he is the one who pleases the Lord. Such a person is wholly proud of Christ alone. After being transformed on the road to Damascus, Paul burned himself to glorify Christ alone, whether he lived or died.

“It is the grace of God that I have become… it was not I who labored more than all the apostles, but it was the grace of God that was with me” (1 Corinthians 15:10).

“You are of God, and you are in Christ Jesus, who came from God to us wisdom, righteousness, sanctification, and redemption, so that as it is written, He who boasts, let him boast in the Lord” (30- 31) Amen

 

 

 

 

바울의 결심

고전 2:1-5

 

“형제들아 내가 너희에게 나아가 하나님의 증거를 전할 때에 말과 지혜의 아름다운 것으로 아니하였나니”(1절).

복음이 아니라면 무슨 말로 또 누구를 구원 할 수 있겠습니까? 또 말을 지혜롭게 할 수 있는 것 역시 귀한 달란트라 할 수 있습니다.

“경우에 합당한 말은 아로새긴 은쟁반에 금 사과니라”(잠25:11).

저와 가까이 사는 다른 교회 집사님이 있어서 한 번은 “새벽기도도 안 하는 서투른 집사라”고 했더니 깔깔대고 웃으면서 “예 목사님, 저는 나이롱 집사입니다. 그런데 목사님, 방금 저보고 무슨 집사라고 했는지 그 말이 다시 듣고 싶습니다.”라고 하여 웃음 지었던 일이 있었습니다.

 

1. 말과 지혜

복음은 인간의 언어로 전달됩니다.

“그런즉 그들이 믿지 아니하는 이를 어찌 부르리요 듣지도 못한 이를 어찌 믿으리요 전파하는 자가 없이 어찌 들으리요 보내심을 받지 아니하였으면 어찌 전파하리요 기록된바 아름답도다 좋은 소식을 전하는 자들의 발이여 함과 같으니라”(롬10:14-15).

언어는 의사전달의 표시입니다. 그런데 일반언어와 달리 복음은 듣는 자에게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이 됩니다. 그러므로 이 복음은 읽는 자가 복이요, 듣는 자들이 복이요, 지키는 자가 복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분별력이 있어야 합니다.

“도둑이 오는 것은 도둑질 하고 죽이고 멸망시키려는 것뿐이요 내가 온 것은 양으로 생명을 얻게 하고 더 풍성히 얻게 하려는 것이라”(요10:10).

삯꾼과 이리를 주의해야 합니다.

“삯꾼은 목자가 아니요 양도 제 양이 아니라 이리가 오는 것을 보면 양을 버리고 달아나나니 이리가 양을 물어가고 헤치느니라”(요10:12).

 

2. 바울의 결심

바울은 일찍이 가말리엘의 문하에서 자란 엘리트였는데 그가 복음을 박해하여 다메섹으로 가다가 다메섹 도상에서 거꾸러진 후 복음의 증인이 되었습니다.

어떤 사람은 “플라톤이 없는 소크라테스를 생각할 수 없다면 바울이 없는 기독교를 생각할 수 없다”고 합니다.

본문에 있는 바울의 고백입니다.

“내가 너희 중에서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십자가에 못 박히신 것 외에는 아무것도 알지 아니하기로 작정하였음이라”(2절).

바울이 이 차전도 여행 때 아덴에서 많은 철학자들과 사상가들을 상대로 복음을 지혜와 지식에 의지하여 전했을 때는 구원의 결실은 얻을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고린도에서는 십자가의 복음을 전했습니다.

“그러므로 너희가 일깨어 내가 삼 년이나 밤낮 쉬지 않고 눈물로 각 사람을 훈계하던 것을 기억하라”(행20:31).

바울이 눈물 흘린 이유가 무엇일까요? 그의 눈물 속에는 여러 가지 의미가 있을 줄 압니다.

1) 그리스도의 마음을 가졌기 때문이요.

2) 주님께서 역사하지 않으면 나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무익한 죄인임을 깨달았기 때문이요.

3) 양을 이리중에 떼어 놓고 떠나야 되는 목자의 심정에서 일 것입니다.

눈물의 기도는 신속한 응답이 있습니다. 계5:4에 보면 요한이 일곱 인으로 굳게 인봉된 책을 발견하고 그 인을 떼기에 합당한 자가 하늘 위에나 땅 위에나 땅 아래서 능히 책을 펴거나 보거나 할 자를 찾지 못해 “크게 울었는데”.

“유대지파의 사자 다윗의 뿌리가 이기었으니 이 책과 그 일곱 인을 떼시리라”(계5:5).

그 일곱 인으로 봉해진 책이 이 땅에 내려질 마지막 심판입니다. 이렇게 기도는 굳게 인봉된 비밀도 열려지게 하는 것입니다. 인간은 내일 일을 알지 못합니다. 그럴지라도 역사의 수레바퀴는 언제나 하나님의 예정섭리 안에서 돌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가룟 유다가 자신의 운명을 알았다면, 마귀의 하수인으로 전락하여 스스로 목을 매고 자살할 길을 선택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이세벨도 마찬가지입니다. 자기의 시체가 개들에게 먹힐 줄 알았다면 나봇을 죽이지 않았을 것입니다.

앞길에 어려움이 있습니까? 기도합시다. 심각한 문제가 있습니까? 눈물로 기도합시다. 포기하지 마십시오. 낙심하는 것은 믿음이 아닙니다. 눈물로 기도하는 자에게 주님께서 더 좋은 길로 인도해 주실 줄 믿습니다.

바울의 결심은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십자가에 못 박히신 것 외에는 아무것도 알지 아니하기로 작정’ 것입니다. 우리도 이러한 믿음으로 기도하고 응답받아 온 천하에 하나님의 영광 드러낼 수 있기를 소원합니다.

 

3. 바울의 두려움

“내가 너희 가운데 거할 때에 약하며 두려워하며 심히 떨었노라”(3절).

여기서 우리가 두려워해야 할 세 가지를 생각하고자 합니다.

1) 교만에 대한 두려움

하나님께서는 교만한 자를 물리치고 겸손한 자에게 은혜를 베풀어주십니다. 약속의 땅 가나안을 눈앞에 두고 모세를 통해 마지막으로 이스라엘 백성에게 남기신 말씀입니다.

“네가 먹어서 배불리고 이름다운 집을 짓고 거하게 되며 또 네 우양이 번성하며 네 은금이 증식되며 네 소유가 다 풍부하게 될 때에 두렵건대 네 마음이 교만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잊어버릴까 하노라 여호와는 너를 애굽 땅 종 되었던 집에서 이끌어 내시고 너를 인도하여 그 광대하고 위험한 광야 곧 불뱀과 전갈이 있고 물이 없는 간조한 땅을 지나게 하셨으며 또 너를 위하여 물을 굳은 반석에서 내셨으며 네 열조도 알지 못하던 만나를 광야에서 네게 먹이셨나니 이는 다 너를 낮추시며 너를 시험하사 마침내 네게 복을 주려 하심이었느니라 또 두렵건대 네가 마음에 이르기를 내 능과 내 손의 힘으로 내가 이 재물을 얻었다 할까 하노라 네 하나님 여호와를 기억하라 그가 네게 재물 얻을 능을 주셨음이라”(신8:17-18).

내가 살아 온 길을 돌아보십시오. 어느 한순간도 하나님의 은혜가 아닌 것이 없으며, 어느 것 하나 주님의 손길이 미치지 않은 것이 없다는 것을 알았다면 마땅히 그 은혜 감사하며 영광을 주님께 돌려야 할 것입니다.

 

2) 경건의 두려움

신앙의 연수가 오래되었다면 이는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이번 주 수요일 장로, 집사 장립식과 권사 취임식을 가지게 됩니다. 모두가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기억해야 할 것은 직분이 달라질수록 하나님 앞에서 참된 경건이 어떤 것인지 우리의 삶을 통해 보여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링컨은 항상 “내가 세상에 살았기 때문에 이 세상이 조금이라도 좋아졌다는 소식을 듣고 죽기를 원합니다”는 기도를 올렸다고 합니다. 바울이 빌립보 교회에 당부한 말씀입니다.

“그러므로 나의 사랑하는 자들아 너희가 나 있을 때뿐 아니라 더욱 지금 나 없을 때에도 항상 복종하여 두렵고 떨림으로 너희 구원을 이루라”(빌2:12).

우리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마음이 굳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불순종한 사울에 대한 사무엘의 경책입니다.

“사무엘이 가로되 여호와께서 번제와 다른 제사를 그 목소리 순종하는 것을 좋아하심같이 좋아하시겠나이까 순종이 제사보다 낫고 듣는 것이 수양의 기름보다 나으니 이는 거역하는 것은 사술의 죄와 같고 완고한 것은 사신 우상에게 절하는 죄와 같음이라”(삼상15:22-23).

3) 사명자로서의 두려움

바울은 그리스도를 만난 후 복음을 위해서라면 목숨도 아끼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그에게 두려움이 있었다면 무슨 일일까요? 그것은 자신의 잘못으로 성도들이 실족하는 일이 일어날까 하는 두려움이었습니다.

“내 말과 내 전도함이 지혜의 권하는 말로 하지 아니하고 다만 성령의 나타남과 능력으로 하여 너희 믿음이 사람의 지혜에 있지 아니하고 다만 하나님의 능력에 있게 하려 하였노라”(4-5절).

만일 바울이 인간적인 지혜와 지식으로 사람들을 구원할 수 있었다면 얼마든지 자긍심을 가질 수 있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는 인간의 지혜와 지식으로는 진리를 대적하고 박해하는데 앞장섰던 사람이었습니다.

우리는 은혜가 아니면 무익한 인생임을 깨달아야 합니다. 바울에게 가장 큰 기쁨이 있었다면 성도들이 믿음 위에 서서 열매 맺는 것이요, 가장 큰 자랑이 있었다면 주 안에서 있는 성도들을 보는 것이었습니다.

“만일 너희 믿음의 제물과 봉사 위에 내가 나를 관제로 드릴지라도 나는 기뻐하고 너희 무리와 함께 기뻐하리니”(빌2:17).

우리도 바울같이 오직 내게서 그리스도만이 존귀하게 되도록, 또 그리스도만을 자랑하기로 다짐하는 성도들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Paul's decision

1 Corinthians 2:1-5

 

“Brothers, when I came to you and preached the testimony of God, I did not do it in the beauty of words and wisdom” (verse 1).

If not for the gospel, who else can you save? Also, being able to speak wisely is a precious talent.

“A word appropriate for the occasion is apples of gold in engraved plates of silver” (Proverbs 25:11).

There is a deacon from another church who lives close to me, so I once said, “You are a clumsy deacon who doesn’t even pray in the morning.” He laughed and said, “Yes, Pastor, I am a deacon. But Pastor, I would like to hear again what you just said to me as a deacon.”

 

1. Words and Wisdom

The gospel is communicated in human language.

“How then shall they call on him in whom they have not believed? How shall they believe in him of whom they have not heard? How shall they hear without a preacher? How shall they preach unless they are sent? As it is written, Beautiful are the feet of those who preach the good news.” (Romans 10:14-15).

Language is a sign of communication. However, unlike ordinary languages, the gospel becomes the power of God that brings salvation to those who hear it. Therefore, blessed are those who read this gospel, blessed are those who hear it, and blessed are those who keep it. But you have to be discerning.

“The thief comes only to steal and to kill and to destroy; I have come that they may have life and have it more abundantly” (John 10:10).

Beware of laborers and wolves.

“The wage earner is not a shepherd, and the sheep are not their own. When they see a wolf coming, they leave the sheep and run away, and the wolves devour the sheep and scatter them” (John 10:12).

 

2. Paul's Determination

Paul was an elite who grew up under Gamaliel, but he persecuted the gospel and went to Damascus, but fell down on the road to Damascus and became a witness of the gospel.

Some say, "If you can't think of Socrates without Plato, then he can't think of Christianity without Paul."

Paul's confession in the text.

“For I have determined not to know anything among you except Jesus Christ and him crucified” (verse 2).

When Paul preached the gospel to many philosophers and thinkers in Athens on this second missionary journey, relying on wisdom and knowledge, the fruits of salvation could not be obtained. So, in Corinth, the gospel of the cross was preached.

“Therefore, wake up and remember that for three years, day and night, without ceasing, I admonished each one with tears” (Acts 20:31).

Why did Paul weep? I know that there are many meanings in his tears.

1) Because he has the mind of Christ.

2) It is because I realized that I am a useless sinner who cannot do anything unless the Lord works.

3) It must be the feeling of a shepherd who has to separate his sheep among the wolves and leave.

A prayer of tears has a quick answer. In Revelation 5:4, John found a book sealed with seven seals and “wept loudly” because no one in heaven, on earth, or under the earth, who was worthy to open the seal could open or see the book.

“The lion of the tribe of Judah, the Root of David, has overcome, and he will open the book and its seven seals” (Revelation 5:5).

The book sealed with the seven seals will be the final judgment on this earth. In this way, prayer is to open even the tightly sealed mystery. Humans do not know what will happen tomorrow. Even so, we must remember that the wheel of history is always running in God's providence of predestination. Had Judas Iscariot known his fate, he would not have chosen the path of falling into the devil's servant and hanging himself and committing suicide. The same goes for Jezebel. He would not have killed Naboth if he had known that his corpse could be eaten by dogs.

Are there any difficulties on the way ahead? Let's pray. Have a serious problem? Let's pray with tears. Don't give up. It is not faith to be discouraged. I believe that the Lord will guide those who pray with tears in a better way.

Paul's determination was to 'determine not to know anything except Jesus Christ and him crucified'. I hope that we too can pray and receive answers with this kind of faith so that we can reveal the glory of God to the whole world.

 

3. Paul's Fear

“When I dwelt among you, I was weak, afraid, and very trembling” (verse 3).

Here are three things we should be afraid of.

1) Fear of pride

God resists the proud and gives grace to the humble. These are the last words He left to the Israelites through Moses, with the Promised Land of Canaan in front of their eyes.

“When you eat and you are full, and you build and live in a dignified house, and when your flocks multiply, and your flocks multiply, your silver and gold increase, and all your possessions abound, lest your heart become proud and you forget the Lord your God. He brought you out of the old house and led you through that vast and dangerous wilderness, a low, waterless land with fiery serpents and scorpions, and brought you water from the hard rock, and fed you in the wilderness with manna, which your fathers did not know? All this was to humble you, to test you, and finally to bless you. And fear in your heart, saying, 'By my might and the power of my hand I have obtained this riches. Remember the LORD your God, and he will give you riches. He has given you power” (Deuteronomy 8:17-18).

Look back on the way I have lived. If you know for a moment that there is nothing that is not the grace of God, and that nothing is beyond the reach of the Lord, you should be thankful for that grace and give glory to the Lord.

 

2) Fear of godliness

If the years of faith are long, it is the grace of God. This Wednesday, we will hold the inauguration ceremony of elders and deacons and the inauguration of deacons. All are by God's grace. What we need to remember is that the more different our positions are, the more we need to show through our lives what true godliness is before God.

Lincoln is said to have always prayed, "I want to die to hear that the world is a little better because I have lived in it." This is Paul's message to the Philippian church.

“Therefore, my beloved, always obey, not only in my presence, but much more now in my absence, work out your salvation with fear and trembling” (Philippians 2:12).

We must be careful not to harden our hearts without realizing it. Samuel's rebuke for disobedient Saul.

“Samuel said to him, “Does the LORD take delight in burnt offerings and other sacrifices, as does the obedience of his voice? Obedience is better than sacrifice, and hearing is better than the fat of rams, for rebellion is the sin of witchcraft, and stubbornness is to bow down to idols. as sin” (1 Samuel 15:22-23).

3) Fear as a missionary

After meeting Christ, Paul gave his life for the sake of his gospel. But what if he had fears? It was his fear that the saints would stumble because of his own fault.

“My words and my preaching were not in persuasive words of wisdom, but in the manifestation and power of the Holy Spirit, that your faith might not be in the wisdom of men, but in the power of God” (verses 4-5).

If Paul had been able to save people with his human wisdom and knowledge, he would have been proud of himself. However, he was a man who took the lead in opposing and persecuting the truth with human wisdom and knowledge.

We must realize that life is useless without grace. If Paul had the greatest joy, it was for the saints to stand on faith and bear fruit, and if he had the greatest boast, it was to see the saints in the Lord.

“If I offer myself as a drink offering on the sacrifice and service of your faith, I will rejoice and rejoice with all of you” (Philippians 2:17).

Like Paul, we pray that only Christ may be honored in me, and that we will become believers who are determined to boast only in Christ. Amen

 

 

 

 

 

지혜

고전 2:6-13

 

미국 컬럼비아대 총장이었던 니콜러스 머레이씨가 말한 세 부류의 사람입니다.

1) 자신과 세상을 개선하려고 노력하는 소수의 사람

이러한 사람은 숫자적으로는 적지만 중요한 업적을 남기는 사람입니다. 때문에 존 웨슬리는 믿음의 사람 백 명을 구했고, 빌리 그레이엄 목사는 미국을 이끌어갈 하나님의 기뻐하시는 사람 칠백 명을 달라고 기도했습니다.

2) 일을 그르치는 부류의 사람

토인비 교수도 몇 사람의 정신병자 때문에 온 인류가 망한다고 하였습니다. 과연 독재자, 사기꾼, 아첨하는 자, 이기주의자들이 그 부류라 하겠습니다.

3) 잘못된 것을 보고도 수수방관하는 사람

이러한 자들은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든 나 몰라라 하는 극단적인 이기주의자들입니다.

여기서 나는 어느 부류에 속하는지 진단해 보아야 하겠습니다.

본문에서 바울은 인간의 지혜와 하나님의 지혜에 관해 언급하면서 복음은 인간의 지혜에 의해서가 아니라 하나님의 지혜에 있음을 말씀하고 있습니다. 지혜는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지혜자는 말하기를,

“대저 지혜는 진주보다 나으므로 무릇 원하는 것을 이에 비교할 수 없음이니라”(잠8:11) 하였습니다. 우리는 솔로몬이 지혜를 구하므로 하나님께서 구하지 않았던 부와 귀와 영화는 덤으로 주신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이 지혜를 세 가지로 정리해 보면,

첫째는 인간의 지혜요, 둘째는 마귀의 지혜요, 셋째는 하나님의 지혜입니다.

 

1. 인간의 지혜

인간은 만물의 영장으로 지혜를 가진 피조물입니다. 이 지혜로 만물을 다스릴 뿐만 아니라 문명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습니다. 저는 TV 프로에서 ‘동물의 왕국’에 흥미를 느끼는 편입니다. 동물들은 거짓과 꾸밈이 없이 본능과 야성에 매력을 느끼게 되지만 진화론을 말하는 해설자의 말에는 거부감을 갖게 됩니다. 어느 원숭이를 조상으로 섬기고 싶어서인지 알 수가 없지요.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무지에서 그렇게 하는 것을 볼 때,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얼마나 큰 복인인지를 알게 됩니다.

신앙 없는 지식이라면 자랑할 것이 없습니다.

“이 지혜는 이 세대의 관원이 하나도 알지 못하였나니 만일 알았더면 영광의 주를 십자가에 못 박지 아니하였으리라”(8절).

얼마 전 군산 서광교회에 집회를 갔을 때 일입니다. 그 교회에 기도를 많이 한다고 알려진 권사님이 계셨는데 그 분 아들이 국내에서 유명한 오페라 가수로 활동하고 있었습니다. 마침 집회할 때 고향에 내려와서 마지막 날 어머니와 함께 융숭하게 강사대접을 하는 것을 보고 그날 저녁 집회에 참석하여 찬양으로 하나님께 영광 돌리는 것을 볼 수 있으리라 기대했는데 끝내 집회에 참석하지 않은 것을 보고 서운한 마음이 들었습니다.

알고 보니 가수들은 자신을 초청해준 모임으로부터 받는 개런티로 자신의 가치가 결정된다고 생각해서 웬만해서는 초청에 쉽게 응하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하나님께 영광 돌릴수 있는 기회를 잃지 말고 영원한 영광에 이르기를 소원합니다.

 

2. 마귀의 지혜

마귀는 영물입니다. 그러므로 마귀는 인간을 시험합니다. 마귀의 유혹을 주의하십시오. 또 마귀는 인간을 통해 역사한다는 사실도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주님께서 배신자 가룟 유다를 가리켜 마귀라고 하셨습니다.

“예수께서 대답하시되 내가 너희 열둘을 택하지 아니하였느냐 그러나 너희 중에 한 사람은 마귀니라”(요6:70).

뿐만 아니라 수제자 베드로를 향해서도 “사탄아 내 뒤로 물러가라 너는 나를 넘어지게 하는 자로다 네가 하나님의 일을 생각하지 아니하고 도리어 사람의 일을 생각하는도다”(마16:23) 하셨습니다.

물론 이 말씀은 유다나 베드로가 마귀가 되었다는 말씀이 아닙니다. 마귀는 저주받은 악령입니다. 그러나 인간이 마귀의 올무에 빠지면 마귀의 지체로 전락됩니다.

아프리카에는 사람을 해치는 악어를 비롯하여 육식동물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런 동물들이 먹이를 사냥할 때 보면 잡아먹히는 동물은 죽을 때까지 먹이 사슬에서 벗어나려고 도망치다가 결국 잡히면 죽게 됩니다. 그런데 잡히기까지는 살아나려고 하지만 맹수의 먹이가 되면 맹수의 지체로 변하게 되는 것입니다. 마귀의 올무를 주의하십시오.

“그런즉 너희는 하나님께 복종할지어다 마귀를 대적하라 그리하면 너희를 피하리라 하나님을 가까이 하라 그리하면 너희를 가까이 하시리라 죄인들아 손을 깨끗이 하라 두 마음을 품은 자들아 마음을 성결하게 하라”(야4:7-8).

 

3. 하나님의 지혜

하나님의 지혜와 지식은 전지전능하십니다. 하나님은 지혜로 우주 만물을 창조하시고 주장하시고 섭리하십니다. 욥이 그의 세 친구들과 끊임없는 변론으로 자기를 변명하는 것을 보시고 하나님께서 책망하신 말씀입니다.

“무지한 말로 이치를 어둡게 하는 자가 누구냐 너는 대장부처럼 허리를 묶고 내가 네게 묻는 것을 대답할찌니라 내가 땅의 기초를 놓을 때에 네가 어디 있었느냐 네가 깨달아 알았거든 말할찌니라 누가 그 도량을 정하였었는지, 누가 그 준승을 그 위에 띄었었는지 네가 아느냐 그 주초는 무엇 위에 세웠으며 그 모퉁이 돌은 누가 놓았었느냐”(욥38:2-6).

하나님 앞에서 자기를 발견한 욥의 고백입니다.

“무지한 말로 이치를 가리우는 자가 누구니이까 내가 스스로 깨달을 수 없는 일을 말하였고 스스로 알 수 없고 헤아리기 어려운 일을 말하였나이다”(욥42:3).

벤허를 출간한 저자 루이스 월리스의 이야기입니다. 그는 1827년 미국 인디애나 주지사의 아들로 태어나 변호사가 되었고 미 남북전쟁 때에는 북군의 장군으로서 그는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이 아니라 사람의 아들임을 밝히기 위해 소설을 쓰기로 작정했습니다. 그때부터 메시아를 초능력적인 인물이라 하는 허구를 벗기고 순수한 인간 예수를 증명하려고 집필을 시작하였습니다. 그런데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 아는 것이 없었습니다. 그가 알고 있다는 것은 그의 친구가 들려준 “기독교는 얼마 후에 이 세상에서 존재를 감출 것이다.” 라고 하는 비판적인 말뿐이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예수의 배경을 알기 위해 성경을 탐독하던 중 그리스도의 신성을 깨닫고 그가 하나님의 아들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 후 그는 자신에게 일어난 변화를 소설의 주인공에게 나타내어 천팔백팔십 년에 벤허를 출간했는데, 그것이 천구백오십구 년 영화로 나와서 수많은 이들에게 감명을 주었습니다.

나를 그리스도 예수의 사람으로 거듭나게 하신 것이 하나님의 은혜요, 복음의 열매도 은혜로 맺어짐을 믿으셔야 합니다.

“우리가 온전한 자들 중에서 지혜를 말하노니 이는 이 세상의 지혜가 아니요 또 이 세상의 없어질 관원의 지혜도 아니요 오직 비밀한 가운데 있는 하나님의 지혜를 말하는 것이니 곧 감취었던 것인데 하나님이 우리의 영광을 위하사 만세 전에 미리 정하신 것이라”(6-7).

위로부터 임하는 은혜의 선물을 받으십시오. 모든 지혜와 지식에까지 변화의 역사가 일어날 것입니다.

“오직 하나님의 성령으로 이것을 우리에게 보이셨으니 성령은 모든 것 곧 하나님의 깊은 것이라도 통달하시느니라...우리가 이것을 말하거니와 사람의 지혜의 가르친 말로 아니하고 오직 성령의 가르치신 것으로 하니 신령한 일은 신령한 것으로 분별하느니라”(10, 13절).

나는 비록 우매하고 무지하여 멸망하는 짐승 같다 할지라도 위로부터 임하는 지혜의 은혜를 힘입으면 뭇 영혼을 변화시키는 능력을 힘입게 될 줄을 믿습니다. 우리 모두 이 은혜 충만하여 하나님께 영광 돌리는 성도들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Wisdom

1 Corinthians 2:6-13

 

These are the three types of people that Nicholas Murray, who was president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spoke of.

1) Few people trying to improve themselves and the world

These people are small in number, but they leave important achievements. For this reason, John Wesley saved 100 people of faith, and Pastor Billy Graham prayed for 700 people who are pleasing to God to lead America.

2) A person who misbehaves

Professor Toynbee also said that the entire human race will perish because of a few psychopaths. Indeed, dictators, deceivers, flatterers, and egotists are their class.

3) A person who ignores and ignores the wrong things

These people are extreme selfish people who don't know how the world works.

Here, I have to diagnose which category I belong to.

In the text Paul speaks of human wisdom and God's wisdom, but he is saying that the gospel is not by human wisdom, but in God's wisdom. Wisdom is of the utmost importance. Therefore, the wise man said,

“For wisdom is better than pearls, and nothing can be compared with it” (Proverbs 8:11). We know that because Solomon asked for wisdom, God gave him wealth, ears, and glory that he did not ask for.

This wisdom can be summarized in three ways:

The first is human wisdom, the second is the devil's wisdom, and the third is God's wisdom.

 

1. Human Wisdom

Humans are the primates of all things and are creatures of wisdom. With this wisdom, we are not only ruling all things, but we are also developing civilization. I tend to be interested in 'Animal Kingdom' on TV shows. Animals are attracted to their instincts and wildness, without deceit and embellishment, but are repulsed by the narrators of evolution. I don't know which monkey I want to serve as my ancestor. When we see that we do so in the ignorance of not knowing God, we realize how great the blessing of knowing God is.

Knowledge without faith has nothing to be proud of.

“Not one ruler of this generation has known this wisdom; if he had known, he would not have crucified the Lord of glory” (verse 8).

It happened a while ago when I went to a meeting at Seogwang Church in Gunsan. There was a priest known for praying a lot in that church, and his son was working as a famous opera singer in Korea. At the time of the meeting, I came down to my hometown, and on the last day, I saw that I was treated as a lecturer with my mother, and I expected that I would attend the meeting that evening and glorify God with praise. I heard.

It turns out that singers do not accept invitations easily because they believe that their worth is determined by the guarantee they receive from the group that invited them.

Do not lose the opportunity to glorify God and wish to reach eternal glory.

 

2. The Wisdom of the Devil

The devil is a spirit creature. Therefore, the devil tests humans. Beware of the devil's temptations. Also, we must not forget that the devil works through humans. The Lord called the traitor Judas Iscariot the devil.

“Jesus answered, Have I not chosen you twelve? But one of you is the devil” (John 6:70).

Not only that, he also said to the chief disciple Peter, “Get behind me, Satan, for you are a stumbling block to me, you do not think about the things of God, but rather the things of men” (Matthew 16:23).

Of course, this does not mean that Judas or Peter became the devil. The devil is a cursed evil spirit. However, when humans fall into the devil's snare, they fall into the devil's members.

Africa has many predators, including crocodiles, which harm humans. When such animals hunt for prey, the preyed animal runs away from the food chain until it dies, and eventually dies when caught. However, they try to survive until they are caught, but when they become prey of wild beasts, they turn into members of wild beasts. Beware of the devil's snare.

“Therefore submit yourselves to God, resist the devil, and he will flee from you. Draw near to God, and he will draw near to you. Cleanse your hands, you sinners, and sanctify your hearts, you double-minded.” (Jas 4: 7-8).

 

3. God's Wisdom

God's wisdom and knowledge are omnipotent and omnipotent. God created, ruled, and provided everything in the universe with his wisdom. These are the words that God rebuked when Job saw his three friends making excuses for himself by constantly arguing.

“Who is the one who darkens the reasoning with ignorant words? You must bind your waist like a captain, and answer my questions when I ask you. Do you know if it was lifted up? On what was the pillar erected, and who laid the corner stone?” (Job 38:2-6).

This is Job's confession of discovering himself before God.

“Who is it that conceals reason with ignorance? I have spoken of things that I cannot understand, and things that I cannot understand and cannot comprehend” (Job 42:3).

Lewis Wallace, author of Ben-Hur. Born in 1827, the son of the governor of Indiana, USA, he became a lawyer, and during the American Civil War as a general in the Union Army, he decided to write a novel to prove that Jesus was the Son of Man, not the Son of God. From then on, he began writing to debunk the myth that the Messiah was a supernatural figure and prove the pure human Jesus. But I didn't know anything about Jesus Christ. All he knows is that his friend told him, "Christianity will soon disappear from this world." It was just a critical comment. So, while reading the Bible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Jesus, he realized the divinity of Christ and came to know that he was the Son of God.

After that, he revealed the changes that had happened to him to the protagonist of the novel, and published Ben-Hur in 1888, which was made into a movie in 1959 and impressed many people.

You must believe that it is the grace of God that made me a man of Christ Jesus, and that the fruit of the gospel is also produced by grace.

“We speak wisdom among those who are perfect, not the wisdom of this world, nor the wisdom of the rulers of this world, which are about to pass away, but the wisdom of God that is in mysteries, which is hidden, but God may give us glory for our glory. It was foreordained before the ages” (6-7).

Receive the gift of grace from above. A work of change will take place even in all wisdom and knowledge.

“But it has been revealed to us by the Spirit of God, who searches all things, even the deep things of God… We speak these things, not in words taught by human wisdom, but in teachings by the Holy Spirit. different things” (verses 10, 13).

I believe that even though I am like a beast that perishes due to my foolishness and ignorance, if I receive the grace of wisdom from above, I will gain the power to change souls. We pray that all of us will be full of this grace and become saints who glorify God. Amen

 

 

 

 

 

 

 

 

 

 

 

 

 

 

 

 

 

 

 

 

 

 

 

 

 

 

신령한 잣대

고전 2:13-16

 

신령한 잣대 즉 믿음의 잣대는 모든 사물이나 사건을 진리적인 측면에서 측정하는 잣대라 하겠습니다. 지금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거리의 잣대는 미터요, 무게는 그램입니다. 이와 같이 우리의 삶을 바르게 살 수 있는 영적인 잣대가 있어야 합니다.

 

1. 신령한 잣대

“우리가 이것을 말하거니와 사람의 지혜의 가르친 말로 아니하고 오직 성령의 가르치신 것으로 하니 신령한 일은 신령한 것으로 분별하느니라”(13절).

이 세상은 모두가 지나가는 것입니다. 청춘의 아름다움도 지나갑니다. 미국 헐리우드 배우들의 생활을 보면 그들만큼 인생을 즐기는데 익숙한 사람도 없을 줄 압니다. 최고의 인기를 누리면서 날마다 호의호식하며 파티에 불려 다니고 있습니다. 그림으로는 천국 생활이 따로 없을 것입니다. 이로 인해 많은 사람이 그런 환상에 빠져들기도 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행복의 그림자이므로 참된 만족을 줄 수 없습니다.

“고운 것도 거짓되고 아름다운 것도 헛되다”(잠31:30).

“모든 육체는 풀과 같고 그 모든 영광이 풀의 꽃과 같으니”(벧전1:24).

지금 젊은 세대들이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이 스마트폰이 아닌가 생각듭니다. 제가 처음 미국에 갔을 때 보니 관광버스 기사가 무선전화로 교신하는 것을 보고 과연 미국이 다르구나 하는 생각을 했는데 지금 우리나라에 스마트폰이 전 세계로 수출되고 있습니다.

노동집약적 형태로 살아온 기성세대는 상상도 할 수 없는 꿈의 세계에서 오늘을 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물질문명이 영혼의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므로 젊은이들의 자살률이 해마다 늘어나 지금 OECD 하루 평균 자살율 11명에 비해 우리나라는 48명이나 되어 세계 일위가 되었습니다.

지난달도 대림동에 있는 아파트 28층 옥상에서 30대 남자 한 명과 10대 여학생 두 명이 투신자살한 사건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인터넷 자살 사이트에서 만난 자들이라 합니다. 또 그들을 대구와 천안, 평택에 가서 자신의 승용차로 서울에까지 태워준 자도 있었다고 합니다.

인생이 그렇게 허무한 것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피조물 중에서 가장 아름답고 존귀한 것이 사람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 자기의 형상대로 인생을 창조하시고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창1:31) 하셨습니다.

이렇게 아름다운 인생을 스스로 목숨을 스스로 버리도록 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그것이 마귀의 올무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귀중한 목숨이라도 진리를 위해서 헌신한다면 그보다 더 값진 일은 없는 것입니다. 우리는 말씀을 사모하고 더 가까이 해야 합니다.

“복 있는 사람은 악인들의 꾀를 따르지 아니하며 죄인들의 길에 서지 아니하며 오만한 자들의 자리에 앉지 아니하고 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의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도다 그는 시냇가에 심은 나무가 철을 따라 열매를 맺으며 그 잎사귀가 마르지 아니함 같으니 그가 하는 모든 일이 다 형통하리로다”(시1:1-3)

 

2. 육에 속한 사람과 영에 속한 사람

영국의 유명한 설교자 챨스 스펄전(Charles Spurgeon)은, “거듭나지 않은 자연인이 중생과 영적인 일들을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짐승이 천문학을 이해할 수 없는 것과 같다”고 하였습니다.

“육에 속한 사람은 하나님의 성령의 일을 받지 아니하나니 저희에게는 미련하게 보임이요 또 깨닫지도 못하나니 이런 일은 영적으로라야 분변함이니라.”(14절).

어떤 사람이 육에 속한 사람이며, 어떤 사람이 영에 속한 사람일까요? 물론 믿는 자는 영에 속한 자요, 불신자는 육에 속한 자라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믿음이 있다 하면서도 육에 속한 사람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우리는 에서와 야곱을 알고 있습니다. 에서는 형으로 태어났지만 팥죽 한 그릇에 장자 권을 팔고 또 천상의 복을 잃었습니다. 그러나 야곱은 팥죽으로 장자 권과 천상의 복을 빼앗은 사람입니다. 에서가 아버지의 섬기는 하나님을 몰랐기 때문에 그렇게 되었다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다만 그가 범한 잘못이 있다면 영적인 것보다 육적인 것에 끌렸기 때문입니다.

“에서가 가로되 내가 죽게 되었으니 이 장자의 명분이 내게 무엇이 유익하리요...에서가 맹세하고 장자의 명분을 야곱에게 판지라”(창25:32-33).

이것은 에서가 본능적인 욕구 곧 식욕을 극복하지 못했다는 증거입니다. 사십일을 금식하신 주님은 사탄의 유혹을 말씀으로 물리쳤습니다.

“네가 만일 하나님의 아들이어든 명하여 이 돌들이 떡덩이가 되게 하라”

“기록되었으되 사람이 떡으로만 살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입으로 나오는 모든 말씀으로 살 것이라”(마4:4).

사탄의 유혹에 빠져들었던 하와의 눈에 선악과가 어떻게 보였는지 보십시오.

“먹음직도 하고 보암직도 하고 지혜롭게 할 만큼 탐스럽기도 한 나무인지라 여자가 그 실과를 따 먹고 남편에게도 주매 그도 먹은지라”(창3:6).

아담과 하와가 하나님을 알지 못해 선악과를 먹었다고 할 수 있을까요? 마귀의 유혹을 물리쳐야 합니다.

“그런즉 너희는 하나님께 복종할지어다 마귀를 대적하라 그리하면 너희를 피하리라 하나님을 가까이하라 그리하면 너희를 가까이 하시리라 죄인들아 손을 깨끗이 하라 두 마음을 품은 자들아 마음을 성결하게 하라”(야4:7-8).

신령한 사람은 어떠한 사람이며 육에 속한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요? 동일한 육신을 가진 사람입니다. 차이가 있다면 한쪽은 육신의 소욕을 따르는 자라면 한쪽은 육신의 소욕을 다스리고 영을 따라 사는 사람입니다.

우리는 진리를 위해 모든 것을 배설물 같이 포기한 바울의 생애를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바울이 먹지도 입지도 않고 살았다는 것이 아닙니다.

예수님도 육신으로 계실 동안은 물질을 초월하고 영의 양식만으로 사신 것이 아닙니다. 그럴지라도 주님께서는 육신을 위해서가 아닌 하나님의 뜻을 이루는 삶을 살았습니다.

이와 같이 영적인 삶은 먹든지 마시든지 살든지 죽든지 내 몸에서 그리스도를 존귀하게 하는 믿음으로 살았습니다. 육신의 소욕을 따르는 사람은 보이는 것을 우선으로 하지만 영적인 삶을 사는 사람은 영의 소원을 따르는 자로서 영적인 눈 곧 소망의 눈을 가진 사람입니다.

바울은 이 눈을 가졌으므로 육신의 것 또 내가 지킬 수 없는 것을 심고 영원한 것을 수확할 수 있었습니다.

지난주일 헌금 통계가 올라온 것을 보았더니 고등부 학생들이 건축헌금을 했는데 거기는 미국에 있는 이순복 전도사님의 딸 혜민이가 보낸 백 불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하나님께서 이렇게 순수하고 아름다운 손길을 얼마나 기뻐하실까 하는 마음이 들어 기도했습니다. 동일한 물질이지만 어떤 것은 하나님의 진노를 불러일으키나 어떤 물질은 하나님의 마음을 기쁘게 해 드리는 것입니다. 어떤 것이 진실한 복인지를 깨달았다면 우리도 믿음의 부자가 되어야 하겠습니다.

 

3. 지도자의 권위

어떤 사회나 국가를 막론하고 어떠한 공동체든지 그 조직을 이끄는 데는 지도자의 능력이 중요합니다. 물론 탁월한 지도력이 중요하지만 지도자는 또 정직하고 깨끗하여 조직원들에게 신뢰를 받을 수 있어야 합니다.

솔로몬이 하나님께 일천 번제를 드리고 지혜를 구했을 때 하나님께서 그와 함께 하심으로 누구도 그에게 도전하는 자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그가 많은 이방 여인을 아내로 취하고 또 그 여인들이 우상 숭배하는 것을 다스리지 못해 죄를 지었을 때는 하나님께서 진로하심으로 조공을 바치던 나라들이 대적이 되었고 아들 르호보암 때에 나라가 분리되었던 것입니다. 불행스러운 것은 우리나라도 정권 말기만 되면 재임기간 중에 저지른 부정으로 지도자의 권위가 실추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마귀의 올무에 빠져들어 영적인 권위가 실추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신령한 자는 모든 것을 판단하나 자기는 아무에게도 판단을 받지 아니하느니라.”(15절).

이것이 경건의 능력입니다. 초대교회는 경건의 능력이 사도들에게 있었습니다.

“사람마다 두려워하는데 사도들로 인하여 기사와 표적이 많이 나타나니”(행2:43).

“사도들이 큰 권능으로 주 예수의 부활을 증거하니 무리가 큰 은혜를 얻어 그중에 핍절한 사람이 없으니”(행4:33-34).

베드로의 발 앞에 백부장 고넬료가 땅에 엎드려 절하게 된 것이 경건의 능력입니다. 이와 같이 하나님께서 함께 하실 때 경건의 능력이 임하는 것입니다.

 

4 그리스도의 마음

“누가 주의 마음을 알아서 주를 가르치겠느냐 그러나 우리가 그리스도의 마음을 가졌느니라”(16절).

“이후로는 누구든지 나를 괴롭게 말라 내가 내 몸에 예수의 흔적을 가졌노라”(갈6:17).

바울이 선한 목자 예수 그리스도의 마음을 가졌기에 그를 통해 생명과 성령의 역사가 일어났던 것입니다. 그러나 대상에 따라 목자의 마음은 달랐습니다.

“내가 너희에게 나아갈 때에 그리스도의 충만한 복을 가지고 갈 줄을 아노라”(롬15:29).

“너희가 무엇을 원하느냐 내가 매를 가지고 너희에게 나아가랴 사랑과 온유한 마음으로 나아가랴”(고전4:21).

복 받을 자에게 복이 임하고 징계 받을 자에게는 채찍이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면 우리 모두 그리스도 예수의 마음으로 세상을 밝히는 성도들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Mature faith

1 Corinthians 3:1-9

 

Some say three lives.

1) A person who lives by exploiting other people's weaknesses like spiders

2) A person who lives diligently like an ant, but only for his own benefit

3) It is said that there are people, like bees, who benefit both themselves and others. The lesson here is that you have to live life like a bee. I want to think of three lives from another angle.

 

1 Unbeliever

Common graces such as sunlight and rain give benefits to believers and unbelievers equally, so you can enjoy the blessing of growth and prosperity regardless of your faith or unbelief. However, only those who have received the grace of atonement through the cross of Jesus Christ can enjoy true freedom in the truth. Also, it is impossible to realize the truth of eternal life without the work of the Holy Spirit.

“We speak wisdom among those who are perfect, not the wisdom of this world, nor the wisdom of the rulers of this world, which are about to pass away, but the wisdom of God that is in mysteries, which is hidden, but God may give us glory for our glory. This wisdom was foreordained before the ages, and not one of the rulers of this generation knew of this wisdom; if they had known, they would not have crucified the Lord of glory” (1 Corinthians 2:6-8).

If you are not born again, even if you believe in it, you are still just a religious person belonging to blood and blood. The reason is that you cannot become a new person by yourself. Therefore, those who have a lot to boast about in the world should be more careful not to be conceited.

 

2 People who are not mature in their faith

This is clearly different from unbelievers. Our faith must grow to the full measure of Christ. This is because the grain must grow to bear fruit, and faith must mature to bear the fruit of the Holy Spirit.

“Like newborn babies, long for the pure, spiritual milk, so that through it you may grow up to salvation” (1 Peter 2:2).

“Let us all become one in the faith and in the knowledge of the Son of God, to the point of becoming a perfect man, to the stature of the stature of the stature of Christ” (Ephesians 4:13).

The Corinthian church had many problems because of its immature faith.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a child,

1) There are many tears.

I remember when I was a kid. One day, her mother told her that she was going to the market, so she cried because she didn't want to fall. The child cries a lot. This is because he is weak. Likewise, we must have shed many tears when we first received grace. In fact, you have to go through that process. And that time is precious. However, even a mature person should be careful not to lose spiritual purity, because it is said that the kingdom of God belongs to a child.

2) Lack of discernment.

To the Corinthians, Paul could not share the food of the grown-up.

“Brothers, I cannot speak to you as I do to spiritual people, but as to carnal beings, to children in Christ” (verse 1).

“I fed you with milk and not with rice, because you were not worthy, and you cannot now” (verse 2).

We need to grow up “so that we may not fall into the tricks of men and the deceitful temptations of men, and be driven and tossed by every wind of doctrine” (Ephesians 4:14).

3) Lack of knowledge.

People mature through childhood. Therefore, even famous scholars and PhDs have had childhoods who received a very basic education from kindergarten teachers. When I look at the people who are planning to become presidents of our country now, they were ordinary people, not outstanding people when I was in school. In fact, just because you're good at your studies doesn't guarantee you'll be a good person. Among the people who left the world fame, there were many ordinary people when they were young.

Einstein, a scientist, was speechless until the age of four, illiterate by the age of seven, Beethoven was criticized by music teachers as having no hope of becoming a composer, and Walt Disney was fired from a newspaper for lack of ideas. Also, writer Tolstoy was a failed student, Abraham Lincoln served as a commander in the Black Hawk War and retired as a pawn, and Winston Churchill was a failed middle school student.

By the way, although everything is immature, children can have infinite possibilities and hopes because they grow up. Jo Hyun-young, author of “I want to be God’s possibility,” went to the United States when he was in his third year of middle school and got 0 points on the high school English test and was criticized for being a retarded and inferior student. I graduated from Stanford, a world-renowned university with a full scholarship.

Paul said, “When I was a child, I spoke like a child, I understood like a child, I thought like a child, but when I became a man, I gave up childish things” (1 Corinthians 13:11).

Look at the young believers in Corinth.

“You are still carnal, and since there are envy and strife among you, how is it that you are not carnal and walk after men? -4).

Also, we must not forget that faith does not grow through years of training or become perfect by itself when there is only one job. Therefore, you should always strive to live a godly life.

1) You must be fervent in your prayer life.

“The end of all things is near; therefore, be sober and sober and pray” (1 Peter 4:7).

“If you call upon Me and come to Me and pray, I will hear your prayers; and if you seek Me with all your heart, you will find Me and find Me” (Jeremiah 29:12-13).

2) You must work hard in your life of service.

“As each one has received a gift, serve one another as good stewards of the various graces of God. If anyone speaks, let him speak as if he were speaking the word of God, and if anyone would serve, let him do it by the power that God supplies. that God may be glorified, to whom is glory and power forever and ever, Amen” (1 Peter 4:10-11).

I hope that all of us will attain the full stature of Christ and become saints who bear the abundant fruit of the Holy Spirit.

 

3 A person of mature faith

1) A person of faith who gives all glory to the Lord alone.

The truth to understand in the parable of talents i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talents according to talents. Likewise, the mission of the evangelist is also the same.

“What then is Apollos, and what is Paul? These are the ministers whom the Lord gave each one of you, so that you believe. I planted and Apollos watered, but God made it grow” (verse 5).

Although they do the Lord's work as the same evangelist, the duties of Paul and Apollos are different. Of course, this is a characteristic from a relative standpoint, and it cannot be said that Paul was not involved in the ministry or that Apollos was not interested in sowing. What is clear is that the conflict in the church in Corinth did not happen through leaders of faith, but rather through people who were young in faith.

2) Don't be conceited.

This is because we realize that all things come from a gracious God. Even if the farmer sows the seed and waters it, what will happen if God does not make it grow? It may fail due to pests and diseases, or it may fail due to natural disasters. Right now, our church is praying for church building, but it is being delayed due to various problems. But I believe that the will of the Lord will come true. What we need to be careful about is that we have to control the thoughts of the flesh. We want all of us to become saints who take the lead in accomplishing God's will.

“Therefore, neither the one who plants nor the one who waters is anything, but God who makes it grow” (verse 7).

This does not mean that the efforts of the evangelist are in vain, but rather that I cannot boast of my efforts in the presence of God who gives grace.

We cannot see the moon and stars during the day. But you cannot think that it is not there, because at night you can see it again.

The four living creatures and the twenty-four elders around the throne sing praises before the Lord.

“When the living creatures give glory and honor and thanks to him who sits on the throne and lives for ever and ever, the twenty-four elders fall down before him who sits on the throne and worship him who lives for ever and ever, and cast their crowns before the throne, saying, Our Lord God, You are worthy to receive glory and honor and power, for you created all things, and by your will they exist and were created” (Revelation 4:9-11).

Not only that, but the glory that the saved saints give to the Lord is the same.

Remember, no matter how we serve the Lord, our rewards are different.

“The one who plants and the one who waters are common, but each will receive his own reward according to his work” (verse 8).

“Behold, I am coming soon, and my reward is with me, to repay each one according to what he has done. I am the Alpha and the Omega, the first and the last, the beginning and the end” (Revelation 22:12-13).

I pray that all of us will become saints who dictate the crown of righteousness when we stand before the Lord in the ranks of faithfulness. Amen

 

 

 

 

장성한 믿음

고전 3:1-9

 

혹자는 세 가지의 인생을 말을 합니다.

1) 거미와 같이 남의 약점을 악용하여 사는 사람

2) 개미와 같이 부지런하게 살지만 자신의 유익만을 위해 사는 사람

3) 꿀벌과 같이 자신과 타인 모두에게 유익을 주는 사람이 있다고 합니다. 여기서 교훈 삼고자 하는 것은 꿀벌과 같은 인생을 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또 다른 각도에서 세 가지 인생을 생각하고자 합니다.

 

1 불신자

햇빛과 우로와 같은 일반적인 은혜는 믿는 자나 믿지 않는 자에게 골고루 혜택을 입히므로 신앙과 불신앙 관계없이 생육과 번영의 복을 누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통해 대속의 은혜를 힘입은 사람만이 진리 안에서 참된 자유를 누릴 수 있습니다. 또한 성령의 역사가 아니고는 영생의 진리를 깨달을 수 없는 것입니다.

“우리가 온전한 자들 중에서 지혜를 말하노니 이는 이 세상의 지혜가 아니요 또 이 세상의 없어질 관원의 지혜도 아니요 오직 비밀한 가운데 있는 하나님의 지혜를 말하는 것이니 곧 감취었던 것인데 하나님이 우리의 영광을 위하사 만세 전에 미리 정하신 것이라 이 지혜는 이 세대의 관원이 하나도 알지 못하였나니 만일 알았더면 영광의 주를 십자가에 못 박지 아니하였으리라”(고전2:6-8).

거듭나지 못하면 믿는다고 할지라도 여전히 혈육에 속한 종교인일 뿐입니다. 이유는 자력으로는 새사람이 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세상에서 자랑할 것이 많은 사람은 자만하지 않도록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2 신앙이 성숙하지 못한 사람

이는 분명히 불신자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우리의 신앙은 그리스도의 온전한 분량에 이르도록 성장해야 합니다. 곡식은 자라야 열매를 맺고 믿음은 성숙해야 성령의 열매를 맺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갓난아이들 같이 순전하고 신령한 젖을 사모하라 이는 이로 말미암아 너희로 구원에 이르도록 자라게 하려 함이라”(벧전2:2).

“우리가 다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것과 아는 일에 하나가 되어 온전한 사람을 이루어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이 충만한 데까지 이르리니”(엡4:13).

고린도 교회는 믿음이 성숙하지 못한 일로 문제가 많았습니다.

어린아이의 특징을 살펴보면,

1) 눈물이 많습니다.

제가 어렸을 때 기억입니다. 하루는 어머니께서 시장에 간다고 하시기에 떨어지기 싫어 울었던 일이 있었습니다. 아이는 눈물이 많습니다. 이는 자기가 약하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우리도 처음 은혜를 받았을 때 눈물이 많았을 것입니다. 사실 그런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또 그때가 귀중합니다. 그러나 장성한 사람일지라도 영적인 순수성을 잃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은 하나님의 나라는 어린 아이의 것이라 하였기 때문입니다.

2) 분별력이 부족합니다.

고린도 교인들을 향해 바울은 장성한 자의 양식을 나눌 수 없었습니다.

“형제들아 내가 신령한 자들을 대함과 같이 너희에게 말할 수 없어서 육신에 속한 자 곧 그리스도 안에서 어린아이들을 대함과 같이 하노라”(1절).

“내가 너희를 젖으로 먹이고 밥으로 아니하였노니 이는 너희가 감당치 못하였음이거니와 지금도 못하리라”(2절).

우리가 마땅히 성장해야 할 것은 “사람의 궤술과 간사한 유혹에 빠져 모든 교훈의 풍조에 밀려 요동치 않게 하기 위해서”(엡4:14) 입니다.

3) 지식이 부족합니다.

사람은 어린 시절을 거쳐서 장성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유명한 학자요 박사라 할지라도 유치원 교사를 통해 지극히 기초적인 교육을 받은 어린 시절들이 있는 것입니다. 지금 우리나라에 대통령 되겠다고 나서는 사람들을 보니 학창 시절에 그렇게 뛰어난 사람이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이었습니다. 사실 공부를 잘한다고 해서 반드시 훌륭한 사람이 된다는 보장은 없는 것입니다. 세계적으로 명성을 남긴 인물들 중에도 어릴 때는 평범한 사람이 많았습니다.

과학자 아인슈타인은 네 살까지 말을 못했고 일곱 살까지 글을 읽지 못했으며, 베토벤은 음악교사에게 작곡가가 될 가망성이 없다는 평을 받았고, 월트 디즈니는 아이디어가 없다는 이유로 신문사에서 해고를 당했습니다. 또한 문호 톨스토이는 낙제생이었고, 아브라함 링컨은 블랙호크 전쟁에 사령관으로 있다가 졸병으로 퇴역하였으며, 윈스턴 처칠은 중학교 낙제생이었습니다.

그런데 아이는 모든 것이 미숙하지만 성장하기 때문에 무한한 가능성과 희망을 가질 수 있는 것입니다. “나는 하나님의 가능성이고 싶다”는 저자 조현영 군은 중학교 삼학년 때 미국으로 가서 고등학교 영어 시험에 0점을 받고 저능아 열등생 아라는 비난을 받으면서도 열심히 성경을 읽으면서 기도하여 솔로몬과 같이 하나님의 지혜를 받아 전액 장학금으로 세계적인 명문대학 스탠포드를 졸업하였습니다.

바울은 “내가 어렸을 때에는 말하는 것이 어린아이와 같고 깨닫는 것이 어린아이와 같고 생각하는 것이 어린아이와 같다가 장성한 사람이 되어서는 어린아이의 일을 버렸노라”(고전13:11) 하였습니다.

믿음이 어린 고린도 교인들을 보십시오.

“너희가 아직도 육신에 속한 자로다 너희 가운데 시기와 분쟁이 있으니 어찌 육신에 속하여 사람을 따라 행함이 아니리요 어떤 이는 말하되 나는 바울에게라 하고 다른 이는 나는 아볼로에게라 하니 너희가 사람이 아니리요”(3-4).

또 신앙은 연수로 성장하거나 직분만 있으면 저절로 온전해지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그러므로 경건 생활에 항상 힘써야 합니다.

1) 기도 생활에 열심 해야 합니다.

“만물의 마지막이 가까웠으니 그러므로 너희는 정신을 차리고 근신하여 기도하라”(벧전4:7).

“너희가 내게 부르짖으며 내게 와서 기도하면 내가 너희들의 기도를 들을 것이요 너희가 온 마음으로 나를 구하면 나를 찾을 것이요 나를 만나리라”(렘29:12-13).

2) 봉사생활에 힘써야 합니다.

“각각 은사를 받은 대로 하나님의 각양 은혜를 맡은 선한 청지기같이 서로 봉사하라 만일 누가 말하려면 하나님의 말씀을 하는 것같이 하고 누가 봉사하려면 하나님의 공급하시는 힘으로 하는 것같이 하라 이는 범사에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이 영광을 받으시게 하려 함이니 그에게 영광과 권능이 세세에 무궁토록 있느니라 아멘”(벧전4:10-11).

우리 모두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에 이르러 성령의 풍성한 열매 맺는 성도들이 되시기 소원합니다.

 

3 성숙한 신앙의 사람

1) 모든 영광을 주님께만 돌리는 믿음의 사람입니다.

달란트 비유에서 깨달아야 할 진리는 재능대로 달란트의 분량에 차이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전도자의 임무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런즉 아볼로는 무엇이며 바울은 무엇이뇨 저희는 주께서 각각 주신 대로 너희로 하여금 믿게 한 사역자들이니라 나는 심었고 아볼로는 물을 주었으되 오직 하나님은 자라나게 하셨나니”(5절).

동일한 전도자로 주의 일을 하지만 바울과 아볼로의 임무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물론 이것은 상대적인 입장에서 특징을 말하는 것으로 바울이 목회에 무관했거나 아볼로가 씨 뿌리는 일에 관심을 두지 않았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분명한 것은 고린도 교회 분쟁은 믿음의 지도자를 통해서 일어난 것이 아니라 신앙이 어린 사람들을 통해 일어나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2) 자만하지 않습니다.

이는 모든 것이 은혜 베푸시는 하나님으로 말미암았다는 것을 깨닫기 때문입니다. 농부가 씨를 뿌리고 물을 준다 할지라도 하나님께서 자라게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병충해로 실패할 수도 있고 천재지변으로도 실패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 지금 우리 교회는 교회 건축을 위해 기도하고 있는데 여러 가지 문제로 지연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주님의 뜻대로 이루어질 줄 믿습니다. 우리가 주의해야 할 것은 육신의 생각을 다스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우리 모두 하나님의 뜻을 이룩하는 일에 앞장서는 성도들이 되시기를 소원합니다.

“그런즉 심는 이나 물주는 이는 아무것도 아니로되 오직 자라나게 하시는 하나님뿐이니라”(7절).

이는 전도자의 수고가 무익하다는 의미가 아니라 은혜를 베풀어 주시는 하나님 앞에서 감히 내 수고를 자랑을 할 수 없다는 말씀입니다.

우리가 낮에는 달과 별을 볼 수 없지요. 그렇다고 그것이 없다고 생각할 수 없는 것은 밤이 되면 다시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보좌 앞에 둘러선 네 생물과 이십사 장로들이 주 앞에서 부르는 찬양입니다.

“그 생물들이 영광과 존귀와 감사를 보좌에 앉으사 세세토록 사시는 이에게 돌릴 때에 이십사 장로들이 보좌에 앉으신 이 앞에 엎드려 세세토록 사시는 이에게 경배하고 자기의 면류관을 보좌 앞에 던지며 가로되 우리 주 하나님이여 영광과 존귀와 능력을 받으시는 것이 합당하오니 주께서 만물을 지으신지라 만물이 주의 뜻대로 있었고 또 지으심을 받았나이다”(계4:9-11).

뿐만 아니라 구원받은 성도들이 주님께 돌리는 영광은 마찬가지입니다.

기억할 것은 우리가 어떻게 주님을 섬기든지 거기 따라 상급이 달라진다는 사실입니다.

“심는 이와 물주는 이가 일반이나 각각 자기의 일하는 대로 자기의 상을 받으리라”(8절).

“보라 내가 속히 오리니 내가 줄 상이 내게 있어 각 사람에게 그가 행한 대로 갚아 주리라 나는 알파와 오메가요 처음과 마지막이요 시작과 마침이라”(계22:12-13).

우리 모두 충성된 대열에서 주 앞에 서는 날 의의 면류관을 받아쓰는 성도들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공적대로 받는 영광

고전 3:10-15

 

우리는 모두 신령한 건축자로서 각자의 영적인 집을 짓고 있습니다. 왕조시대를 보면 왕들은 무덤을 화려하게 꾸미고 유택을 짓고 또 관리인을 두었습니다. 그러나 그 모든 것이 심판 날 무슨 영광이 될까요? 애굽의 피라밋을 비롯하여 중국의 진시 왕능도 마찬가지입니다. 중요한 것은 썩어질 것을 위해 지을 것이 아니라 썩지 아니할 영원한 집을 지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1. 진리의 기초위에 세워야 합니다.

“내게 주신 하나님의 은혜를 따라 내가 지혜로운 건축자와 같이 터를 닦아두매 다른 이가 그 위에 세우나 그러나 각각 어떻게 그 위에 세우기를 조심할지니라”(10절).

‘터를 닦아두매’ 이 터는 은혜와 진리 곧 “예수 그리스도”(11절)를 가리키는 것입니다. 바울은 일찍이 가말리엘 문하에서 받은 교육은 그를 진리의 원수가 되어 복음으로부터 멀어지게 했던 것입니다.

교육이 중요하고 또 인간은 반드시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농부가 과목을 심어놓고 거름을 주지 않으면 좋은 열매를 기대를 기대할 수 없습니다. 뿐만 아니라 씨를 뿌리고 김을 매지 않아도 잡초밭으로 변하고 말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진리의 교육에 힘써야 합니다.

오늘은 오월 오일 어린이 주일입니다. 또 오월은 가정의 달입니다. 어른들은 실용적이고 현실적으로 살지만, 청소년들은 꿈과 이상을 가지고 살아갑니다. 그 이상과 꿈이 중요한 것은 그 꿈에 따라 장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천팔백구 년 이월 십이일 미국 켄터키의 산골에서 아브라함 링컨이 태어나는 순간 미국은 흑인이 해방되고 노예제도가 폐지되는 기운이 싹트고 있었습니다. 요한 웨슬리가 은혜를 받던 순간 영국은 변화되기 시작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어느 때를 막론하고 진리 위에 바로 선 믿음의 사람, 꿈을 가진 사람을 들어 쓰십니다.

“이 닦아둔 것 외에 능히 다른 터를 닦아둘 자가 없으니 이 터는 곧 예수 그리스도라”(11절).

그리스도가 유일한 구주라는 증거가 무엇입니까? 이는 그리스도의 신성, 그리스도의 성육신, 그리스도의 복음, 그리스도의 대속, 그리스도의 부활, 그리스도의 승천과 마지막 날 재림의 약속입니다. 이 진리 위에 세워야 그 집이 견고해질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합니다. 그러므로 바울은 믿음의 아들 디모데에게 “네가 네 자신과 가르침을 삼가 이 일을 계속하라 이것을 행함으로 네 자신과 네게 듣는 자를 구원하리라”(딤전4:16).

 

2. 좋은 재료를 써야 합니다.

“만일 누구든지 금이나 은이나 보석이나 나무나 풀이나 짚으로 이 터 위에 세우면”(12절). 여기서 우리는 두 가지로 대별할 수 있는데 하나는 불에 탈 가연성 재료요, 하나는 불타지 않는 불가연성 재료입니다.

우리나라도 건축술이 발달 되기 전에는 기초가 약해서 높은 집을 지을 수 없었습니다. 반반한 돌을 놓고 그 위에 기둥을 세우고 단층집을 세웠을 뿐입니다. 지금 롯데에서 부산에 짓고 있는 빌딩이 104 층입니다. 그런 집을 나무나 풀로는 지탱할 수 없는 것입니다.

금이나 은, 보석과 나무나 풀, 짚은 가치적인 면에서도 비교할 수 없습니다. 삼십사 년 전에 제가 교회를 개척 할 때는 삼 일 만에 교회 지붕을 올렸던 일이 있었습니다. 그때 중랑천 둑에는 자고 나면 무허가 집들이 늘어나는 실정이었습니다. 또 같은 집일지라도 어떤 자재를 쓰느냐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천국에는 재개발이 없다는 사실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그곳에는 부실공사가 없을 뿐 아니라 불량재료도 쓰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어떤 부자가 죽음에 직면해서 하나님께 기도했습니다.

“하나님, 나 재물을 이렇게 많이 두고 눈을 감을 수 없으니 이것을 가지고 갈 수 있도록 허락해 주십시오.” 하였더니 “그렇다면 가장 작은 불량으로 만들어 오라”는 허락을 받아 금을 안고 천국 문을 노크했더니 문을 열어주면서 하시는 말씀, “이런 것은 여기서 길바닥에 까는 건데 왜 힘들게 가져 왔느냐”고 했다고 합니다.

천국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보십시오.

“그 성의 성곽의 기초석은 각색 보석으로 꾸몄는데 첫째 기초석은 벽옥이요 둘째는 남보석이요 셋째는 옥수요 넷째는 녹보석이요 다섯째는 홍마노요 여섯째는 홍보석이요 일곱째는 황옥이요 여덟째는 녹옥이요 아홉째는 담황옥이요 열째는 비취옥이요 열한째는 청옥이요 열두째는 자정이라 그 열두 문은 열두 진주니 문마다 한 진주요 성의 길은 맑은 유리 같은 정금이더라”(계21:19-21).

성령이 내 마음을 성전 삼고 거하심을 알았다면 여기에 부실 재료가 들어가서는 안 될 것입니다. 저는 지난주 새벽 예배 시간에 어느 분이 감사예물을 드렸는데 봉투에 ‘하나님, 내 마음 아시지요’ 라고 쓴 것을 보았습니다.

신앙 연조가 귀하다 할지라도 감사를 잃으면 옥합을 깨뜨려 주님을 섬긴 믿음과 동일한 영광에 이를 수는 없을 것입니다. 우리는 중심을 보시는 하나님께 나무나 풀, 지푸라기 정성이 아닌 금과 은, 보석의 정성으로 섬겨야 합니다. 이것이 곧 영원한 영광에 이르는 영적인 열매입니다.

 

3. 불로 시험하는 공적

새로운 약품을 개발하면 먼저 세계보건기구의 테스트를 받아야 합니다. 다른 상품 역시 일정한 표준 규격에 따라야 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우리의 신앙도 엄격한 심사과정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각각 공력이 나타날 터인데 그날이 공력을 밝히리니 이는 불로 나타내고 그 불이 각 사람의 공력이 어떠한 것을 시험할 것임이니라”(13절)

마지막 심판의 불길을 통과할 수 있는 것이 재물이라면 당연히 물질을 쌓는 것이 옳을 것입니다. 그러나 육신과 함께 물질도 사라질 것입니다.

“주의 날이 도적같이 오리니 그날에는 하늘이 큰 소리로 떠나가고 체질이 뜨거운 불에 풀어지고 땅과 그 중에 있는 모든 일이 드러나리로다 이 모든 것이 이렇게 풀어지리니 너희가 어떠한 사람이 되어야 마땅하뇨”(벧후3:10-11).

어제 상을 당한 가정이 있었는데 그분은 사십 대의 젊은 나이인데도 하나님께서 불러 가셨습니다. 인간적으로 생각하면 모셔야 할 병든 시어머니가 살아 있고 아내의 내조가 필요한 남편이 있고, 어머니의 손길이 필요한 자식들이 있는데 세상을 떠나고 말았습니다. 이것이 인생입니다. 그분은 비록 오래지 않은 세상을 살다가 갔을지라도 수고와 슬픔을 맛보고 떠났습니다. 감사한 일은 유족들에게 신앙생활 잘하도록 당부하고 눈을 감았다는 것입니다.

여러분!

무엇을 위해 오늘을 살아가고 있습니까? 우리가 믿음을 저버리면 모든 것이 허무로 돌아간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모든 육체는 풀과 같고 그 모든 영광이 풀의 꽃과 같으니 풀은 마르고 꽃은 떨어지되 오직 주의 말씀은 세세토록 있도다”(벧전1:24).

과연 영원한 것이 무엇인지 알았다면 오늘을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을 다짐해야 할 것입니다. 시간은 기다려주지 않습니다. 취사선택의 자유는 자신에게 달렸습니다. 바울은 이 진리를 깨닫고 세상의 모든 것을 배설물과 같이 포기하고 살았던 것입니다. 우리도 이러한 믿음의 사람이 되어야 하겠습니다.

 

4. 부끄러운 구원

“누구든지 공력이 불타면 해를 받으리니 그러나 자기는 구원을 얻되 불 가운데서 얻는 것 같으리라”(15절).

‘공력이 불타면 해를 받으리니’ 이는 물론 심판 때 받는 화를 의미합니다. 그러나 세상에서도 불같은 시험이 닥칠 때 과연 내 믿음이 어떠한가를 진단해 보아야 할 것입니다. 사드락과 메삭, 아벳느고는 풀무불의 시험에서도 그 믿음이 사라지지 아니하였고, 다니엘은 사자굴의 시험에서도 그 믿음이 요동하지 않았으며, 스데반은 돌무덤 세례를 받을 때 그 얼굴이 천사와 같이 빛을 발했습니다. 또한 바울은 “나의 달려갈 길과 주 예수께 받은 사명 곧 하나님의 은혜의 복음 증거하는 일을 마치려 함에는 나의 생명을 조금도 귀한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노라”(행20:24) 하였습니다.

이처럼 믿음의 선진들이 시험을 극복할 수 있었던 것은 하늘의 상 주심을 바라보았기 때문입니다.

그날에 공적이 불타지 않도록 기도해야 합니다.

그날에 공적이 불타버릴 자들도 면류관 받을 줄 기대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공적이 사라진 자들에게는 ‘해를 받으리니’ 하였는데 이 말씀은 “그가 벌과금을 물게 될 것이다”라는 의미입니다.

진리가 아닌 것은 어떤 것도 영원하지 않다는 것을 믿으십니까? 심판 날에 불타버릴 것이라면 자랑하지 마십시오. 오직 그리스도의 영광이 온 세상에 전파되는 진리의 업적만을 남기는 믿음의 부자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Divine measure

1 Corinthians 2:13-16

 

The spiritual standard, that is, the standard of faith, is the standard by which all things or events are measur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ruth. The world-wide standard for distance is the meter, and the weight is in grams. In this way, we must have a spiritual standard to live our lives correctly.

 

1. A divine measure

“We are speaking these things, not in words taught by human wisdom, but in what the Holy Spirit taught us, so that spiritual things are discerned” (verse 13).

This world is for everyone to pass by. The beauty of youth also passes. If you look at the lives of American Hollywood actors, you can't believe that no one is more accustomed to enjoying life as much as they do. It enjoys the greatest popularity and is invited to parties day by day with favors. There will be no separate heavenly life in the picture. This leads many to fall into such fantasies.

But it is a shadow of happiness, so it cannot give you true satisfaction.

“Fine things are deceitful, and beautiful things are vain” (Proverbs 31:30).

“All flesh is like grass, and all its glory is like the flowers of the field” (1 Peter 1:24).

I think that smartphones are the most preferred by the younger generation now. When I first went to the United States, I saw a tour bus driver communicating with a wireless phone, and I thought that the United States was really different, but now Korea is exporting smartphones all over the world.

The older generation, who have lived in a labor-intensive form, are living today in a world of dreams that they cannot even imagine. However, since this material civilization does not satisfy the desires of the soul, the suicide rate among young people increases year by year.

Last month, a man in his 30s and two teenage girls committed suicide on the roof of the 28th floor of an apartment building in Daerim-dong. They say they met on internet suicide sites. It is also said that there was a person who went to Daegu, Cheonan, and Pyeongtaek and drove them to Seoul in his own car.

Is life so futile? It's not like that. Human beings are the most beautiful and precious of all creation. Therefore, God created human beings in His image and said, “It was very good” (Genesis 1:31).

What is it that makes you give up your life for such a beautiful life? That is the devil's snare.

However, there is nothing more precious than that if you dedicate your life to the truth. We need to yearn for the Word and draw closer.

“Blessed is the man who walks not in the counsel of the wicked, nor stands in the way of sinners, nor sits in the seat of the scoffers, but his delight is in the law of the Lord, and in his law he meditates day and night. It bears fruit and its leaf does not wither; in all that he does, it prospers” (Psalm 1:1-3).

 

2. The natural man and the spirit man

The famous English preacher Charles Spurgeon said, "If an unregenerate natural man cannot comprehend rebirth and spiritual things, it is the same as an animal cannot comprehend astronomy."

“The natural man does not receive the things of the Spirit of God, which to them are foolishness, and they do not understand them, for these things are spiritually different” (verse 14).

What kind of person is natural, and what is spiritual? Of course, it can be said that the believer is of the spirit, and the unbeliever is of the flesh. But while he has faith, he must know that there is a natural man.

We know Esau and Jacob. Esau was born as the older brother, but he sold his birthright for a bowl of red bean soup and lost his heavenly blessing. But Jacob was the one who took the birthright and heavenly blessings with red bean soup. It would be difficult to say that Esau did so because he did not know his father's serving God. The only thing he did wrong was because he was drawn to the flesh rather than the spiritual.

“And Esau said, I am about to die, and what profit is this birthright to me… Esau took an oath and sold the birthright to Jacob” (Genesis 25:32-33).

This is evidence that Esau did not overcome his instinctive desire, or appetite. After fasting for forty days, the Lord defeated Satan's temptations with the Word.

“If you are the Son of God, command these stones to become loaves of bread.”

“It is written, Man shall not live on bread alone, but on every word that proceedeth out of the mouth of God” (Matthew 4:4).

Look at how the fruit of knowledge and evil appeared in the eyes of Eve, who had fallen into Satan's temptation.

“It was a tree that was good for food, and that it was pleasing to the eyes, and that it was desirable to make one wise; and the woman took from its fruit and ate, and gave it to her husband, and he also ate” (Genesis 3:6).

Can it be said that Adam and Eve ate the forbidden fruit because they did not know God? We must resist the temptations of the devil.

“Therefore submit yourselves to God, resist the devil, and he will flee from you. Draw near to God, and he will draw near to you. Cleanse your hands, you sinners, and sanctify your hearts, you double-minded.” (Jas 4: 7-8).

What kind of person is a spiritual person and what kind of person is a natural person? He is of the same body. If there is a difference, one is a person who follows the desires of the flesh, and the other is a person who controls the desires of the flesh and lives according to the spirit.

We know the life of Paul, who gave up everything like dung for the sake of the truth. This does not mean that Paul lived without food or clothing.

While Jesus was in the flesh, he transcended material things and did not live solely on spiritual food. Even so, the Lord lived a life that fulfilled the will of God, not for the sake of the flesh.

In this way, the spiritual life lived by faith that honors Christ in my body whether I eat or drink, live or die. Those who follow the desires of the flesh give priority to what they see, but those who live a spiritual life follow the wishes of the spirit and have spiritual eyes, that is, eyes of hope.

Because Paul had these eyes, he was able to sow things that are carnal and that I could not keep, and reap eternal things.

When I saw the donation statistics posted last week, high school students made a building donation, including $100 sent by Hyemin, the daughter of Rev. Soonbok Lee's daughter in the United States. I prayed because I thought how pleased God would be with such a pure and beautiful hand. It is the same substance, but some incite God's wrath, while others please God's heart. If we realize what true blessing is, we too should become rich in faith.

 

3. Leader's Authority

The ability of a leader is important to lead an organization in any society or country, any community. Of course, excellent leadership is important, but a leader must also be honest and clean so that he can be trusted by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When Solomon offered a thousand burnt offerings to God and asked for wisdom, God was with him, and no one challenged him. However, when he took many foreign wives as his wives and sinned by failing to control their idolatry, the nations that paid tribute became his enemies, and the kingdoms were divided during the reign of his son Rehoboam. The unfortunate thing is that even at the end of the regime in our country, the authority of the leader is being eroded due to corruption committed during his tenure in office. We must be careful not to fall into the Devil's snare and lose our spiritual authority.

“The spiritual one judges all things, but he himself is judged by no one” (verse 15).

This is the power of godliness. The early church had the power of godliness in the apostles.

“Everyone was afraid, but many wonders and signs appeared because of the apostles” (Acts 2:43).

“As the apostles testified of the resurrection of the Lord Jesus with great power, the crowds received great favor, and no one among them was in need” (Acts 4:33-34).

It is the power of godliness that the centurion Cornelius fell to the ground and bowed before Peter's feet. In this way, when God is with us, the power of godliness comes.

 

4 The heart of Christ

“Who will know the mind of the Lord and teach the Lord, but we have the mind of Christ” (verse 16).

“From now on, let no one trouble me, for I bear the marks of Jesus on my body” (Galatians 6:17).

Because Paul had the heart of the Good Shepherd, Jesus Christ, the work of life and the Holy Spirit took place through him. However, depending on the subject, the shepherd's heart was different.

“I know that when I come to you, I will bring with me the full blessings of Christ” (Romans 15:29).

“What do you want? Shall I come to you with a rod, or in love and meekness of heart” (1 Corinthians 4:21).

If you know that blessings come to those who are blessed and that there is a whip to those who are being disciplined, I pray that we all become saints who light the world with the heart of Christ Jesus. Amen

 

 

공적대로 받는 영광

고전 3:10-15

 

우리는 모두 신령한 건축자로서 각자의 영적인 집을 짓고 있습니다. 왕조시대를 보면 왕들은 무덤을 화려하게 꾸미고 유택을 짓고 또 관리인을 두었습니다. 그러나 그 모든 것이 심판 날 무슨 영광이 될까요? 애굽의 피라밋을 비롯하여 중국의 진시 왕능도 마찬가지입니다. 중요한 것은 썩어질 것을 위해 지을 것이 아니라 썩지 아니할 영원한 집을 지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1. 진리의 기초위에 세워야 합니다.

“내게 주신 하나님의 은혜를 따라 내가 지혜로운 건축자와 같이 터를 닦아두매 다른 이가 그 위에 세우나 그러나 각각 어떻게 그 위에 세우기를 조심할지니라”(10절).

‘터를 닦아두매’ 이 터는 은혜와 진리 곧 “예수 그리스도”(11절)를 가리키는 것입니다. 바울은 일찍이 가말리엘 문하에서 받은 교육은 그를 진리의 원수가 되어 복음으로부터 멀어지게 했던 것입니다.

교육이 중요하고 또 인간은 반드시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농부가 과목을 심어놓고 거름을 주지 않으면 좋은 열매를 기대를 기대할 수 없습니다. 뿐만 아니라 씨를 뿌리고 김을 매지 않아도 잡초밭으로 변하고 말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진리의 교육에 힘써야 합니다.

오늘은 오월 오일 어린이 주일입니다. 또 오월은 가정의 달입니다. 어른들은 실용적이고 현실적으로 살지만, 청소년들은 꿈과 이상을 가지고 살아갑니다. 그 이상과 꿈이 중요한 것은 그 꿈에 따라 장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천팔백구 년 이월 십이일 미국 켄터키의 산골에서 아브라함 링컨이 태어나는 순간 미국은 흑인이 해방되고 노예제도가 폐지되는 기운이 싹트고 있었습니다. 요한 웨슬리가 은혜를 받던 순간 영국은 변화되기 시작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어느 때를 막론하고 진리 위에 바로 선 믿음의 사람, 꿈을 가진 사람을 들어 쓰십니다.

“이 닦아둔 것 외에 능히 다른 터를 닦아둘 자가 없으니 이 터는 곧 예수 그리스도라”(11절).

그리스도가 유일한 구주라는 증거가 무엇입니까? 이는 그리스도의 신성, 그리스도의 성육신, 그리스도의 복음, 그리스도의 대속, 그리스도의 부활, 그리스도의 승천과 마지막 날 재림의 약속입니다. 이 진리 위에 세워야 그 집이 견고해질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합니다. 그러므로 바울은 믿음의 아들 디모데에게 “네가 네 자신과 가르침을 삼가 이 일을 계속하라 이것을 행함으로 네 자신과 네게 듣는 자를 구원하리라”(딤전4:16).

 

2. 좋은 재료를 써야 합니다.

“만일 누구든지 금이나 은이나 보석이나 나무나 풀이나 짚으로 이 터 위에 세우면”(12절). 여기서 우리는 두 가지로 대별할 수 있는데 하나는 불에 탈 가연성 재료요, 하나는 불타지 않는 불가연성 재료입니다.

우리나라도 건축술이 발달 되기 전에는 기초가 약해서 높은 집을 지을 수 없었습니다. 반반한 돌을 놓고 그 위에 기둥을 세우고 단층집을 세웠을 뿐입니다. 지금 롯데에서 부산에 짓고 있는 빌딩이 104 층입니다. 그런 집을 나무나 풀로는 지탱할 수 없는 것입니다.

금이나 은, 보석과 나무나 풀, 짚은 가치적인 면에서도 비교할 수 없습니다. 삼십사 년 전에 제가 교회를 개척 할 때는 삼 일 만에 교회 지붕을 올렸던 일이 있었습니다. 그때 중랑천 둑에는 자고 나면 무허가 집들이 늘어나는 실정이었습니다. 또 같은 집일지라도 어떤 자재를 쓰느냐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천국에는 재개발이 없다는 사실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그곳에는 부실공사가 없을 뿐 아니라 불량재료도 쓰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어떤 부자가 죽음에 직면해서 하나님께 기도했습니다.

“하나님, 나 재물을 이렇게 많이 두고 눈을 감을 수 없으니 이것을 가지고 갈 수 있도록 허락해 주십시오.” 하였더니 “그렇다면 가장 작은 불량으로 만들어 오라”는 허락을 받아 금을 안고 천국 문을 노크했더니 문을 열어주면서 하시는 말씀, “이런 것은 여기서 길바닥에 까는 건데 왜 힘들게 가져 왔느냐”고 했다고 합니다.

천국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보십시오.

“그 성의 성곽의 기초석은 각색 보석으로 꾸몄는데 첫째 기초석은 벽옥이요 둘째는 남보석이요 셋째는 옥수요 넷째는 녹보석이요 다섯째는 홍마노요 여섯째는 홍보석이요 일곱째는 황옥이요 여덟째는 녹옥이요 아홉째는 담황옥이요 열째는 비취옥이요 열한째는 청옥이요 열두째는 자정이라 그 열두 문은 열두 진주니 문마다 한 진주요 성의 길은 맑은 유리 같은 정금이더라”(계21:19-21).

성령이 내 마음을 성전 삼고 거하심을 알았다면 여기에 부실 재료가 들어가서는 안 될 것입니다. 저는 지난주 새벽 예배 시간에 어느 분이 감사예물을 드렸는데 봉투에 ‘하나님, 내 마음 아시지요’ 라고 쓴 것을 보았습니다.

신앙 연조가 귀하다 할지라도 감사를 잃으면 옥합을 깨뜨려 주님을 섬긴 믿음과 동일한 영광에 이를 수는 없을 것입니다. 우리는 중심을 보시는 하나님께 나무나 풀, 지푸라기 정성이 아닌 금과 은, 보석의 정성으로 섬겨야 합니다. 이것이 곧 영원한 영광에 이르는 영적인 열매입니다.

 

3. 불로 시험하는 공적

새로운 약품을 개발하면 먼저 세계보건기구의 테스트를 받아야 합니다. 다른 상품 역시 일정한 표준 규격에 따라야 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우리의 신앙도 엄격한 심사과정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각각 공력이 나타날 터인데 그날이 공력을 밝히리니 이는 불로 나타내고 그 불이 각 사람의 공력이 어떠한 것을 시험할 것임이니라”(13절)

마지막 심판의 불길을 통과할 수 있는 것이 재물이라면 당연히 물질을 쌓는 것이 옳을 것입니다. 그러나 육신과 함께 물질도 사라질 것입니다.

“주의 날이 도적같이 오리니 그날에는 하늘이 큰 소리로 떠나가고 체질이 뜨거운 불에 풀어지고 땅과 그 중에 있는 모든 일이 드러나리로다 이 모든 것이 이렇게 풀어지리니 너희가 어떠한 사람이 되어야 마땅하뇨”(벧후3:10-11).

어제 상을 당한 가정이 있었는데 그분은 사십 대의 젊은 나이인데도 하나님께서 불러 가셨습니다. 인간적으로 생각하면 모셔야 할 병든 시어머니가 살아 있고 아내의 내조가 필요한 남편이 있고, 어머니의 손길이 필요한 자식들이 있는데 세상을 떠나고 말았습니다. 이것이 인생입니다. 그분은 비록 오래지 않은 세상을 살다가 갔을지라도 수고와 슬픔을 맛보고 떠났습니다. 감사한 일은 유족들에게 신앙생활 잘하도록 당부하고 눈을 감았다는 것입니다.

여러분!

무엇을 위해 오늘을 살아가고 있습니까? 우리가 믿음을 저버리면 모든 것이 허무로 돌아간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모든 육체는 풀과 같고 그 모든 영광이 풀의 꽃과 같으니 풀은 마르고 꽃은 떨어지되 오직 주의 말씀은 세세토록 있도다”(벧전1:24).

과연 영원한 것이 무엇인지 알았다면 오늘을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을 다짐해야 할 것입니다. 시간은 기다려주지 않습니다. 취사선택의 자유는 자신에게 달렸습니다. 바울은 이 진리를 깨닫고 세상의 모든 것을 배설물과 같이 포기하고 살았던 것입니다. 우리도 이러한 믿음의 사람이 되어야 하겠습니다.

 

4. 부끄러운 구원

“누구든지 공력이 불타면 해를 받으리니 그러나 자기는 구원을 얻되 불 가운데서 얻는 것 같으리라”(15절).

‘공력이 불타면 해를 받으리니’ 이는 물론 심판 때 받는 화를 의미합니다. 그러나 세상에서도 불같은 시험이 닥칠 때 과연 내 믿음이 어떠한가를 진단해 보아야 할 것입니다. 사드락과 메삭, 아벳느고는 풀무불의 시험에서도 그 믿음이 사라지지 아니하였고, 다니엘은 사자굴의 시험에서도 그 믿음이 요동하지 않았으며, 스데반은 돌무덤 세례를 받을 때 그 얼굴이 천사와 같이 빛을 발했습니다. 또한 바울은 “나의 달려갈 길과 주 예수께 받은 사명 곧 하나님의 은혜의 복음 증거하는 일을 마치려 함에는 나의 생명을 조금도 귀한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노라”(행20:24) 하였습니다.

이처럼 믿음의 선진들이 시험을 극복할 수 있었던 것은 하늘의 상 주심을 바라보았기 때문입니다.

그날에 공적이 불타지 않도록 기도해야 합니다.

그날에 공적이 불타버릴 자들도 면류관 받을 줄 기대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공적이 사라진 자들에게는 ‘해를 받으리니’ 하였는데 이 말씀은 “그가 벌과금을 물게 될 것이다”라는 의미입니다.

진리가 아닌 것은 어떤 것도 영원하지 않다는 것을 믿으십니까? 심판 날에 불타버릴 것이라면 자랑하지 마십시오. 오직 그리스도의 영광이 온 세상에 전파되는 진리의 업적만을 남기는 믿음의 부자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Honor for achievement

1 Corinthians 3:10-15

 

We are all spiritual builders, building our own spiritual homes. In the dynasty, kings decorated their tombs splendidly, built mansions, and had custodians. But what glory will it all be on Judgment Day? The same is true of the Pyramids of Egypt and the Qin Shi Wangneung of China. The important thing is not to build for perishable things, but to build an eternal house that will not perish.

 

1. It must be built on the foundation of truth.

“According to the grace of God which has been given to me, I have laid the foundation like a wise builder, and another builds upon it, but let each one be careful how he builds upon it” (verse 10).

“The foundation was laid,” which refers to grace and truth, “Jesus Christ” (verse 11). Paul's early education under Gamaliel made him an enemy of the truth and distanced him from the gospel.

Education is important, and human beings must be educated. If the farmer does not fertilize the plants after planting them, he cannot expect good fruit. Not only that, but without sowing and weeding, it will turn into a field of weeds. Therefore, we must devote ourselves to the education of the truth.

Today is May Day Children's Day. Also, May is the month of family. Adults live practically and realistically, but young people live with dreams and ideals. The ideal and the dream are important because the future can change according to the dream. At the moment Abraham Lincoln was born in the mountains of Kentucky, USA on February 12, 1890, the spirit of the liberation of blacks and the abolition of slavery was budding in America. The moment John Wesley received the favor, England began to change. At any time, God uses people who have faith and dreams who stand right on the truth.

“No one is able to lay any other foundation except this one, which is Jesus Christ” (verse 11).

What is the evidence that Christ is the only Savior? It is the promise of the divinity of Christ, the incarnation of Christ, the gospel of Christ, the atonement of Christ, the resurrection of Christ, the ascension of Christ and the Second Coming of the last days. We must realize that building on this truth can make our house strong. Therefore, Paul said to Timothy, son of faith, “Be careful with yourself and on your teachings, and keep doing these things, for by doing these you will save yourself and those who hear you” (1 Timothy 4:16).

 

2. You must use good materials.

“If anyone builds on this foundation with gold, silver, precious stones, wood, grass, or straw” (verse 12). Here, we can roughly classify materials into two categories: one is a combustible material that can be burned, and the other is a non-combustible material.

Even in Korea, before the development of architecture, it was impossible to build a tall house because the foundation was weak. They just laid out a flat stone, built a pillar on it, and built a one-story house. The building that Lotte is currently building in Busan has 104 floors. Such a house cannot be supported by trees or grass.

Gold and silver, precious stones, wood, grass, and straw are incomparable in value. Thirty-four years ago, when I was planting a church, the roof of the church was raised in three days. At that time, on the banks of the Jungnangcheon Stream, the number of unlicensed houses increased after sleeping. Also, even in the same house, there is a difference depending on which material is used.

Please remember that there is no redevelopment in heaven. This is because there is no poor construction and no defective materials are used.

There is a story like this. A rich man faced death and prayed to God.

“God, I can’t close my eyes because I have so much wealth, so please allow me to take it with me.” He said, “Then I got permission to make it with the smallest defect,” and I knocked on the door of heaven with gold.

See how beautiful heaven is.

“The foundation stones of the fortress walls were adorned with various precious stones. The first foundation stone was jasper, the second a sapphire stone, the third jade stone, the fourth green gemstone, the fifth red agate, the sixth red agate stone, the seventh topaz stone, the eighth green jade, and the ninth wall stone. Topaz, the tenth jadeite, the eleventh sapphire, the twelfth midnight, the twelve gates were twelve pearls, each gate was a pearl, and the streets of the city were pure gold like clear glass” (Revelation 21:19-21).

If I had known that the Holy Spirit dwells in my heart as a temple, no incomplete materials should enter here. Last week, during the early morning worship service, someone gave me a thank-you gift, and I saw the words ‘God, you know my heart’ written on the envelope.

Even if the relationship of faith is precious, if you lose your gratitude, you will not be able to achieve the same glory as the faith that broke the alabaster and served the Lord. We must serve God, who sees the heart, not with wood, grass, or straw, but with gold, silver, and precious stones. This is the spiritual fruit that leads to eternal glory.

 

3. Achievements tested by fire

When a new drug is developed, it must first be test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Other products are also subject to certain standard specifications. Likewise, we must know that our faith has a strict screening process.

“Everyone’s work will be revealed, and the day will reveal his work, because it will be revealed by fire, and the fire will test each one’s work of what it is” (verse 13).

If wealth is what can pass through the flames of the Last Judgment, then of course it would be right to accumulate material things. But with the body, matter will also perish.

“The day of the Lord will come like a thief, and in that day the heavens will depart with a loud noise, the elements will be dissolved with scorching fire, and the earth and all that is on it will be revealed. 2 Peter 3:10-11).

Yesterday there was a family who had a prize, and even though he was a young man in his forties, God called him. From a human point of view, the sick mother-in-law to take care of is alive, there is a husband who needs his wife's help, and there are children who need mother's help. This is his life. He went away with toil and sorrow, even though he lived not long ago. What I am grateful for is that I closed my eyes after asking the bereaved family to lead a good life of faith.

everyone!

What are you living today for? We must not forget that if we forsake our faith, everything will be in vain.

“All flesh is like grass, and all its glory is like the flowers of the field; the grass withers and the flowers fall, but the word of the Lord endures forever” (1 Peter 1:24).

If you know what eternal things are, you will have to decide how to live today. Time does not wait. Freedom of choice is up to you. After realizing this truth, Paul gave up everything in the world like excrement and lived. We too must become people of this kind of faith.

 

4. Shameful Salvation

“If anyone's work is burned up, it will be harmed, but he himself will be saved, as in fire” (verse 15).

“If your work is burned, you will be harmed.” This means, of course, the woe that comes at the time of judgment. But even in the world, when fiery tests come, we will have to diagnose what kind of faith we have. Shadrach, Meshach, and Abednego did not lose their faith in the temptation of the furnace, Daniel's faith did not waver in the temptation in the lions' den, and Stephen's face shone like an angel when he was baptized in the stone tomb. Also, Paul said, "I do not count my life of any value as of any value, so that I may finish my course and the mission I received from the Lord Jesus, to testify to the gospel of the grace of God" (Acts 20:24).

In this way, the forefathers of faith were able to overcome trials because they looked to the heavenly reward.

We must pray that the achievements will not be burned on that day.

Those whose achievements will be burned on that day must also expect to receive crowns. But those who have lost their achievements are said to be 'harmful', which means, "He will pay a fine and a fine."

Do you believe that nothing that is not truth is eternal? Don't brag if you're going to burn on Judgment Day. I pray that you will become rich in faith, leaving only the works of the truth that the glory of Christ is spread throughout the world. Amen

 

 

 

 

보석 같은 믿음

고전 3:10-15

 

지난 성탄절, 저는 예년과 다름없이 평소에 저를 아는 여러분들을 통해 성탄 카드를 받았습니다. 참으로 고맙게 생각합니다. 그중에는 함께 교회를 섬기던 교역자들도 있었습니다.

 

“목사님, 사모님 평안하신지요?

제 목회에 첫 스승이신 두 분을 잊지 못합니다.

건강은 어떠신지 염려가 되네요.

부디 건강하셔서 꼭 과업을 이루도록 기도합니다.

000 전도사

유 목사님, 사모님!

즐거운 성탄과 새해를 맞이하여 늘 건강하시고 평안하시기를 기도합니다. 옆에서 가까이 계실 때에도 훌륭하고 존경이 갔는데 떠나고 이제 생각하니 정말 대단하신 목사님과 사모님이란 생각이 들고 한없이 크고 존경스럽기만 합니다. 그때 더 열심히 섬기지 못한 것이 늘 후회됩니다. 앞으로도 계속 부모님처럼 생각하며 늘 사랑하겠습니다. 주님의 평강이 함께 하시길 기도하면서... 000 목사 부부

제가 사십 대 때에는 누가 존경한다는 말을하면 내 나이 육십이 지나면 그런 말을 들어도 괜찮을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지금 와서 생각해 보니 육체로 살아 있는 동안에는 칭찬이 저에게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모든 영광을 주님께 돌리며 또 성도들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1. 반석 같은 믿음

집을 지을 때 중요한 것이 기초공사입니다. 여러 해 전에 무너져 내린 서대문 와우 아파트 사건을 우리는 기억하고 있습니다. 기초가 잘못되면 건물이 오래갈 수 없듯이 우리의 신앙도 마찬가지입니다. 토요일마다 나가서 전도하는 전도특공대의 보고를 받을 때 종종 ‘오늘은 어느 장로님 집을 찾아서 전도했는데 장로님이라는 직임이 참으로 애매하다’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이유는 그분이 교회도 안 나갈 뿐 아니라 술에 중독이 되었다고 하니 문제가 아닐 수 없지요. 무슨 연유로 교회를 등졌는지 알 수는 없지만 분명한 것은 그들의 신앙토대가 잘못되었다는 것입니다.

‘이 닦아둔 것 외에 능히 다른 터를 닦아둘 자가 없으니 이 터는 곧 예수 그리스도라’ 우리는 이 든든한 반석을 외면하고 모래 위에 집을 세우지 않도록 조심해야 할 것입니다. 이 진리는 영원불변합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어제나 오늘이나 영원토록 동일하시니라”(히13:8).

“각양 좋은 은사와 온전한 선물이 다 위로부터 빛들의 아버지께로서 내려오나니 그는 변함도 없으시고 회전하는 그림자도 없으시니라”(약1:17).

우리 모두 반석 같은 믿음으로 세상을 이기고 마귀를 물리치고 승리하는 성도들이 되시기 소원합니다.

 

2. 보석 같은 믿음

몇 해 전 미국에 갔을 때 이야기입니다. 우리 교회 홍현숙 집사님의 막내 사위가 목사로 교회를 섬기면서, 또 출근하는 회사도 있었는데 저를 위해 삼 일간 휴가를 내어 이곳저곳 다니면서 좋은 구경을 많이 시켜주었습니다. 하루는 샌프란시스코의 금문교 밑에서 색다른 음식도 먹고 여러 가지 놀이기구도 구경도 하면서 부둣가에 이르렀는데 거기 진주조개 파는 곳이 있었습니다.

“목사님, 이 조개 안에 진주가 있으니 하나 골라 보십시오.” 하기에 하나 골랐더니 그 안에 콩알만 한 흑진주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 진주로 반지를 만들어 사랑하는 사람에게 선물하려 했는데 어느 날 그 진주가 사라지고 말았습니다. 보석은 귀중합니다. 값진 보물은 많아서 근심될 이유가 없습니다. 쓰레기 오물이 많으면 집이 추해지는데 보물이 많으면 그렇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하나님과 사람 앞에서 보물 같은 사람인지 오물 같은 사람인지 그것이 문제입니다. 이것을 누가 평가할까요? 위에 계신 하나님이십니다.

다시 말씀드리면 하나님께 영광 돌리는 사람은 보물같이 존귀하게 되지만 하나님을 욕되게 하는 사람은 오물 같은 인생이 된다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보시는 기준은 재물이나 권세가 아니라 믿음에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믿음이 없이는 기쁘시게 못하나니 하나님께 나아가는 자는 반드시 그가 계신 것과 또한 그가 자기를 찾는 자들에게 상 주시는 이심을 믿어야 할지니라”(히11:6).

우리는 하나님의 존재를 믿을 뿐 아니라 의가 없는 자라도 상 주실 줄 믿어야 합니다. 죄는 하나님과 원수이므로 회개해야 합니다.

영원하고 참된 보화가 무엇일까요? 그 보화는 땅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하늘에 있는 진리입니다. 그러므로 이 보배를 깨닫는 자가 복이요, 이 보배를 소유한 사람이 복된 사람입니다. 또 참된 보배는 그리스도 안에 있으므로 그리스도와 함께 하는 자가 복이 있음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그러므로 바울은 말하기를 “우리가 이 보배를 질그릇에 가졌으니 이는 능력의 심히 큰 것이 하나님께 있고 우리에게 있지 아니함을 알게 하려 함이라”(고후4:7).

어떤 사람이 보배입니까? 하나님을 기쁘게 하는 믿음의 사람이요, 또 그리스도의 향기를 풍기는 사람입니다. 홍포 입은 부자가 아니라 나사로요, 주님을 위해 옥합을 깨뜨린 여인임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3. 행한 대로 받는 상급

“만일 누구든지 금이나 은이나 보석이나 나무나 풀이나 짚으로 이 터 위에 세우면 각각 공력이 나타날 터인데 그날이 공력을 밝히리니 이는 불로 나타내고 그 불이 각 사람의 공력이 어떠한 것을 시험할 것임이니라”(12-13).

우리는 지난 십이월 이십육일 이란에서 일어난 진도 6.3의 대지진의 참상을 화면으로 보았습니다. 인구 약 십만 명의 도시가 순식간에 무너져서 지금까지 확인된 사망자의 숫자만 해도 오만 명이 넘는다고 합니다. 지옥이 따로 없고 종말적인 심판이 따로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뿐만 아니라 세계 최대의 진흙 성채 ‘아르게 밤’(밤의 성채)이라는 문화유산도 무너져 흙먼지로 변하고 말았습니다. 이것이 인간이 쌓은 바벨탑입니다.

오늘 나의 믿음과 정성은 어떠한지 살펴보아야 하겠습니다. 우리 성도들은 모두 불의 시험대를 통과하고 영광에 이르기를 소원합니다. 진실한 보배는 하나님을 기쁘게 하는 믿음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영광에 이를 기회를 우리에게 주셨습니다. 성령의 도구로 쓰임 받도록 기도합시다. 하나님의 마음에 합한 자를 하나님께서 귀하게 하십니다.

“이새의 아들 다윗을 만나니 내 마음에 합한 사람이라 내 뜻을 다 이루게 하리라 하시더니 하나님이 약속하신 대로 이 사람의 씨에서 이스라엘을 위하여 구주를 세우셨으니 곧 예수라”(행13:22-23).

희망찬 새해가 밝아오고 있습니다. 우리 모두 보석 같은 믿음으로 생명책에 영원히 빛나는 이름을 남기는 성도들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하나님의 성전

고전 3:16-23

 

오늘은 어버이 주일입니다. 제가 자부를 보고 나니 어느 집사님이 “목사님, 얼마나 좋으세요” 하는데 사실 저는 세상에 대해서는 뭐가 좋고 안 좋은지 잘 모르는 사람입니다. 그런데 지난 어버이 날 아침에 자부가 저의 집사람과 저에게 각각 봉투를 주었습니다. 그래서 “얘야, 이게 뭐냐?” 했더니 “하나는 아버님 용돈이고요 하나는 편지입니다.” 하는데 “얘들이 돈도 없을 텐데 무슨 봉투를...” 하면서도 고마운 마음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만일 자식이 넉넉하게 잘 살아가면서도 부모 섬길 줄 모른다면 섭섭한 마음이 들 것입니다. 언젠가 권사님들과 함께 장금환집사님의 사업장을 심방했는데 예배를 드린 후 그 집사님이 좋은 음식점으로 가서 대접하는 것을 보고 “우리 자식들은 이런 것을 몰라” 하시는데 마음이 그렇게 좋아 보이지는 않았습니다. 하나님께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하나님께서는 내 사정을 모두 알고 계시므로 어려운 중에서도 감사할 줄 아는 자에게 복을 주심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저는 아버지를 모시고 살아가는 것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물론 저의 집사람은 힘든 줄 알지만, 그래도 아버지가 건강하게 오래 살았으면 하는 바람이 간절합니다. 돌이켜보면 오늘까지 목회의 길을 걸어오도록 붙들어 주신 은혜의 두 손길이 있는데 하나는 위에 계신 하나님의 은혜요, 또 하나는 부모님의 은혜입니다. 생명과 구원의 사역은 무엇보다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일이므로 우리가 은혜를 받게 됩니다. 또 부모님을 기쁘게 하는 것은 땅에서 장수하고 복을 받는 약속 있는 첫 계명입니다.

 

1. 인간의 영역과 하나님의 영역

“인간에게는 몇 평의 땅이 필요할까?” 이는 톨스토이 원작에 있는 이야기입니다. 하루는 돈 많은 부자가 광고를 냈는데, “누구든지 내 땅을 돌아오는 자는 그 땅을 거저 주겠다. 조건이 있다면 해지기 전에 돌아와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많은 사람이 모여왔고 그중 한 사람은 기회를 놓칠세라 자기도 부자가 되겠다는 욕심으로 그 땅을 돌기 시작했습니다. 한없이 펼쳐지는 벌판을 보며 땅을 조금이라도 더 많이 차지하고 싶은 생각에 넓은 지역을 돌고 돌다가 어느덧 서산에 해가 저물어가는 것을 보고 그때야 서둘러 돌아왔지만 결국 목표지점 얼마를 앞두고 죽고 말았습니다. 주인은 땅을 파고 그 시체를 묻으면서 하는 말입니다.

“세평 땅이면 족한데 그처럼 욕심을 부리다니.”

매년 우리나라에 공원묘지로 잠식되는 땅이 여의도 보다 넓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이제는 법을 개정하여 개인묘지나 공원묘지 할 것 없이 매장하고 삼십 년이 지나면 화장을 하고 다시 오백만 원을 더 내면 십오 년을 연장하도록 했습니다.

그런데 육십 세 이하는 호흡이 멈추고 15시간 시신의 각 기관과 장부를 적출 하면 오십 명에서 육십 명의 생명을 살려낼 수 있다고 합니다. 또 육십 세가 지나도 의학도의 실습 재료가 되고 마지막에는 화장을 해 준다고 하니 그렇게 하면 장례식 걱정이 없을 뿐 아니라 마지막 남기는 좋은 일로 생각이 됩니다.

인생 노정이 고달픈 이유가 무엇일까요? 그것은 먹을 것이나 입을 것이 없어서가 아닙니다. 문제가 있다면 우리는 본향을 따로 두고 있는 나그네 인생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이스라엘 백성들이 약속하신 가나안에 이르기 전에는 애굽에서 노예로 살았던 것처럼 우리도 천국에 이르기 전에는 죄악이 관영한 땅에서 살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에서 그들의 기업이 없었던 것처럼 세상에는 기업이 없는 것입니다. 이 땅에서는 영원히 소유권을 행사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면 우리는 육신의 소욕에 치우치지 말고 정과 욕심을 십자가에 못 박아야 합니다.

주님께서 빌라도의 법정앞에 섰을 때, “네가 유대인의 왕이냐...네 말이 옳도다”(마27:11) 하시고 “내 나라는 이 세상에 속한 것이 아니니라 만일 내 나라가 이 세상에 속한 것이었더면 내 종들이 싸워 나로 유대인들에게 넘기우지 않게 하였으리라 이제 내 나라는 여기에 속한 것이 아니니라...네 말과 같이 왕이니라 내가 이를 위하여 태어났으며 이를 위하여 세상에 왔나니 곧 진리에 대하여 증언하려 함이로라 무릇 진리에 속한 자는 내 음성을 듣느니라”(요18:36-37) 하셨습니다. 오직 주님의 나라는 진리의 나라요 의의 나라입니다. 이 나라가 영원한 천국 우리의 본향입니다.

저는 지난 토요일 청년들이 바자회를 열어 국내외로 복음 전할 사명을 가지고 봉사하는 모습을 보았을 때 흐뭇한 마음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이른 새벽 요란하게 울리는 벨 소리에 수화기를 들었더니 “목사님, 00권찰이 죽었답니다.” 하였습니다. 생각해 보니 울고 웃다가 또 눈물을 남기고 떠나는 것이 인생이던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지난 주간에는 두 집이나 초상이 있었습니다.

“우리의 돌아보는 것은 보이는 것이 아니요 보이지 않는 것이니 보이는 것은 잠깐이요 보이지 않는 것은 영원함이니라.”(고후4:18).

본토 친척 아비 집을 포기하고 하나님께서 지시하신 땅으로 이주한 아브라함은 믿음의 조상이 되었고, 복음에 빚진 자로 살았던 바울은 그 이름이 더욱 빛나고 있습니다.

2. 주의 집을 사랑하는 자의 복

여자가 임신하면 몸가짐을 주의해야 합니다. 옛 어른들은 임신부는, 앉을 때는 바로 앉아야 하고, 음식과 보는 눈, 듣는 귀, 심지어 마음가짐도 주의하라고 합니다. 이것이 태교인데 이것은 중요한 교육입니다.

은혜 받은 성도들은 성령께서 성전 삼고 내 안에 거하신다는 사실을 알았다면 마땅히 행실을 삼가야 할 것입니다.

“누구든지 하나님의 성전을 더럽히면 하나님이 그 사람을 멸하시리라 하나님의 성전은 거룩하니 너희도 그러하니라”(17절).

침팬지의 DNA는 97% 인간과 동일하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진화론자들은 인간이 원숭이의 후손이라고 힘주어 말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무슨 일로 원숭이가 사람이 되어 산에서 내려왔다는 기록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그것이 얼마나 어리석은 생각인지 보십시오. 오히려 99%가 동일하다 할지라도 나머지 1%로 인해 그 속에는 짐승이 사람과 근본적인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사실. 인간이 짐승과 같이 육체뿐이라면 진화론자들의 이론이 합당하다고 할 것입니다. 그러나 인간은 육체만 아니라 영적인 피조물이라는 사실을 그들이 알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인간이 육체뿐이라면 다른 피조물들과 같이 흙을 원소로 창조되었으므로 죽을 때에도 동일하게 흙으로 돌아갑니다. 그러나 사람의 존귀함은 육체가 아니라 영혼이 있기 때문이요 또 보혜사 성령이 함께하시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몸으로 제물 삼아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야 합니다.

이창숙집사님의 이야기입니다. 전신에 퍼진 류마치스 관절염으로 임신도 못하고 병세는 더해져서 피아노 건반도 치지 못하고, 가사일도 못하는 고통을 당했는데, 하루는 꿈에 목사에게 안수를 받고 하나님의 은혜로 고침을 받았습니다. 건강은 회복되고 임신을 한 몸으로 출산하는 그 날까지 토요일이 되면 교회에 나와서 봉사를 하다가 첫 아이를 낳고, 또 둘째 아이도 낳았습니다. 할렐루야!

 

3. 참된 지혜

인간이 만물을 다스릴 수 있다면 그것은 다른 피조물과 달리 지혜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사람은 지혜로 맹수나 코끼리를 길들일 수 있습니다. 그럴지라도 영생의 진리를 깨닫지 못하면 멸망하는 짐승과 다를 바 없다는 것입니다.

“아무도 자기를 속이지 말라 너희 중에 누구든지 이 세상에서 지혜 있는 줄로 생각하거든 미련한 자가 되어라 그리하여야 지혜로운 자가 되리라 이 세상 지혜는 하나님께 미련한 것이니 기록된바 지혜 있는 자들로 하여금 자기 궤휼에 빠지게 하시는 이라 하였고 또 주께서 지혜 있는 자들의 생각을 헛것으로 아신다 하셨느니라”(18-20).

참된 지혜는 하나님을 알고 경배 하는데 있다는 사실을 믿으셔야 합니다.

“지혜로운 자는 그 지혜를 자랑하지 말라 용사는 그의 용맹을 자랑하지 말라 부자는 그의 부함을 자랑하지 말라 자랑하는 자는 이것으로 자랑할지니 곧 명철하여 나를 아는 것과 나 여호와는 사랑과 정의와 공의를 땅에 행하는 자인 줄 깨닫는 것이라 나는 이 일을 기뻐하노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렘9:23-24).

주님의 은총을 힘입은 성도들은 경건 생활에 더욱 힘쓰고 하나님 섬기는 일에 앞장서서 주님의 영광을 온 세상에 드러내시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Jewel of faith

1 Corinthians 3:10-15

 

Last Christmas, as usual, I received a Christmas card from everyone who knew me. I really appreciate it. Some of them were ministers who served the church together.

 

“Pastor and wife, are you in peace?

I will never forget the two first teachers in my ministry.

I am concerned about your health.

I pray that you are in good health and that you will accomplish your tasks.

000 missionaries

Pastor Yu, Mrs.

Merry Christmas and Happy New Year, I wish you good health and peace. He was wonderful and respected even when he was close by, but now that he has left, I think of a truly wonderful pastor and wife, and I am infinitely great and respectful. I always regret not serving more diligently then. I will continue to think of you like my parents in the future and I will always love you. Praying that the peace of the Lord be with you... Pastor 000 and couple

When I was in my forties, I thought that if someone said I respected them, it would be okay to listen to them after I turned 60. But now, when I think about it, I realize that compliments do not apply to me as long as I am alive in the flesh. We give all glory to the Lord and give thanks to the saints.

 

1. Faith as a Rock

The most important thing when building a house is the foundation. We remember the case of the Wow Apartments in Seodaemun, which collapsed many years ago. Just as a building cannot last long without a bad foundation, so does our faith. When I received a report from the evangelism task force that goes out every Saturday to evangelize, I often said, 'Today, I found an elder's house and evangelized, but the title of elder is really vague.' The reason is that not only did he not go to church, but he also became addicted to alcohol. It is not known for what reason they turned their back on the church, but it is clear that their faith base is wrong.

“No one is able to lay any foundation other than this one, which is Jesus Christ.” We should be careful not to turn away from this strong rock and build our house on sand. This truth is eternal.

“Jesus Christ is the same yesterday, today, and forever” (Hebrews 13:8).

“Every good gift and every perfect gift comes down from above from the Father of lights, who does not change, nor does the shadow of turning change” (James 1:17).

I hope that all of us will overcome the world, defeat the devil, and become victorious saints with faith like a rock.

 

2. Belief like a jewel

This is the story when I went to America a few years ago. The youngest son-in-law of Deacon Hong Hyun-sook of our church served the church as a pastor, and there was also a company that went to work. One day, while eating different food and looking at various rides under the Golden Gate Bridge in San Francisco, I came to the wharf, and there was a place selling pearl oysters.

“Pastor, there are pearls in this shell, so please choose one.” So I picked one, and there was a black pearl the size of a bean in it.

So, I was going to make a ring with the pearl and give it to my loved one, but one day the pearl disappeared. Gems are precious. There are so many valuable treasures that there is no cause for concern. A lot of trash makes a house ugly, but a lot of treasure doesn't.

The important thing is whether we are like treasure or filth in front of God and people. Who will rate this? He is the God above.

In other words, those who glorify God will be honored as treasures, but those who dishonor God will become like filth. We must remember that the standard that God sees is not wealth or authority, but faith.

“Without faith it is impossible to please Him, for he who comes to God must believe that He exists, and that He is a rewarder of those who diligently seek Him” (Hebrews 11:6).

We must not only believe in the existence of God, but also believe that He will reward those without righteousness. Because sin is enmity with God, we must repent.

What is the eternal and true treasure? The treasure is not on earth, but in heaven. Therefore, the one who realizes this treasure is blessed, and the one who possesses this treasure is blessed. Also, believe that those who are with Christ are blessed because the true treasure is in Christ.

Therefore, Paul said, “We have this treasure in vessels of earth, so that it may be known that the exceeding greatness of power belongs to God and not to us” (2 Corinthians 4:7).

Who is your treasure? He is a man of faith that pleases God, and he is also a man who exudes the fragrance of Christ. Please believe that he is not the rich man in the scarlet robe, but Lazarus, the woman who broke the alabaster for the Lord.

 

3. A reward for what you do

“If anyone builds on this foundation with gold, silver, precious stones, wood, grass, or straw, each one’s work will be revealed, and the day will reveal his work, because it will be revealed by fire, and the fire will test each man’s work.” 12-13).

We watched the horrors of the 6.3 magnitude earthquake that occurred in Iran on the 26th of December last year. It is said that the city of about 100,000 people collapsed in an instant, and the number of confirmed deaths so far alone is over 50,000. I believe that there is no hell and there is no final judgment. In addition,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world's largest mud fortress, Arge Bam (Castle of Night), collapsed and turned into dust. This is the Tower of Babel built by humans.

Today, I need to examine what my faith and devotion are like. We wish all of us saints to pass the test of fire and reach glory. The true treasure is faith that pleases God. God has given us the opportunity to reach glory. Let us pray that we will be used as instruments of the Holy Spirit. God honors those who are after God's own heart.

“I found David the son of Jesse, a man after my heart, and I will do all my will.” And out of this man’s seed a Savior was raised up for Israel, just as God had promised—Jesus” (Acts 13:22-23). .

A bright new year is coming. I pray that all of us will become saints who leave a shining name in the book of life with faith like a jewel. Amen

 

 

하나님의 성전

 

고전 3:16-23

 

오늘은 어버이 주일입니다. 제가 자부를 보고 나니 어느 집사님이 “목사님, 얼마나 좋으세요” 하는데 사실 저는 세상에 대해서는 뭐가 좋고 안 좋은지 잘 모르고 살아가는 사람입니다. 그런데 지난 어버이 날 아침에 자부가 저의 집사람과 저에게 각각 봉투를 내어 놓았습니다. 그래서 “얘야, 이게 뭐냐?”고 했더니 “하나는 아버님 용돈이시고요 하나는 편지입니다.” 하는데 “얘들이 돈도 없을 텐데 무슨 봉투를...” 하면서도 고마운 마음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만일 자식이 넉넉하게 잘 살아가면서도 부모 섬길 줄 모른다면 섭섭한 마음이 들 것입니다.

언젠가 권사님들과 함께 어느 집사님의 사업장을 심방했는데 예배를 드린 후 그 집사님이 좋은 음식점으로 가서 대접하는 것을 보고 “우리 자식들은 이런 것을 몰라” 하시는데 마음이 그렇게 밝아 보이지는 않았습니다. 하나님께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하나님께서는 내 사정을 모두 알고 계시므로 어려운 중에서도 감사할 줄 아는 자에게 복을 주심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저는 아버지를 모시고 살아가는 것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물론 저의 집사람은 힘든 줄 알지만, 그래도 아버지가 건강하게 오래 살았으면 하는 바람이 간절합니다. 돌이켜보면 오늘까지 목회의 길을 걸어오도록 붙들어 주신 은혜의 두 손길이 있는데 하나는 위에 계신 하나님의 은혜요, 또 하나는 부모님의 은혜임을 믿습니다. 생명과 구원의 사역은 무엇보다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일이므로 우리가 은혜를 받게 됩니다. 또 부모님을 기쁘게 하는 것은 땅에서 장수하고 복을 받는 약속 있는 첫 계명이기 때문입니다.

 

1. 인간의 영역과 하나님의 영역

“인간에게는 몇 평의 땅이 필요할까?”라는 톨스토이 원작에 보면 하루는 돈 많은 부자가 광고를 내었는데, “누구든지 내 땅을 돌아오는 자는 그 땅을 거저 주겠다. 조건이 있다면 해 지기 전에 돌아와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었고 그중 한 사람은 기회를 놓칠세라 자기도 부자가 되겠다는 욕심으로 그 땅을 돌기 시작했습니다. 한없이 펼쳐지는 벌판을 보며 땅을 조금이라도 더 많이 차지하고 싶은 생각에 넓은 지역을 돌고 돌다가 어느덧 서산에 해가 저물어 가는 것을 보고 그 때애 서둘러 돌아왔지만 결국 목표지점 얼마를 앞두고 죽고 말았습니다. 주인은 땅을 파고 그 시체를 묻으면서 하는 말입니다.

“세평 땅이면 족한데 그처럼 욕심을 부리다니.”

매년 우리나라에 공원묘지로 잠식되는 땅이 여의도 보다 넓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이제는 법을 개정하여 개인묘지나 공원묘지 할 것 없이 매장하고 30년이 지나면 화장을 하게하고 다시 오백만 원을 더 내면 십오 년을 연장하도록 했습니다.

그런데 육십 세 이하는 호흡이 멈추고 15시간 내에 수술을 하면 시신의 각 기관과 장부를 통해 오십 명에서 육십 명의 생명을 살려낼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연령이 육십 세가 지났다고 할지라도 의학도의 실습 재료로 쓰고 마지막에는 화장을 해 준다고 하니 그렇게 하면 장례식 걱정을 할 필요도 없을 뿐 아니라 사후에도 좋은 일 남기고 가게 되는 것입니다.

여러분!

나그네 노정이 고달픈 이유가 무엇일까요? 그것은 먹을 것이 없어서가 아니고 입을 것이 없어서도 아닙니다. 문제가 있다면 우리는 본향을 따로 두고 가야하는 나그네 인생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이스라엘 백성들이 약속하신 가나안에 이르기 전에는 애굽에서 노예로 살았던 것처럼 우리도 천국에 이르기 전에는 죄악이 관영한 이 땅에서 살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에서 그들의 기업이 없었던 것처럼 우리도 이 세상에서 영원한 기업이 없는 것입니다. 이 땅에서는 영원히 소유권을 행사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는 것을 알았다면 우리는 육신의 소욕에 치우치지 말고 정과 욕심을 십자가에 못 박아야 할 것입니다.

빌라도가 주님께 “네가 유대인의 왕이냐...네 말이 옳도다”(마27:11) 하시고 “내 나라는 이 세상에 속한 것이 아니니라 만일 내 나라가 이 세상에 속한 것이었더면 내 종들이 싸워 나로 유대인들에게 넘기우지 않게 하였으리라 이제 내 나라는 여기에 속한 것이 아니니라...네 말과 같이 왕이니라 내가 이를 위하여 태어났으며 이를 위하여 세상에 왔나니 곧 진리에 대하여 증언하려 함이로라 무릇 진리에 속한 자는 내 음성을 듣느니라”(요18:36-37) 하셨습니다. 오직 주님의 나라는 진리의 나라요 의의 나라입니다. 이 나라가 영원한 천국 우리의 본향입니다.

저는 지난 토요일 청년들이 바자회를 열어 금년에도 국내외로 복음 전할 사명을 가지고 봉사하는 모습을 보았을 때 흐뭇한 마음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이른 새벽 요란하게 울리는 전화벨 소리에 수화기를 들었더니 “목사님, 00권찰이 죽었답니다.” 하였습니다. 생각해 보니 울고 웃다가 또 눈물을 남기고 떠나는 것이 인생이던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지난 주간에는 두 집이나 초상이 있었습니다.

“우리의 돌아보는 것은 보이는 것이 아니요 보이지 않는 것이니 보이는 것은 잠깐이요 보이지 않는 것은 영원함이니라.”(고후4:18).

본토 친척 아비 집을 포기하고 하나님께서 지시하신 땅으로 이주한 아브라함이 믿음의 조상이 되었다면, 복음에 빚진 자로 살았던 바울의 영광은 더욱 빛나고 있습니다.

2. 주의 집을 사랑하는 자의 복

여자가 결혼하고 임신을 하게 되면 몸가짐을 주의해야 합니다. 옛 어른들은 임신부에게 앉을 때에는 똑 바로 앉아야 하고 먹는 음식과 보는 눈 듣는 귀 심지어 마음가짐도 주의하라고 일렀습니다. 이것이 태교인데 이런것은 임상적 결과에서 증명되는 중요한 교육입니다.

은혜 받은 성도들은 성령께서 성전 삼고 내 안에 거하신다는 사실을 알았다면 마땅히 행실을 삼가야 할 것입니다.

“누구든지 하나님의 성전을 더럽히면 하나님이 그 사람을 멸하시리라 하나님의 성전은 거룩하니 너희도 그러하니라”(17절).

침팬지의 DNA는 97% 인간과 동일하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진화론자들은 획기적인 업적을 올린 것같이 인간은 원숭이의 후손이라고 힘주어 말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무슨 일로 원숭이가 사람이 되어 산에서 내려왔다는 기록들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그것이 얼마나 어리석은 생각인지 보십시오. 오히려 99%가 동일하다 할지라도 나머지 1%로 인해 그 속에는 짐승이 사람과 일취할 수 없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사실. 인간이 짐승과 같이 육체뿐이라면 진화론자들의 이론이 합당하다고 할 것입니다. 그러나 인간은 육체만 아니라 영적인 피조물이라는 사실을 그들이 알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인간이 육체뿐이라면 다른 피조물들과 같이 흙을 원소로 창조되었으므로 죽을 때에도 동일하게 흙으로 돌아갑니다. 그러나 사람의 존귀함은 육체만이 아니라 영혼이 있기 때문이요 또 보혜사 성령이 우리와 함께 하시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몸으로 제물삼아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야 합니다.

L 집사님의 이야기입니다. 전신에 퍼진 류마치스 관절염으로 임신도 하지 못하고 고통을 당했는데, 꿈에 목사에게 안수 받고 하나님의 은혜로 고침을 받은 후에 너무도 감격하여 임신한 후에 출산하는 그날까지 토요일마다 교회에 나와서 봉사를 하다가 아이를 낳고, 또 아들을 낳았는데 지금은 그 아이들이 학교를 다니고 있습니다. 할렐루야!

 

3. 참된 지혜

인간이 만물을 다스릴 수 있다면 그것은 다른 피조물에 비해 뛰어난 지혜가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사람은 사나운 맹수를 길들여 구경거리로 삼는가 하면 코끼리를 길들여 일을 시키기도 합니다. 그러나 지혜가 이렇게 뛰어나다 할지라도 영생의 진리를 깨닫지 못하면 멸망하는 짐승과 다를 바 없다는 사실입니다.

“아무도 자기를 속이지 말라 너희 중에 누구든지 이 세상에서 지혜 있는 줄로 생각하거든 미련한 자가 되어라 그리하여야 지혜로운 자가 되리라 이 세상 지혜는 하나님께 미련한 것이니 기록된바 지혜 있는 자들로 하여금 자기 궤휼에 빠지게 하시는 이라 하였고 또 주께서 지혜 있는 자들의 생각을 헛것으로 아신다 하셨느니라”(18-20).

참된 지혜는 하나님을 알고 그 앞에 영광을 돌리는데 있다는 사실을 믿으셔야 합니다.

“지혜로운 자는 그 지혜를 자랑하지 말라 용사는 그의 용맹을 자랑하지 말라 부자는 그의 부함을 자랑하지 말라 자랑하는 자는 이것으로 자랑할지니 곧 명철하여 나를 아는 것과 나 여호와는 사랑과 정의와 공의를 땅에 행하는 자인 줄 깨닫는 것이라 나는 이 일을 기뻐하노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렘9:23-24).

주님의 은총을 힘입은 성도들은 경건 생활에 더욱 힘쓰고 하나님 섬기는 일에 앞장 서서 주님의 영광을 온 세상에 드러내시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Temple of God

1 Corinthians 3:16-23

 

Today is Father's Day. After seeing my self-confidence, a certain deacon said, “How good are you, Pastor,” but in fact, I am not a person who knows very well what is good and what is bad about the world. However, on Mother's Day last morning, my father-in-law gave each of my family members and me an envelope. So, “Son, what is this?” I said, "One is my father's pocket money and the other is a letter." But I felt grateful even though they said, “They don’t have money, so what kind of envelope…”

However, if a child does not know how to serve his parents even though he is living a rich life, he will feel sad. One day, I visited Deacon Jang Geum-hwan's business place with the priests, and after the service, I saw the deacon go to a good restaurant and serve him. So is God. Since God knows all my circumstances, I hope that He will bless those who know how to be thankful even in difficult times.

I am happy to live with his father. Of course, my family knows it's hard, but I still want my father to live a long and healthy life. Looking back, there are two hands of grace that have supported me to walk the path of ministry up to this day. One is the grace of God above and the other is the grace of my parents. The work of life and salvation is what pleases God above all else, so we receive grace. Also, what pleases your parents is the first commandment with the promise of long life and blessings on earth.

 

1. The Realm of Man and the Realm of God

“How many acres of land does a human need?” This is a story from the original Tolstoy. One day, a rich man with a lot of money put out an advertisement, saying, “Whoever returns my land I will give it free of charge. If there is a condition, you should come back before it expires.” A lot of people have gathered, and one of them must miss the opportunity. Looking at the endless plains and wanting to occupy even a little more land, I went around a wide area, and saw the sun set on Seosan Mountain, and I hurriedly returned only then, but eventually died shortly before the goal. This is what the master says while digging the ground and burying the body.

“Seven pyeong is enough, but you are so greedy.”

It is said that the land that is encroached into a park cemetery every year in Korea is larger than in Yeouido. Because of this, the law has now been Amended to require that both private cemeteries and park cemeteries be buried, cremated after 30 years, and extended by fifteen years by paying an additional 5 million won.

However, it is said that the lives of fifty to sixty people can be saved if breathing stops and the organs and books of the body are removed for 15 hours for those under the age of sixty. Also, it is said that even after the age of 60, it becomes a practical material for medical students, and at the end of the day they put on cremation.

What makes life's journey so arduous? It is not because there is nothing to eat or to wear. If there is a problem, it is because we are strangers with our hometowns apart. Therefore, just as the people of Israel lived as slaves in Egypt before reaching the promised Canaan, before we reach the kingdom of heaven, we live in a land where sin abounds. Also, just as the Israelites had no inheritance in the wilderness, so there is no inheritance in the world. If we know that we cannot exercise ownership forever on this earth, we must not focus on the lusts of the flesh and crucify our passions and desires.

When the Lord stood before Pilate's court, "Are you the King of the Jews...you are right” (Matthew 27:11) and said, “My kingdom is not of this world. My kingdom is no longer of this place... As you say, I am a king. For this I was born, and for this I came into the world, to bear witness to the truth. All who belong to the truth hear my voice. ” (John 18:36-37). Only the kingdom of the Lord is the kingdom of truth and the kingdom of righteousness. This country is our eternal paradise.

Last Saturday, when I saw young people holding a bazaar and volunteering with a mission to spread the gospel both at home and abroad, I was moved. But early in the morning, I heard the loud ringing of the bell, and when I picked up the receiver, I said, “Pastor, 00 Kwon is dead.” I did. When I think about it, I wondered if life was about crying and laughing and leaving behind tears again. Last week there were two houses or portraits.

“It is not the things that are seen, but the things that are unseen that we look to: for what is seen is temporary, but what is not seen is eternal” (2 Corinthians 4:18).

Abraham, who gave up his father's house and moved to the land God had directed, became the father of faith, and Paul, who lived as a debtor to the gospel, is shining even more.

2. Blessings of those who love the house of the Lord

When a woman is pregnant, she should be careful about her appearance. Older adults tell pregnant women to sit up straight when sitting, and to be careful about food, eyes to see, ears to hear, and even attitude. This is prenatal education, and this is an important education.

If the saints who have received grace know that the Holy Spirit is a temple and dwells in me, they should refrain from their conduct.

“If anyone defiles the temple of God, God will destroy that person, for the temple of God is holy, and so are you” (verse 17).

Chimpanzee DNA is 97% identical to that of humans. For this reason, evolutionists insist that humans are descended from monkeys. Then, I wonder if there are any records that monkeys came down from the mountains as humans.

Look how stupid that is. Rather, even if 99% are the same, because of the remaining 1%,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beast and the human. actually. If human beings were only physical, like animals, then the evolutionists' theory would be justified. However, they do not know that humans are not only physical creatures but also spiritual creatures.

If human beings are only physical, they are created from earth as an element just like other creatures, so when they die, they return to the earth in the same way. However, the dignity of man is not because he has a body, but because he has a soul and because the Counselor, the Holy Spirit, is with him. Therefore, we must use our bodies as sacrifices to glorify God.

This is the story of Butler Changsuk Lee. Due to rheumatoid arthritis that spread throughout the body, I was unable to get pregnant and the condition worsened, so I could not play the piano or do housework. On Saturday, until the day when my health was restored and the day I gave birth to pregnancy, I went to church to volunteer and gave birth to my first child and a second child. Hallelujah!

 

3. True Wisdom

If humans can rule all things, it is because they have wisdom unlike other creatures. This allows a person to tame a wild beast or an elephant with wisdom. Even so, if you do not understand the truth of eternal life, you are no different from the beasts that perish.

“Let no one deceive himself; if any of you thinks that he is wise in this world, let him be a fool, and then he may become wise. And the Lord knows that the thoughts of the wise are vain” (18-20).

You must believe that true wisdom lies in knowing and worshiping God.

“Let no wise man boast of his wisdom, let the mighty not boast of his valor, and the rich do not boast of his riches, let him who brags boast in this; I know that I am a doer, saith the LORD” (Jeremiah 9:23-24).

We pray that the saints, who have been blessed with the Lord's grace, will strive to lead a godly life and take the lead in serving God, revealing the glory of the Lord to the whole world. Amen

 

 

 

 

구할 것은 충성

고전 4:1-5

 

성경을 믿음의 눈으로 보면 보석같이 빛나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이 믿음의 눈을 가진 자라야 보화를 알게 되고, 또 그 보화의 가치를 아는 자가 영원히 소유할 수 있다는 사실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진리를 사고서 팔지 말며 지혜와 훈계와 명철도 그리할지니라”(잠23:23).

천국의 비유입니다.

“천국은 마치 밭에 감추인 보화와 같으니 사람이 이를 발견한 후 숨겨두고 기뻐하여 돌아가서 자기의 소유를 다 팔아 그 밭을 샀느니라”(마13:44).

밭에 감추인 이 보화가 무엇일까요? 분명한 것은 나의 모든 소유를 다 팔아도 그것과 비교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바울은 이 진리를 깨닫고 자기의 소유로 삼기 위해 모든 것을 배설물 같이 포기할 수 있었습니다. 우리도 이 보화를 소유하여 천국의 영광을 누리는 성도들이 되어야 하겠습니다. 이 보화가 무엇일까요?

1) 대속의 진리가 보화입니다.

빌라도는 주님께서 “무릇 진리에 속한 자는 내 소리를 듣느니라” 하셨을 때 “진리가 무엇이냐”(요18:37-38) 하였습니다.

오병이어의 기적을 통해 육신의 배를 채운 무리가 예수님을 찾아 가버나움으로 갔을 때,

“너희가 나를 찾는 것은 표적을 본 까닭이 아니요 떡을 먹고 배부른 까닭이로다 썩는 양식을 위하여 일하지 말고 영생하도록 있는 양식을 위하여 하라 이 양식은 인자가 너희에게 주리니 인자는 아버지 하나님의 인치신 자니라”(요6:26-27) 하셨습니다.

어느 장로님은 천주교에 다니는 동생에게 “천주교는 이단이야”라고 했더니 “내가 천주교에 다니는 것을 알면서도 그런 말을 한다”며 야속하게 생각하더라고 했습니다.

불교계 큰 스님으로 칭함을 받는 진제 스님의 이야기입니다.

“참 부처님은 오신 바도 없고 가신 바도 없습니다. 자기의 참모습을 알면 부처요, 모르면 범부인 것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자신의 본성을 모른 채 허상을 찾아다니는 겁니다. 부처님이 오신 뜻은 중생들이 수행을 통해 자신의 참모습을 찾으라는 것입니다”라고 했습니다.

자신의 참모습을 찾는 길이 수행에 있다는 불교의 철학과 그리스도의 대속으로 거듭나는 진리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인간의 죄는 수행을 통해서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오직 그리스도 예수의 피로 사유함을 받아야 해결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영감으로 기록된 말씀이 보화입니다.

하나님의 말씀은 “읽는 자와 듣는 자들과 그 가운데 기록한 것을 지키는 자들이 복이 있다” (계1:3)고 하였습니다. 진리와 무관한 것이면 미혹 받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진리 외에는 어떤 것도 위해서 살고 위해서 죽을 수 있는 것이 없다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말콤 머거리지(Malcom Muggeridge)는 말하기를 “만약 예수님이 오늘날 광야에서 사탄의 시험을 받으셨다면 네 번째 유혹은 전국적으로 방송되는 프라임 타임(Prime Time) TV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일이었을 것이다” 라고 했습니다. 만일 거기 참된 만족이 있었다면 연예인들이 마약이나 환각제에 빠저들 이유가 없었을 것입니다.

 

1. 전도자의 신분

1) 그리스도의 일꾼입니다.

우리가 만일 죄에 매여 종살이한다면 우리는 마귀의 노예로 전락될 것입니다. “그리스도 예수의 종 된 나 바울”이라는 용어는 바울 서신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너희는 죄가 너희 죽을 몸을 지배하지 못하게 하여 몸의 사욕에 순종하지 말고 또한 너희 지체를 불의의 무기로 죄에게 내주지 말고 오직 너희 자신을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난 자 같이 하나님께 드리며 너희 지체를 의의 무기로 하나님께 드리라”(롬6:12-13).

전도자는 진리의 멍에 아래 있는 하나님의 일꾼입니다. 또 하나님의 일꾼들은 하나님의 보장을 받게 됩니다.

“너희는 여호와의 선하심을 맛보아 알지어다. 그에게 피하는 자는 복이 있도다 너희 성도들아 여호와를 경외하라 저를 경외하는 자에게는 부족함이 없도다 젊은 사자는 궁핍하여 주릴지라도 여호와를 찾는 자는 모든 좋은 것에 부족함이 없으리로다”(시34:8-10).

2) 하나님의 비밀을 맡은 자입니다.

“사람이 마땅히 우리를 그리스도의 일꾼이요 하나님의 비밀을 맡은 자로 여길지어다”(1절). 이 비밀은 하나님의 깊은 뜻과 섭리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오른손에 일곱별을 붙잡고 일곱 촛대 사이에 다니시는 주님께서 일곱 교회 사자에게 편지한 사실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하나님의 사람들에게는 알지 못하는 비밀을 알려주시고 장래에 될 일을 말하게 하시는 것입니다.

사울은 잃어버린 나귀를 찾기 위해 사무엘을 찾아갔다가 이스라엘의 왕으로 기름 부음을 받았고, 다니엘은 느브갓네살왕이 꾼 꿈을 해몽하였으며, 베드로는 아나니아와 삽비라의 거짓을 책망하였습니다.

 

2. 충성을 따라 간구하는 기도

“구하라 그러면 너희에게 주실 것이요 찾으라 그러면 찾을 것이요 문을 두드리라 그러면 너희에게 열릴 것이니 구하는 이마다 얻을 것이요 찾는 이가 찾을 것이요 두드리는 이에게 열릴 것이니라”(마7:7-8).

그런데 구하고 찾아도 응답받지 못하는 기도가 있습니다. 그것은 정욕으로 쓰려고 잘못 구하는 기도요 또 회개가 없는 기도입니다.

우리는 이스라엘 왕 사울과 다윗을 통해 얻을 교훈이 많습니다. 사울은 사무엘에게 책망을 받았을 때 자기의 체면을 중시하여 사람 앞에서 낮아지는 것을 두려워하였지만, 다윗은 나단 선지의 책망이 있을 때 즉시 엎드려 회개하였습니다. 회개할 줄 모르는 사울은 버림을 받았으나 다윗은 은총을 회복하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곰 같이 부르짖으며 비둘기 같이 슬피 울며 공평을 바라나 없고 구원을 바라나 우리에게서 멀도다 대저 우리의 허물이 주의 앞에 심히 많으며 우리의 죄가 우리를 쳐서 증거하오니 이는 우리의 허물이 우리와 함께 있음이라 우리의 죄악을 우리가 아나이다”(사59:11-12). 충성된 믿음으로 기도하십시오.

“그리고 맡은 자들에게 구할 것은 충성이니라”(2절).

충성된 믿음으로 올리는 기도를 하나님께서 기뻐하십니다. 솔로몬이 지혜를 구했을 때 하나님께서 즐겨 응답해 주셨던 것처럼 오늘도 맡은 본분과 사명을 따라 기도하는 사람을 하나님께서 기쁘게 받으심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LA에 있는 은혜 한인교회 이야기입니다. 그 교회는 장로님 한 분이 사천만 $을 헌금하여 삼십육 에이커 되는 로케트 건전지 본사 사옥을 삼천오백만 $에 인수하고 거기에 천오백 만$을 들여 수리를 했는데, 미국에 있는 교민 교회뿐만 아니라 미국 교회에서 가장 넓은 부지를 확보하고 또 헬리콥터를 구입하여 심방 한다고 합니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큰 믿음으로 기도합시다. 하나님께서 하늘 보고를 여시고 응답해 주실 줄 믿습니다.

 

3. 바울의 겸손

주님께서 기뻐하시는 것이 충성이라면 또 기뻐하시는 것이 겸손입니다.

“너희에게나 다른 사람에게나 판단 받는 것이 내게는 매우 작은 일이라”(3절).

여기서 바울의 경건 생활이 어떠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신령한 자는 모든 것을 판단하나 자기는 아무에게도 판단을 받지 아니하느니라”(고전2:15).

“내가 자책할 아무것도 깨닫지 못하나 그러나 이를 인하여 의롭다 함을 얻지 못하노라 다만 나를 판단하실 이는 주시니라 그러므로 때가 이르기 전 곧 주께서 오시기까지 아무것도 판단치 말라 그가 어두움에 감추인 것들을 드러내고 마음의 뜻을 나타내시리니 그때에 각 사람에게 하나님께로부터 칭찬이 있으리라”(4-5).

우리 모두 영의 눈을 가지고 진리의 보화를 찾았다면 충성된 믿음으로 영원한 영광에 이르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Loyalty is what you seek

1 Corinthians 4:1-5

 

If you look at the Bible with the eyes of faith, you will find that it shines like a jewel. Please believe that only those who have this eye of faith will know the treasure, and that those who know the value of the treasure can possess it forever.

“Buy truth and not sell it, but wisdom and instruction and understanding” (Proverbs 23:23).

It is a parable of heaven.

“The kingdom of heaven is like a treasure hidden in a field, and when a man found it, he hid it, and rejoiced, went back and sold all that he had and bought the field” (Matthew 13:44).

What is this treasure hidden in the field? What is clear is that even if I sell all my possessions, it cannot be compared to that.

Paul realized this truth and was able to give up everything like excrement to make it his own. We should also become saints who enjoy the glory of heaven by possessing this treasure. What is this treasure?

1) The truth of the atonement is treasure.

When the Lord said, “Everyone who belongs to the truth hears my voice,” Pilate said, “What is truth?” (John 18:37-38).

When a group of people filled with flesh through the miracle of five fish went to Capernaum to find Jesus,

“You seek me, not because you saw signs, but because you ate the loaves and were satisfied. Do not work for food that perishes, but for food that endures to eternal life, which the Son of Man will give you, whom God the Father has sealed.” John 6:26-27).

An elder said to his younger brother who attends Catholicism, “Catholicism is a heresy,” and he said, “I say things like that even though I know I go to Catholicism,” and he thought wildly.

This is the story of the monk Jinje, who is called a great Buddhist monk.

“The true Buddha has neither come nor gone. If you know your true self, you are a Buddha; if you do not know, you are a common man. But people are looking for illusions without knowing their true nature. The meaning of the Buddha's coming is to help his sentient beings find their true self through meditation."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Buddhist philosophy that the way to find one's true self is in meditation and the truth of being born again through the atonement of Christ. This is because human sins cannot be solved through meditation, but only through the forgiveness of sins through the blood of Christ Jesus.

2) The words written by inspiration are treasures.

The Word of God says, “Blessed are those who read and those who hear, and those who keep what is written in them” (Revelation 1:3). We must be careful not to be deceived when it comes to things that have nothing to do with the truth. You must know that there is nothing that you can live for and die for anything but the truth.

As Malcom Muggeridge said, "If Jesus had been tempted by Satan in the wilderness today, the fourth temptation would have been to appear on a nationally broadcast Prime Time TV program." If there had been true satisfaction there would have been no reason for celebrities to indulge in drugs or hallucinogens.

 

1. The identity of the evangelist

1) You are a servant of Christ.

If we are enslaved to sin, we will become slaves to the devil. The term “I, Paul, a servant of Christ Jesus” is found many times in Paul’s epistles.

“Do not allow sin to have dominion over your mortal body, and do not obey its lusts, nor present your members to sin as instruments of unrighteousness, but present yourselves to God as those raised from the dead, and your members present to God as weapons of righteousness” (Romans 6:12-13).

Evangelists are God's workers under the yoke of truth. Also, God's workers will receive God's guarantee.

“Taste and see that the LORD is good. Blessed is the one who takes refuge in him; fear the Lord, you saints, and those who fear him lack nothing. .

2) He is the one who is entrusted with the mystery of God.

“Man ought to consider us ministers of Christ and entrusters of the mystery of God” (verse 1). This mystery means the deep will and providence of God.

Please remember that the Lord, holding the seven stars in his right hand and walking among the seven candlesticks, wrote to the seven church messengers. It is to tell the people of God the secrets they do not know and to tell them what will happen in the future.

Saul went to Samuel to find the lost donkey, and was anointed king of Israel, Daniel interprets King Nebuchadnezzar's dream, and Peter rebukes Ananias and Sapphira for lying.

 

2. Pray for supplication following allegiance

“Ask, and it will be given to you; seek and you will find; knock, and it will be opened to you; for everyone who asks receives, and he who seeks finds, and to him who knocks it will be opened” (Matthew 7:7-8).

However, there are prayers that are not answered even if you ask for them. It is a prayer that is wrongly asked to be spent on lust, and it is a prayer without repentance.

We have many lessons to learn from the kings of Israel, Saul and David. When Saul was rebuked by Samuel, he valued his face and was afraid to be humbled in front of people. The unrepentant Saul was forsaken, but David was restored to his favor.

“We roar like bears, weep like doves, and we look for justice, and there is none, but salvation, but we are far from us. We know our iniquities” (Isaiah 59:11-12). Pray with faithful faith.

“And of those entrusted with it, fidelity is to be sought” (verse 2).

God is pleased with prayers raised with faithful faith. Just as God gladly answered Solomon when he asked for wisdom, please believe that God is pleased with those who pray according to their duties and missions today.

This is the story of Grace Korean Church in LA. At that church, an elder donated 40 million dollars to buy the 36-acre rocket battery headquarters building for 35 million dollars and repaired it with 15 million dollars. It is said that he will visit the site by securing a large site and purchasing a helicopter.

Let us pray with great faith for the glory of God. I believe that God will open the heavenly treasury and answer it.

 

3. Paul's Humility

Loyalty is what pleases the Lord, and humility is what pleases the Lord.

“It is very little to me to be judged by you and by others” (verse 3).

Here we can see what Paul's godly life was like.

“The spiritual person judges all things, but he himself is judged by no one” (1 Corinthians 2:15).

“I understand nothing against myself, but by this I am not justified; but it is the Lord who judges me. to each one a praise from God” (4-5).

If all of us have spiritual eyes and have found the treasure of truth, I pray that we will attain eternal glory with faithful faith. Amen

 

 

주님을 따르는 길

고전 4:6-13

 

바울은 복음으로 많은 고난을 받았습니다. 그런데도 기뻐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가는 길이 주님께서 가신 길이요, 그가 받은 고난이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주님의 고난에 동참하는 삶이었기 때문입니다.

“아무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좇을 것이니라 누구든지 제 목숨을 구원코자 하면 잃을 것이요 누구든지 나를 위하여 제 목숨을 잃으면 찾으리라”(마16:24-25).

육 세기경에 영국 선교사 콜롬바가 열두 명의 동료와 함께 스코틀랜드에 상륙하였는데 당시 그곳에는 Picts라고 하는 난폭한 원주민들이 살고 있어서 그 섬에 들어가는 자들은 그들에 의해 살해되었습니다. 그런데 콜롬바는 배에서 내린 다음 무거운 돌을 그 배에 가득 채웠습니다. 일행은 묻기를 “Picts가 공격해 오면 도망해야 하는데 배에다 돌을 싣다니요?” 하였을 때 그는 말하기를 “우리가 의지할 것은 배가 아닙니다. 이제부터 모든 것을 하나님께 맡겨야 합니다”하며 진정으로 주님을 따르는 길이 무엇인지 보여 주었습니다.

 

1. 지도자의 자질

“형제들아 내가 너희를 위하여 이 일에 나와 아볼로를 가지고 본을 보였으니”(6절).

우리가 세상에서 사는 동안 본이 되도록 살 수 있었다면 그것은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누구를 막론하고 완벽한 사람은 없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죄많고 허물 있는 자일지라도 진리의 증인으로 들어 쓰십니다. 바울과 아볼로가 어떤 본을 보였는지 보십시오.

1) 진리의 교훈으로 본을 보였습니다.

“이는 너희로 하여금 기록한 말씀밖에 넘어가지 말라 한 것을 우리에게서 배워 서로 대적하여 교만한 마음을 먹지 말게 하려 함이라”(6절).

그런데 교만한 자들은 스스로를 높이고 사도들이 전하는 복음을 왜곡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바울은 “주께서 허락하시면 내가 너희에게 속히 나아가서 교만한 자의 말을 알아볼 것이 아니라 오직 그 능력을 알아보겠노니 하나님의 나라는 말에 있지 아니하고 오직 능력에 있음이라”(4:19-20) 하였습니다.

2) 겸손과 화목의 본을 보였습니다.

바울이 겸손하였다면 아볼로도 마찬가지입니다. 모든 사람은 높아지기를 위해 경쟁을 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제자들 중에도 높은 자리를 탐했습니다. 주님께서 주신 교훈입니다.

“이방인의 집권자들이 그들을 임의로 주관하고 그 대인들이 저희에게 권세를 부리는 줄을 너희가 알거니와 너희 중에는 그렇지 아니하니 너희 중에 누구든지 크고자 하는 자는 너희를 섬기는 자가 되고 너희 중에 누구든지 으뜸이 되고자 하는 자는 너희 종이 되어야 하리라 인자가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마20:25-28).

바울과 아볼로는 높아지기 위해서 다투지 않았습니다. 또 그들은 서로 시기하고 비방한 일도 없었습니다.

“나는 심었고 아볼로는 물을 주었으되 오직 하나님은 자라나게 하셨나니 그런즉 심는 이나 물주는 이는 아무 것도 아니로되 오직 자라나게 하시는 하나님뿐이니라”(고전3:6-7).

이렇게 바울과 아볼로는 겸손하였고 화목의 덕을 깨뜨리지 않았습니다. 우리도 자기를 비워 종의 형체를 입으시고 죽기까지 복종하사 하나님의 뜻을 이룩하신 그리스도를 본받아야 하겠습니다.

 

2. 두 가지 자랑

사람이 자존심을 잃지 않고 산다는 것은 중요합니다. 또 이것은 개인의 삶에 있어서 긍지와 자부심을 살리는 원동력입니다. 사람이 자존심을 잃어버리면 인간답게 살아야 할 가치도 잃어버릴 수 있습니다. 천구백구십이 년 일본 고베에 지진이 일어났을 때 그들은 선진국 시민이라는 자존심 때문에 생명과 재산을 잃고도 무질서나 이성을 잃은 모습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 자존심도 그리스도로 인한 것이 아니라면 자랑할 것이 못 된다는 것을 잊어서 안 될 것입니다.

1) 인간의 자랑

“누가 너를 구별하였느뇨 네게 있는 것 중에 받지 아니한 것이 무엇이뇨 네가 받았은즉 어찌하여 받지 아니한 것같이 자랑하느뇨”(7절).

여기서 우리는 자신에게 있는 모든 것이 어디로부터 비롯된 것인지 바로 알아야 합니다. 그것을 깨달을 때 하나님 앞에서 겸손해 질 수 있을 것입니다. 어리석은 부자는 풍년들어 쌓을 것이 없도록 되니 어떻게 했습니까?

“내가 이렇게 하리라 내 곡간을 헐고 더 크게 짓고 내 모든 곡식과 물건을 거기 쌓아두리라 또 내가 내 영혼에게 이르되 영혼아 여러 해 쓸 물건을 많이 쌓아 두었으니 평안히 쉬고 먹고 마시고 즐거워하자 하리라 하되 하나님은 이르시되 어리석은 자여 오늘밤에 네 영혼을 도로 찾으리니 그러면 네 예비한 것이 뉘 것이 되겠느냐”(눅12:18-20).

어리석은 부자가 잃어버리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보십시오.

1) 하나님이 그의 의식 속에 없었다는 것이요,

2) 내세가 없었다는 것입니다.

3) 영혼을 위한 대비가 없었고,

4) 이웃이 없었습니다.

우리는 돼지나 곰 같은 짐승을 보고 미련하다는 말을 합니다. 그러나 미련한 것은 이성 없는 짐승이 아니라 하나님을 등진 인간입니다.

“하나님을 잊어버린 너희여 이제 이를 생각하라 그렇지 않으면 내가 너희를 찢으리니 건질 자 없으리라”(시50:22).

다른 사람에 비해 내게 있어 자랑할 것이 있습니까? 더 많은 영광을 하나님께 돌리시기 바랍니다.

2) 그리스도로 자랑

“자랑하는 자는 주 안에서 자랑하라”(고전1:31).

“하나님의 성령으로 봉사하며 그리스도 예수로 자랑하고 육체를 신뢰하지 아니하는 우리가 곧 할례당이라”(빌3:3).

과연 우리가 그리스도만을 자랑하고 있습니까? 진정 “나의 나 됨이 하나님의 은혜”임을 고백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렇게 할 때 복음의 능력으로 더 많은 열매를 맺게 될 줄 믿습니다. 성령 열매 맺기를 사모하십시오. 영원한 재산은 오직 하늘나라에 쌓인 업적임을 안다면 주의 일에 더욱 분발해야 할 것입니다.

제가 여덟 살에 아버지를 따라 교회에 첫발을 들여놓았을 때 주변에서 얼마나 핍박이 심했던지 어린 마음에 나는 교회에 나가지 않는다고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교회뿐만 아니라 불신자들에게서도 목사로 인정받는 것이 얼마나 감사한지 말할 수 없습니다.

“내 사랑하는 그 이름 예수 복된 예수 내 귀에 음악 같도다 예수 복된 예수

아 귀하다 그의 이름 갈보리산 어린 양 귀한 생명 버리셨네 예수 복된 예수”

 

3. 스스로 왕 노릇 하는 자들

누구를 막론하고 자만심이 문제입니다.

“너희가 이미 배부르며 이미 부요하며 우리 없이 왕 노릇하였도다”(8절).

그런 자는 제멋에 살아가는 자들로서 ‘심령이 가난한 자가 받을 복’을 모르고 살아가는 자들입니다.

지난주일 제가 이름을 밝히지 않은 편지 한 통을 받았는데 혼자 간직하기에는 아까워 소개합니다.

“목사님, 안녕하세요! 오늘은 스승의 주일입니다. 실은 지난 어버이 주일에 인사를 드리려고 했는데 예기치 못한 상정들이 생겨서 인사를 드리지 못했습니다.

목사님은 제게 스승이시기보다는 어버이십니다. 하나님의 거룩하신 형상을 닮고서도 짐승과 다르지 않게 살아가던 저와 저의 가정을 오늘까지 해산하는 수고로 낳으신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목사님을 통해 주시는 생명의 꼴을 먹으며 점차로 사람의 모습을 회복하기까지 목사님의 끊임없는 권면과 눈물의 기도로 인함인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세상에는 많은 부모들이 계시지만 제게는 저를 낳아주시고 키워주신 부모님이 가장 훌륭하신 것처럼 영혼에 있어서 저와 저의 가정을 낳아주시고 길러주신 목사님과 사모님이 저희에게 가장 훌륭한 부모님이십니다.

저희의 부족함과 허물을 목사님께서 대신 회개하시며 그들을 품고 하나님 앞에 나아가셔서 중보하신 많은 날들로 인해 완고하고 패역하여 하나님 앞에서 버림받아 마땅한 자들이 이제는 하나님의 은혜를 알고 그 은혜 힘입어 감사하며 살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목사님께서 지고 계신 짐을 함께 지지 못하고 또 저에게는 향유 담은 옥합도 없지만 목사님을 위해 기도하겠습니다.

집 나간 탕자가 돌아오기를 밤마다 문 열어 놓고 기다리시던 아버지의 심정으로 오늘까지 수고하신 그 눈물의 씨앗에 대해 하나님께서 결코 외면하지 않으시고 기쁨으로 단을 거두게 하실 줄 믿습니다. 얼마 전에 꿈을 꾸었습니다.

목사님께서 누렇게 익은 곡식밭에 앉아 계셨는데 그 벼의 낱알이 콩알 같이 굵었습니다.

가까이 가서 보니 가라지는 하나도 없는 논이었습니다. 어떤 사람이 그 곡식을 따서 목사님께 드리니 그것을 받아 기쁘게 드시는 것을 보았습니다.

목사님께서 요즈음 교회의 일들로 인해 많이 힘들어하시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제 눈물로 키우신 저희들이 목사님을 위해 기도할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목사님을 영육 간에 더욱 강건하게 하시어서 독수리 날개 치며 올라감 같은 새 힘을 주실 것입니다. 팔십 세에 부름을 받아 그의 백성을 애굽에서 이끌어 내도록 임무를 받은 모세와 같이 동일한 은혜와 능력을 주시도록 기도하고 있습니다.

목사님, 힘내세요! 저희 모두는 목사님과 사모님을 사랑하고 있습니다.

여호와 닛시의 하나님께서 함께 하시길 소원합니다.” 은혜 입은 양 드림

사모하는 심령 위에 하나님의 은혜가 더욱 넘쳐날 줄 믿습니다.

 

4. 주님을 따르는 길

“내가 생각하건대 하나님이 사도인 우리를 죽이기로 작정한 자 같이 미말에 두셨으매 우리는 세계 곧 천사와 사람에게 구경거리가 되었노라”(9절).

여러분! 흉악범과 강도를 위한 고급 호텔을 보신 일이 있습니까? 그런 자를 위해서는 담벼락을 높게 쌓은 형무소가 있을 뿐입니다. 전도자가 무슨 잘못을 저질렀기에 이런 대우를 받아야 합니까? 그러나 바울은 낙심하지 않았습니다.

“바로 이 시간까지 우리가 주리고 목마르며 헐벗고 매 맞으며 정처가 없고 또 수고하여 친히 손으로 일을 하며 후욕을 당한즉 축복하고 핍박을 당한즉 참고 비방을 당한즉 권면하니 우리가 지금까지 세상의 더러운 것과 만물의 찌끼 같이 되었도다”(11-13).

이것은 어느 어리석고 우매한 자가 걸어간 길이 아닌 주님께서 가신 길이요 주님을 따른 전도자 바울이 걸어간 길이요, 앞서간 전도자들이 걸어간 길입니다. 오늘 우리도 이 길을 걸어야 합니다. 은혜가 아니면 깨달을 수도 없고 따라갈 수도 없습니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우리 성도들은 이 진리를 깨닫고 십자가의 길, 바로 걸어 기약된 영광에 이르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바울의 고난

고전 4:9-13

 

우리가 왜 예수를 믿어야 하는지 그 이유를 물어온다면 구원받기를 위해서 또는 복 받기를 위해서라 할 줄 압니다. 그러나 복음의 진수를 바로 알지 못하면 우리의 삶은 무의미하게 됨을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여기는 일반사람들이 자랑하는 부귀와 영화, 권세도 마찬가지입니다.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헤밍웨이는 네번이나 결혼을 하고 또 많은 재산은 가졌으나 번민과 고독 속에서 몸부림을 치다가 알콜 중독에 자살로 생을 마쳤는가 하면 문학의 교과서로 불리는 모파상도 사십이 세에 자살을 시도하고 사십삼 세에 정신이상으로 죽었습니다. 이것이 그리스도 없는 자들의 종말입니다.

기억할 것은 그리스도의 고난과 십자가의 죽음은 내가 받을 고난의 십자가를 거두심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오히려 십자가를 지고 주님을 따르므로 영원한 승리를 가져오게 하는 부활의 진리입니다.

“아무든지 나를 따라 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좇을 것이니라”(마16:24).

우리가 고난이 주는 참된 의미를 깨닫는다면 어떠한 믿음의 자세로 주님을 따라야 마땅할지를 다짐하게 될 것입니다.

 

1. 고난의 원인

천국에는 불행의 씨앗인 눈물과 이별, 죽음이 없습니다. 그러나 세상은 불행으로 가득합니다. 많은 남녀가 행복하기 위해 결혼을 하지만 그렇지 못합니다. 통계에 의하면 하루에 팔백사십 쌍이 결혼하는데 그 중 삼백구십팔 쌍이 이혼하고 돌아선다고 합니다. 금고에 구멍을 뚫다가 붙잡힌 자에게 “왜 그런 짓을 했느냐”는 질문에 “장사 밑천 마련하여 잘 살아보려고 했다”는 말을 했습니다. 또 어떤 자는 “외국으로 나가서 멋지게 살고 싶어서”라고 하니 참으로 어처구니없는 일들이지요.

평화를 열망하는 이스라엘에서는 오늘도 자살 테러 공격이 그치지 않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세계 평화와 인류 공존을 위해 설립된 UN이 건재하지만, 여전히 지구상에 일어나는 전쟁을 막지 못하고 있습니다. 어느 때부터 이러한 불행이 들어오게 되었을까요? 선악과를 먹고 에덴에서 축출될 때부터입니다. 그러므로 인간이 원죄의 보응을 벗어날 수 없다면 그리스도 밖에서는 어디에서도 참된 평안을 기대할 수 없고, 죽음으로부터 해방될 수 없는 것입니다.

 

2. 고난의 성격

1) 죄의 보응으로 받는 고난

죄의 보응으로 받는 고난은 한 마디로 불행이요 수치입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고난이 내게 미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입니다. 다윗이 아들 압살롬에게 쫓겨날 때 사울의 집 족속 시므이가 다윗에게 돌을 던지고 먼지를 날리며 저주했습니다.

“피를 흘린 자여 비루한 자여 가거라 가거라 사울의 족속의 모든 피를 여호와께서 네게로 돌리셨도다 그 대신에 네가 왕이 되었으나 여호와께서 나라를 네 아들 압살롬의 손에 붙이셨도다 보라 너는 피를 흘린 자인고로 화를 자취하였느니라”(삼하16:7-8).

그런데 그 전쟁에 반역자 압살롬이 죽고 다윗이 승리하여 다시 요단을 건너려 했을 때 또 시므이가 다윗 앞에 나타났습니다. 엎드려 고하기를,

“내 주여 원컨대 내게 죄 주지 마옵소서 내 주 왕께서 예루살렘에서 나오시던 날에 종의 패역한 일을 기억하지 마옵시며 마음에 두지 마옵소서 왕의 종 내가 범죄한 줄 아옵는고로 오늘 요셉의 온 족속 중 내가 먼저 내려와서 내 주 왕을 영접하나이다”(삼하19:19-20).

그때 다윗이 스루야의 말을 따랐다면 시므이는 그 자리에서 죽었을 것이지만 다윗은 “네가 죽지 아니하리라”(삼하19:23) 하고 살려주었습니다. 그런데 저질은 죄는 사유의 은혜를 힘입기 전에는 올무가 되어 생명을 찾고 있는 것입니다. 솔로몬이 등장하자 부왕 다윗의 유언을 따라 시므이를 불러 “너는 예루살렘에서 너를 위하여 집을 짓고... 어디든지 나가지 말라”(왕상2:36) 하였습니다. 그런데 삼 년이 지난 후에 그의 종들이 가드로 도망간 일로 인해 예루살렘을 벗어나서 죽고 말았습니다.

우리가 깨달아야 할 진리는 “심는 대로 거둔다”는 진리입니다. 그러므로 복 받을 사람은 복 받을 일을 하고 저주 받을 자는 저주 받을 행동을 하는 것입니다. 오늘 영광된 대열에서 주님을 섬기는 성도들은 모두가 복 받을 일에 앞장설 수 있기를 바랍니다.

2) 애매한 고난

사람이 사는 동안 욥과 같이 까닭 없이 닥치는 고난이 있습니다. 이에 대해 베드로는,

“애매히 고난을 받아도 하나님을 생각함으로 슬픔을 참으면 이는 아름다우나 죄가 있어 매를 맞고 참으면 무슨 칭찬이 있으리요”(벧전2:19-20) 하였습니다.

뉴욕에 있는 튜윈 빌딩을 충돌한 비행기 테러 사건을 보고 미국의 부시 대통령은 “저런 바보 같은 조종사가 있느냐”고 화를 냈지만 세계 최강국인 미국조차 예고 없이 닥친 테러사건을 방지하기엔 역부족이었습니다.

“엄마 나 죽을 것 같아. 나 두려워”

“여보, 아이들 잘 부탁해! 사랑해” 라는 마지막 말들을 남기고 순식간에 그들은 죽었습니다. 이런 경우 생명의 구원은 어떻게 될까요? 오직 하나님만이 아시지요. 그러나 각기 믿음 여하에 따라 사후의 세계는 결정되는 것입니다.

이스라엘의 아합 왕 때 일어난 일입니다. 아합이 나봇의 포도원을 탐내어 그것을 자신에게 팔기를 요구하자 나봇은 조상 때부터 내려오는 유산은 지키기로 서약하였으므로 아합 왕의 요구를 들어줄 수 없다고 했습니다. 그러자 왕이 마음에 근심하여 식사도 거르는 것을 보고 왕후 이세벨은 비류 두 사람을 세워 하나님과 왕을 저주하였다 하며 나봇을 돌로 쳐 죽이고 그의 포도원을 빼앗았던 일이 있었습니다(왕상21:7-16).

나봇 처럼 우리도 때로는 애매한 고난과 죽음을 당하는 일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때 주님께서 더 큰 위로와 소망을 주실 줄 믿으시기 바랍니다.

3) 선을 행함으로 받는 고난

“의를 위하여 고난을 받으면 복 있는 자니 저희의 두려워함을 두려워 말며 소동치 말고”

“선을 행함으로 고난 받는 것이 하나님의 뜻일진대 악을 행함으로 고난 받는 것보다 나으니라”(벧전3:14; 17).

해비타트(Habitat) 운동의 창시자 밀라드 훌러(Millard Fuller)의 이야기입니다. 그는 가난 때문에 친구들에게 따돌림을 받았으나 좌절하지 않고 열심히 공부하여 변호사가 되고, 또 사업을 시작하여 많은 돈을 벌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부인 린다(Linda)가 “이렇게 사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나요” 라는 쪽지를 남긴 채 가출해 버리자 여기서 충격을 받아 모든 재산을 복지 재단에 기증하고 선교사로 아프리카에 가서 삼 년 동안 봉사하고 돌아와서 이 운동을 시작하여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과 힘을 합하여 지금까지 주택 십만 채를 지어 가난한 사람들에게 집을 제공해 주었다고 합니다. 미국의 지미 카터 전 대통령도 여기에 일원으로 우리나라에 와서 무더운 여름에 못질을 하면서 “미국 대통령으로 재직했던 것도 귀중한 일이요 보람 있는 일이었지만 이 일도 그처럼 보람을 느낀다”고 하여 모두의 가슴을 훈훈하게 했던 일이 있었습니다.

재미있는 일화가 있습니다. 팔십 세 된 노인이 재산이 많으므로 오래 살고 싶어서 하나님께 기도했습니다. “하나님, 제가 가진 재산의 절반을 하나님께 드릴 테니 오래 살게 해 주십시오” 하였더니 “네 재산 전부를 바치겠다고 했으면 이천 년을 살게 해 주었을 텐데 절반만 바치겠다고 했으니 나도 절반을 잘라 천년을 더 살게 해 주겠다”고 했습니다. 그 부자는 일천 년을 더 살게 되었다고 생각하여 사람들을 불러 모아 잔치를 베풀고 “이제 내가 천 년을 살게 되었다고 자랑했습니다. 그런데 다음날 죽고 말았습니다. 하나님께 따지기를 "왜 천년을 더 살게 해 주신다고 하시고 하루 만에 이렇게 부르셨습니까?” 하였더니 “너는 성경을 알지도 못하느냐 성경에는 "하루가 천년 같고 천년이 하루 같다고 하였느니라”고 했습니다.

여러분!

무엇이 영원하고 무엇이 허무에 그치는 것임을 분별했다면 오늘을 후회 없이 사는 길을 찾아야 합니다. 선을 위한 고난은 그 자체가 영광임을 믿으시기 소원합니다.

 

3. 주님을 위한 고난

주님을 위한 고난은 성도로서 하늘의 상급이 기약된 영광스러운 고난입니다.

“자녀이면 또한 후사 곧 하나님의 후사요 그리스도와 함께한 후사니 우리가 그와 함께 영광을 받기 위하여 고난도 함께 받아야 될 것이니라”(롬8:17).

“그리스도를 위하여 너희에게 은혜를 주신 것은 다만 그를 믿을 뿐 아니라 또한 그를 위하여 고난도 받게 하심이라”(빌1:29).

바울은 본문에서 “내가 생각하건대 하나님이 사도인 우리를 죽이기로 작정한 자 같이 미말에 두셨으매 우리는 세계 곧 천사와 사람에게 구경거리가 되었노라”(9절) 하였습니다.

사형수들이 인권을 내세우며 자유를 원한다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인간이라면 자기에게 피해를 입은 자들에게 먼저 사죄해야 마땅할 것입니다. 그런데 바울은 아무런 잘못 없이 고난을 당했지만 좌절하고 낙심하지 않았습니다. 도리어 어떤 것이 더 큰 영광인지를 대조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의 연고로 미련하되 너희는 그리스도 안에서 지혜롭고 우리는 약하되 너희는 강하고 너희는 존귀하되 우리는 비천하여 바로 이 시간까지 우리가 주리고 목마르며 헐벗고 매 맞으며 정처가 없고 또 수고하여 친히 손으로 일을 하며 후욕을 당한즉 축복하고 핍박을 당한즉 참고 비방을 당한즉 권면하니 우리가 지금까지 세상의 더러운 것과 만물의 찌끼같이 되었도다”(10-13).

바울이 자신은 불행하고 다른 사람은 행복해 보여 이런 말을 했을까요? 우리는 주님을 믿노라 하면서도 십자가와 무관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면 그것을 도리어 부끄럽게 생각해야 합니다. 그리스도 예수의 이름 때문에 안일하게 살지 못함을 자랑하는 성도들이 되어야 하겠습니다.

“내가 너희를 부끄럽게 하려고 이것을 쓰는 것이 아니라 오직 너희를 내 사랑하는 자녀 같이 권하려 하는 것이라”(14절).

신앙의 안목으로 성경을 보십시오. 의의 면류관을 받아 쓴 바울의 이름이 하늘에 별과 같이 빛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주님께서 주신 면류관입니다. 주님의 이름으로 받는 고난은 불행이 아니라 영광임을 알았다면 우리 모두 그날에 받을 상급을 위해 십자가를 바로 지고 주님을 따르는 성도들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Loyalty is what you seek

1 Corinthians 4:1-5

 

If you look at the Bible with the eyes of faith, you will find that it shines like a jewel. Please believe that only those who have this eye of faith will know the treasure, and that those who know the value of the treasure can possess it forever.

“Buy truth and not sell it, but wisdom and instruction and understanding” (Proverbs 23:23).

It is a parable of heaven.

“The kingdom of heaven is like a treasure hidden in a field, and when a man found it, he hid it, and rejoiced, went back and sold all that he had and bought the field” (Matthew 13:44).

What is this treasure hidden in the field? What is clear is that even if I sell all my possessions, it cannot be compared to that.

Paul realized this truth and was able to give up everything like excrement to make it his own. We should also become saints who enjoy the glory of heaven by possessing this treasure. What is this treasure?

1) The truth of the atonement is treasure.

When the Lord said, “Everyone who belongs to the truth hears my voice,” Pilate said, “What is truth?” (John 18:37-38).

When a group of people filled with flesh through the miracle of five fish went to Capernaum to find Jesus,

“You seek me, not because you saw signs, but because you ate the loaves and were satisfied. Do not work for food that perishes, but for food that endures to eternal life, which the Son of Man will give you, whom God the Father has sealed.” John 6:26-27).

An elder said to his younger brother who attends Catholicism, “Catholicism is a heresy,” and he said, “I say things like that even though I know I go to Catholicism,” and he thought wildly.

This is the story of the monk Jinje, who is called a great Buddhist monk.

“The true Buddha has neither come nor gone. If you know your true self, you are a Buddha; if you do not know, you are a common man. But people are looking for illusions without knowing their true nature. The meaning of the Buddha's coming is to help his sentient beings find their true self through meditation."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Buddhist philosophy that the way to find one's true self is in meditation and the truth of being born again through the atonement of Christ. This is because human sins cannot be solved through meditation, but only through the forgiveness of sins through the blood of Christ Jesus.

2) The words written by inspiration are treasures.

The Word of God says, “Blessed are those who read and those who hear, and those who keep what is written in them” (Revelation 1:3). We must be careful not to be deceived when it comes to things that have nothing to do with the truth. You must know that there is nothing that you can live for and die for anything but the truth.

As Malcom Muggeridge said, "If Jesus had been tempted by Satan in the wilderness today, the fourth temptation would have been to appear on a nationally broadcast Prime Time TV program." If there had been true satisfaction there would have been no reason for celebrities to indulge in drugs or hallucinogens.

 

1. The identity of the evangelist

1) You are a servant of Christ.

If we are enslaved to sin, we will become slaves to the devil. The term “I, Paul, a servant of Christ Jesus” is found many times in Paul’s epistles.

“Do not allow sin to have dominion over your mortal body, and do not obey its lusts, nor present your members to sin as instruments of unrighteousness, but present yourselves to God as those raised from the dead, and your members present to God as weapons of righteousness” (Romans 6:12-13).

Evangelists are God's workers under the yoke of truth. Also, God's workers will receive God's guarantee.

“Taste and see that the LORD is good. Blessed is the one who takes refuge in him; fear the Lord, you saints, and those who fear him lack nothing. .

2) He is the one who is entrusted with the mystery of God.

“Man ought to consider us ministers of Christ and entrusters of the mystery of God” (verse 1). This mystery means the deep will and providence of God.

Please remember that the Lord, holding the seven stars in his right hand and walking among the seven candlesticks, wrote to the seven church messengers. It is to tell the people of God the secrets they do not know and to tell them what will happen in the future.

Saul went to Samuel to find the lost donkey, and was anointed king of Israel, Daniel interprets King Nebuchadnezzar's dream, and Peter rebukes Ananias and Sapphira for lying.

 

2. Pray for supplication following allegiance

“Ask, and it will be given to you; seek and you will find; knock, and it will be opened to you; for everyone who asks receives, and he who seeks finds, and to him who knocks it will be opened” (Matthew 7:7-8).

However, there are prayers that are not answered even if you ask for them. It is a prayer that is wrongly asked to be spent on lust, and it is a prayer without repentance.

We have many lessons to learn from the kings of Israel, Saul and David. When Saul was rebuked by Samuel, he valued his face and was afraid to be humbled in front of people. The unrepentant Saul was forsaken, but David was restored to his favor.

“We roar like bears, weep like doves, and we look for justice, and there is none, but salvation, but we are far from us. We know our iniquities” (Isaiah 59:11-12). Pray with faithful faith.

“And of those entrusted with it, fidelity is to be sought” (verse 2).

God is pleased with prayers raised with faithful faith. Just as God gladly answered Solomon when he asked for wisdom, please believe that God is pleased with those who pray according to their duties and missions today.

This is the story of Grace Korean Church in LA. At that church, an elder donated 40 million dollars to buy the 36-acre rocket battery headquarters building for 35 million dollars and repaired it with 15 million dollars. It is said that he will visit the site by securing a large site and purchasing a helicopter.

Let us pray with great faith for the glory of God. I believe that God will open the heavenly treasury and answer it.

 

3. Paul's Humility

Loyalty is what pleases the Lord, and humility is what pleases the Lord.

“It is very little to me to be judged by you and by others” (verse 3).

Here we can see what Paul's godly life was like.

“The spiritual person judges all things, but he himself is judged by no one” (1 Corinthians 2:15).

“I understand nothing against myself, but by this I am not justified; but it is the Lord who judges me. to each one a praise from God” (4-5).

If all of us have spiritual eyes and have found the treasure of truth, I pray that we will attain eternal glory with faithful faith. Amen

 

 

바울의 고난

고전 4:9-13

 

우리가 왜 예수를 믿어야 하는지 그 이유를 물어온다면 구원받기를 위해서 또는 복 받기를 위해서라 할 줄 압니다. 그러나 복음의 진수를 바로 알지 못하면 우리의 삶은 무의미하게 됨을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여기는 일반사람들이 자랑하는 부귀와 영화, 권세도 마찬가지입니다.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헤밍웨이는 네번이나 결혼을 하고 또 많은 재산은 가졌으나 번민과 고독 속에서 몸부림을 치다가 알콜 중독에 자살로 생을 마쳤는가 하면 문학의 교과서로 불리는 모파상도 사십이 세에 자살을 시도하고 사십삼 세에 정신이상으로 죽었습니다. 이것이 그리스도 없는 자들의 종말입니다.

기억할 것은 그리스도의 고난과 십자가의 죽음은 내가 받을 고난의 십자가를 거두심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오히려 십자가를 지고 주님을 따르므로 영원한 승리를 가져오게 하는 부활의 진리입니다.

“아무든지 나를 따라 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좇을 것이니라”(마16:24).

우리가 고난이 주는 참된 의미를 깨닫는다면 어떠한 믿음의 자세로 주님을 따라야 마땅할지를 다짐하게 될 것입니다.

 

1. 고난의 원인

천국에는 불행의 씨앗인 눈물과 이별, 죽음이 없습니다. 그러나 세상은 불행으로 가득합니다. 많은 남녀가 행복하기 위해 결혼을 하지만 그렇지 못합니다. 통계에 의하면 하루에 팔백사십 쌍이 결혼하는데 그 중 삼백구십팔 쌍이 이혼하고 돌아선다고 합니다. 금고에 구멍을 뚫다가 붙잡힌 자에게 “왜 그런 짓을 했느냐”는 질문에 “장사 밑천 마련하여 잘 살아보려고 했다”는 말을 했습니다. 또 어떤 자는 “외국으로 나가서 멋지게 살고 싶어서”라고 하니 참으로 어처구니없는 일들이지요.

평화를 열망하는 이스라엘에서는 오늘도 자살 테러 공격이 그치지 않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세계 평화와 인류 공존을 위해 설립된 UN이 건재하지만, 여전히 지구상에 일어나는 전쟁을 막지 못하고 있습니다. 어느 때부터 이러한 불행이 들어오게 되었을까요? 선악과를 먹고 에덴에서 축출될 때부터입니다. 그러므로 인간이 원죄의 보응을 벗어날 수 없다면 그리스도 밖에서는 어디에서도 참된 평안을 기대할 수 없고, 죽음으로부터 해방될 수 없는 것입니다.

 

2. 고난의 성격

1) 죄의 보응으로 받는 고난

죄의 보응으로 받는 고난은 한 마디로 불행이요 수치입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고난이 내게 미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입니다. 다윗이 아들 압살롬에게 쫓겨날 때 사울의 집 족속 시므이가 다윗에게 돌을 던지고 먼지를 날리며 저주했습니다.

“피를 흘린 자여 비루한 자여 가거라 가거라 사울의 족속의 모든 피를 여호와께서 네게로 돌리셨도다 그 대신에 네가 왕이 되었으나 여호와께서 나라를 네 아들 압살롬의 손에 붙이셨도다 보라 너는 피를 흘린 자인고로 화를 자취하였느니라”(삼하16:7-8).

그런데 그 전쟁에 반역자 압살롬이 죽고 다윗이 승리하여 다시 요단을 건너려 했을 때 또 시므이가 다윗 앞에 나타났습니다. 엎드려 고하기를,

“내 주여 원컨대 내게 죄 주지 마옵소서 내 주 왕께서 예루살렘에서 나오시던 날에 종의 패역한 일을 기억하지 마옵시며 마음에 두지 마옵소서 왕의 종 내가 범죄한 줄 아옵는고로 오늘 요셉의 온 족속 중 내가 먼저 내려와서 내 주 왕을 영접하나이다”(삼하19:19-20).

그때 다윗이 스루야의 말을 따랐다면 시므이는 그 자리에서 죽었을 것이지만 다윗은 “네가 죽지 아니하리라”(삼하19:23) 하고 살려주었습니다. 그런데 저질은 죄는 사유의 은혜를 힘입기 전에는 올무가 되어 생명을 찾고 있는 것입니다. 솔로몬이 등장하자 부왕 다윗의 유언을 따라 시므이를 불러 “너는 예루살렘에서 너를 위하여 집을 짓고... 어디든지 나가지 말라”(왕상2:36) 하였습니다. 그런데 삼 년이 지난 후에 그의 종들이 가드로 도망간 일로 인해 예루살렘을 벗어나서 죽고 말았습니다.

우리가 깨달아야 할 진리는 “심는 대로 거둔다”는 진리입니다. 그러므로 복 받을 사람은 복 받을 일을 하고 저주 받을 자는 저주 받을 행동을 하는 것입니다. 오늘 영광된 대열에서 주님을 섬기는 성도들은 모두가 복 받을 일에 앞장설 수 있기를 바랍니다.

2) 애매한 고난

사람이 사는 동안 욥과 같이 까닭 없이 닥치는 고난이 있습니다. 이에 대해 베드로는,

“애매히 고난을 받아도 하나님을 생각함으로 슬픔을 참으면 이는 아름다우나 죄가 있어 매를 맞고 참으면 무슨 칭찬이 있으리요”(벧전2:19-20) 하였습니다.

뉴욕에 있는 튜윈 빌딩을 충돌한 비행기 테러 사건을 보고 미국의 부시 대통령은 “저런 바보 같은 조종사가 있느냐”고 화를 냈지만 세계 최강국인 미국조차 예고 없이 닥친 테러사건을 방지하기엔 역부족이었습니다.

“엄마 나 죽을 것 같아. 나 두려워”

“여보, 아이들 잘 부탁해! 사랑해” 라는 마지막 말들을 남기고 순식간에 그들은 죽었습니다. 이런 경우 생명의 구원은 어떻게 될까요? 오직 하나님만이 아시지요. 그러나 각기 믿음 여하에 따라 사후의 세계는 결정되는 것입니다.

이스라엘의 아합 왕 때 일어난 일입니다. 아합이 나봇의 포도원을 탐내어 그것을 자신에게 팔기를 요구하자 나봇은 조상 때부터 내려오는 유산은 지키기로 서약하였으므로 아합 왕의 요구를 들어줄 수 없다고 했습니다. 그러자 왕이 마음에 근심하여 식사도 거르는 것을 보고 왕후 이세벨은 비류 두 사람을 세워 하나님과 왕을 저주하였다 하며 나봇을 돌로 쳐 죽이고 그의 포도원을 빼앗았던 일이 있었습니다(왕상21:7-16).

나봇 처럼 우리도 때로는 애매한 고난과 죽음을 당하는 일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때 주님께서 더 큰 위로와 소망을 주실 줄 믿으시기 바랍니다.

3) 선을 행함으로 받는 고난

“의를 위하여 고난을 받으면 복 있는 자니 저희의 두려워함을 두려워 말며 소동치 말고”

“선을 행함으로 고난 받는 것이 하나님의 뜻일진대 악을 행함으로 고난 받는 것보다 나으니라”(벧전3:14; 17).

해비타트(Habitat) 운동의 창시자 밀라드 훌러(Millard Fuller)의 이야기입니다. 그는 가난 때문에 친구들에게 따돌림을 받았으나 좌절하지 않고 열심히 공부하여 변호사가 되고, 또 사업을 시작하여 많은 돈을 벌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부인 린다(Linda)가 “이렇게 사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나요” 라는 쪽지를 남긴 채 가출해 버리자 여기서 충격을 받아 모든 재산을 복지 재단에 기증하고 선교사로 아프리카에 가서 삼 년 동안 봉사하고 돌아와서 이 운동을 시작하여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과 힘을 합하여 지금까지 주택 십만 채를 지어 가난한 사람들에게 집을 제공해 주었다고 합니다. 미국의 지미 카터 전 대통령도 여기에 일원으로 우리나라에 와서 무더운 여름에 못질을 하면서 “미국 대통령으로 재직했던 것도 귀중한 일이요 보람 있는 일이었지만 이 일도 그처럼 보람을 느낀다”고 하여 모두의 가슴을 훈훈하게 했던 일이 있었습니다.

재미있는 일화가 있습니다. 팔십 세 된 노인이 재산이 많으므로 오래 살고 싶어서 하나님께 기도했습니다. “하나님, 제가 가진 재산의 절반을 하나님께 드릴 테니 오래 살게 해 주십시오” 하였더니 “네 재산 전부를 바치겠다고 했으면 이천 년을 살게 해 주었을 텐데 절반만 바치겠다고 했으니 나도 절반을 잘라 천년을 더 살게 해 주겠다”고 했습니다. 그 부자는 일천 년을 더 살게 되었다고 생각하여 사람들을 불러 모아 잔치를 베풀고 “이제 내가 천 년을 살게 되었다고 자랑했습니다. 그런데 다음날 죽고 말았습니다. 하나님께 따지기를 "왜 천년을 더 살게 해 주신다고 하시고 하루 만에 이렇게 부르셨습니까?” 하였더니 “너는 성경을 알지도 못하느냐 성경에는 "하루가 천년 같고 천년이 하루 같다고 하였느니라”고 했습니다.

여러분!

무엇이 영원하고 무엇이 허무에 그치는 것임을 분별했다면 오늘을 후회 없이 사는 길을 찾아야 합니다. 선을 위한 고난은 그 자체가 영광임을 믿으시기 소원합니다.

 

3. 주님을 위한 고난

주님을 위한 고난은 성도로서 하늘의 상급이 기약된 영광스러운 고난입니다.

“자녀이면 또한 후사 곧 하나님의 후사요 그리스도와 함께한 후사니 우리가 그와 함께 영광을 받기 위하여 고난도 함께 받아야 될 것이니라”(롬8:17).

“그리스도를 위하여 너희에게 은혜를 주신 것은 다만 그를 믿을 뿐 아니라 또한 그를 위하여 고난도 받게 하심이라”(빌1:29).

바울은 본문에서 “내가 생각하건대 하나님이 사도인 우리를 죽이기로 작정한 자 같이 미말에 두셨으매 우리는 세계 곧 천사와 사람에게 구경거리가 되었노라”(9절) 하였습니다.

사형수들이 인권을 내세우며 자유를 원한다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인간이라면 자기에게 피해를 입은 자들에게 먼저 사죄해야 마땅할 것입니다. 그런데 바울은 아무런 잘못 없이 고난을 당했지만 좌절하고 낙심하지 않았습니다. 도리어 어떤 것이 더 큰 영광인지를 대조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의 연고로 미련하되 너희는 그리스도 안에서 지혜롭고 우리는 약하되 너희는 강하고 너희는 존귀하되 우리는 비천하여 바로 이 시간까지 우리가 주리고 목마르며 헐벗고 매 맞으며 정처가 없고 또 수고하여 친히 손으로 일을 하며 후욕을 당한즉 축복하고 핍박을 당한즉 참고 비방을 당한즉 권면하니 우리가 지금까지 세상의 더러운 것과 만물의 찌끼같이 되었도다”(10-13).

바울이 자신은 불행하고 다른 사람은 행복해 보여 이런 말을 했을까요? 우리는 주님을 믿노라 하면서도 십자가와 무관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면 그것을 도리어 부끄럽게 생각해야 합니다. 그리스도 예수의 이름 때문에 안일하게 살지 못함을 자랑하는 성도들이 되어야 하겠습니다.

“내가 너희를 부끄럽게 하려고 이것을 쓰는 것이 아니라 오직 너희를 내 사랑하는 자녀 같이 권하려 하는 것이라”(14절).

신앙의 안목으로 성경을 보십시오. 의의 면류관을 받아 쓴 바울의 이름이 하늘에 별과 같이 빛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주님께서 주신 면류관입니다. 주님의 이름으로 받는 고난은 불행이 아니라 영광임을 알았다면 우리 모두 그날에 받을 상급을 위해 십자가를 바로 지고 주님을 따르는 성도들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Dicipline and love

1 Corinthians 4:14-21

 

The World Cup (Word Cup), which is drawing the world's attention, is getting hotter. It's an opportunity to come for the first time in 100 years, so it's hard to see a game in Korea again. What I am grateful for is that the festival of the people of the world will be held in this land where the blood of comrades has been shed. It is a sport that transcends ideologies and ideologies and brings them all together. However, we should pray that the whole nation will be sublimated to the joy of eternal salvation in Christ Jesus, not the joy that passes by in a state of temporary excitement.

 

1. True Glory

This glory, unlike the glory of the world, which is temporary and disappears, is the glory enjoyed in the truth, and it is the grace of God that is bestowed upon those who serve the Lord.

“For we are foolish because of Christ, but you are wise in Christ; we are weak, but you are strong, you are honorable, but we are lowly.

As a servant of Christ, it is a contrast. What matters is who the Lord is with and whom he delights in more. If you turn away from the Lord, you must believe that even if you have everything in the world, you will not be satisfied, and if you are with the Lord, you will not lack even if you lose everything in the world. Jacob, who left with only one staff, had heavenly blessings and the right of the firstborn, so that he could form two groups when he returned. The power of godliness comes to the humble. But Paul is admonishing the Corinthian church members who are already full, already rich, and who are kings without apostles.

“I am not writing this to shame you, but to exhort you as my beloved children” (verse 14).

If we have known what the glory we will enjoy forever in Christ Jesus is, we should not lose the opportunity and serve the Lord with more humble faith.

 

2. Master and Father

“In Christ there were ten thousand teachers, but not many fathers, for in Christ Jesus I begotten you through the gospel” (verse 15).

This is the glory that evangelists enjoy.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master and father’? “All military departments” means to respect the king, teachers, and parents equally. If a distinction is made here, teachers should be respected in terms of education, and parents in terms of existence. Parents and children are a relationship established by God, and no one can change it. Therefore, children should be filial to their parents. Just as rebelling against God's grace is a sin, we need to know that disobeying our parents is also a great sin.

It has been 23 years since I pastored here. As a result, I can't help but thank God for the grace he has given me over the years as I watch the people who have been officiating and getting married in the past have reached the age of having children and marrying them. Among them, Deacon Kang, who was young and immature, built a new house and held worship services. When her husband passed away at a young age leaving her three children and her mother, butler, it must have seemed like the sky was falling. But even though I don't have any special talents, when I watch my children grow up and show filial piety to her mother, I know that there is nothing but prayer. Please believe that God blesses families who serve well and are filial. We must be careful not to lose our blessed heritage of faith.

“Therefore I urge you to become imitators of me” (verse 16).

 

3. Son of Faith

I know that the greatest pride in Paul's life was getting Timothy. Timothy was the son of Paul who obeyed and kept the faith just like my limbs. He can't do everything by himself, no matter who he is. Therefore, the Lord raised twelve disciples,

He said, “The harvest is plentiful, but workers are scarce. Pray to send workers to the harvest” (Luke 10:2). The characteristic of successful people is that they know how to use people right away.

Carnegie's tombstone is said to be inscribed with the inscription "Here sleeps the giant of the century who knew how to see and use those who were superior to him." Look at how much Paul loved and trusted Timothy.

“For this reason I have sent to you Timothy, my beloved and faithful son in the Lord, who will remind you of my works in Christ Jesus, of what I teach in every church” (verse 17).

Who do you want to discuss with important matters?

1) A person you can trust.

No one will discuss important matters with someone you don't trust.

2) He is an insightful person.

When you want counseling, you go to someone who is recognized for your ability to solve problems. The same goes for people looking for famous doctors.

3) He is a loyal person.

No matter what, a loyal person can achieve more than expected. But “a lazy man is like a candle to his master, and smoke to his eyes” (Proverbs 10:26).

Look at Timothy's loyalty.

“I send Timothy to you quickly, in the Lord, that you may be comforted by the knowledge of your circumstances, for I have no one else to agree with you and to think sincerely about your circumstances. But you know Timothy's training, that he labored with me for the gospel, as a child does to a father” (Philippians 2:19-22).

Knowing that the crown of heaven returns to those who are loyal, we wish all of us to rise to glory in the ranks of the faithful.

 

4. The Kingdom of God

Heaven is described in many ways in the Bible.

1) It is the world of the spirit, that is, the world of truth.

“The kingdom of God is not eating and drinking, but righteousness and peace and joy in the Holy Spirit” (Romans 14:17).

We must realize that the Lord's sacrAment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sacrAment enjoyed by the people of the world. The Eucharist gives us true food, the food of eternal life, but the feast of the world is the food of the flesh. Even now, many children are dying from malnutrition in North Korea. But what about us? As children gain weight due to overnutrition, they become geriatric and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Gaining weight but losing stamina is not health. Instead of looking for food to please our mouths, we should become people who seek food for work, and use our material things to contribute to the gospel ministry.

“Not one of us lives for himself, and not one dies for himself. If we live, we live for the Lord, and if we die, we die for the Lord. Therefore, whether we live or die, we are the Lord’s” (Romans 14:7-8).

2) It is in the power of godliness.

“Some have become proud of themselves, as though I would not come to you; but if the Lord permits, I will come to you quickly, not to search the words of the proud, but to know their power. The kingdom of God is not in word, but in power. Because there is” (18-20).

The teaching of the Lord was not like that of the scribes and Pharisees, but had authority and power. The person running for mayor of Seoul right now is a believer in Jesus. I hope that politicians like Joseph will come out and bring blessings to the country and change the customs of following idols into Christian culture. Everyone fears God, not just a member of the church, so I hope that they will be empowered by the power of godliness.

 

5. Discipline and Love

“What do you want? Shall I come to you with a rod, or in love and meekness of heart” (verse 21).

I know that no one likes discipline more than love. However, if the person to be loved does not act to be loved, that becomes a problem. Even though God's love is infinite, we must not forget that He gives love to those who are to be loved and gives grace to those who are to be favored.

“To the merciful you show your mercy; to the perfect you show your perfection; to the clean you show your purity; to the wicked you show your displeasure; you will save the afflicted people, and you will humble the proud eyes.” Psalm 18:25-27).

everyone!

What kind of Lord are you waiting for? Be prepared to receive grace. Those who are stubborn and do not know repentance will weep and grind their teeth on the day the Lord comes. Those who repent and receive the grace of forgiveness, and are faithful in My Father's house like the prodigal who returned, I believe that that day will overflow with glory. May we all attain glory in humble faith before the gracious Lord. Amen

 

 

 

징계와 사랑

고전 4:14-21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월드컵(Word cup) 경기가 점점 열기를 더해가고 있습니다. 백 년 만에 올 수 있는 기회라고 하니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경기를 다시 보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감사한 일은 동족상잔의 피를 흘렸던 이 땅에서 세계인의 축제를 열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사상과 이념을 초월하여 모두 하나가 되게 하는 것이 스포츠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일시적인 흥분상태로 스쳐 가는 기쁨이 아니라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온 국민이 영원한 구원의 기쁨으로 승화되도록 기도해야 하겠습니다.

 

1. 참된 영광

이 영광은 잠깐 있다가 없어지는 세상 영광과는 달리 진리 안에서 누리는 영광으로 주님을 섬기는 자에게 베풀어 주시는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의 연고로 미련하되 너희는 그리스도 안에서 지혜롭고 우리는 약하되 너희는 강하고 너희는 존귀하되 우리는 비천하여 바로 이 시간까지 우리가 주리고 목마르며 헐벗고 매 맞으며 정처가 없고”(10-11).

그리스도를 섬기는 자로서 대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주님께서 누구와 함께 하시며 누구를 더 기뻐하느냐에 있습니다. 주님을 등지면 세상의 것을 다 가져도 만족이 없고 주님과 함께하면 세상 것을 다 잃어도 부족함이 없음을 믿으셔야 합니다. 지팡이 하나만 의지하고 떠났던 야곱은 천상의 복과 장자의 권을 가졌으므로 돌아올 때는 두떼를 이룰 수 있었습니다. 경건의 능력은 겸손한 자에게 임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바울은 이미 배부르며 이미 부요하며 사도 없이 왕 노릇하는 고린도 교회 성도들에게 권면하고 있습니다.

“내가 너희를 부끄럽게 하려고 이것을 쓰는 것이 아니라 오직 너희를 내 사랑하는 자녀 같이 권하려 하는 것이라”(14절)..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영원히 누릴 영광이 어떤 것임을 알았다면 우리는 기회를 잃지 말고 더욱 겸손한 믿음으로 주님을 섬겨야 하겠습니다.

 

2. 스승과 아비

“그리스도 안에서 일만 스승이 있으되 아비는 많지 아니하니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복음으로써 내가 너희를 낳았음이라”(15절).

이것이 전도자가 누리는 영광입니다. ‘스승과 아비’는 어떤 차이가 있습니까? “군사부 일체”라 하여 임금과 스승, 부모님은 동일하게 존중하라는 말입니다. 여기에 구분을 한다면 스승은 교육적인 면에서 존중해야 하고, 부모는 존재적 면에서 그러합니다. 부모와 자식은 하나님께서 맺어주신 관계이므로 누구도 바꿀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자식은 부모에게 효도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은혜를 배역하는 것이 죄악인 것처럼 부모님께 불효하는 것 또한 큰 죄가 됨을 알아야 합니다.

제가 여기서 목회 한지 어느덧 23년이 지났습니다. 그러다 보니 그동안 주례하여 시집 장가간 사람들이 자녀를 낳아 또 결혼시킬 나이가 되는 것을 보면서 그동안 베풀어주신 하나님의 은혜를 감사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중에 어리고 철없기 그지없던 강 집사가 새집을 지어서 예배를 드렸습니다. 삼 남매를 두고 젊은 나이에 남편이 세상을 떠났을 때 어머니 집사님은 하늘이 무너지는 것 같았을 것입니다. 그런데 제가 보기로는 특별한 재주가 없어 보이는데도 자녀들이 잘 자라서 어머니께 효도하는 것을 보면 역시 기도밖에 없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하나님 잘 섬기고 효도하는 가정에 복 내려 주심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우리는 복 받을 믿음의 유산을 잃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권하노니 너희는 나를 본받는 자 되라”(16절).

 

3. 믿음의 아들

바울의 생애에 무엇보다 큰 자랑은 디모데를 얻게 된 일인 줄 압니다. 디모데는 바울에게 있어 내 수족과 같이 전적으로 순종하며 믿음을 지킨 아들이었습니다. 누구를 막론하고 모든 일을 혼자서 다 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주님께서 열두 제자를 세우셨고,

“추수할 것은 많은데 일꾼이 부족하니 추수할 일꾼을 보내달라고 기도하라”(눅10:2)고 하셨습니다. 성공한 사람들의 특징은 사람을 바로 쓸 줄 알았다는데 있습니다.

카네기 묘비에는 “자기보다 뛰어난 자를 볼 줄 알았고 그를 활용할 줄 알았던 세기의 거인 여기 잠들다” 라는 글이 새겨져 있다고 합니다. 바울이 디모데를 얼마나 아끼고 신뢰하였는지 보십시오.

“이를 인하여 내가 주 안에서 내 사랑하고 신실한 아들 디모데를 너희에게 보내었노니 저가 너희로 하여금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나의 행사 곧 내가 각처 각 교회에서 가르치는 것을 생각나게 하리라”(17절).

중요한 일이 있을 때 의논하고 싶은 사람은 어떤 사람입니까?

1) 믿을 수 있는 사람입니다.

신뢰할 수 없는 사람과 중요한 일을 함께 의논하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2) 통찰력이 있는 사람입니다.

상담을 원할 때는 해결할 능력을 인정받는 사람에게 찾아가는 것입니다. 사람들이 유명한 의사를 찾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3) 충성된 사람입니다.

무슨 일이든지 충성된 사람은 기대 이상의 성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게으른 자는 그 부리는 사람에게 마치 이에 초 같고 눈에 연기 같으니라”(잠10:26) 하였습니다.

디모데의 충성심을 보십시오.

“내가 디모데를 속히 너희에게 보내기를 주 안에서 바람은 너희 사정을 앎으로 안위를 받으려 함이니 이는 뜻을 같이 하여 너희 사정을 진실히 생각할 자가 이밖에 내게 없음이라 그들이 다 자기 일을 구하고 그리스도 예수의 일을 구하지 아니하되 디모데의 연단을 너희가 아나니 자식이 아비에게 함같이 나와 함께 복음을 위하여 수고하였느니라”(빌2:19-22).

하늘나라 면류관은 충성하는 자에게 돌아온다는 사실을 알았다면 우리 모두 충성된 대열에서 영광에 이르기를 소원합니다.

 

4. 하나님의 나라

성경에서 천국은 여러 가지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1) 영의 세계 곧 진리의 세계입니다.

“하나님의 나라는 먹는 것과 마시는 것이 아니요 오직 성령 안에서 의와 평강과 희락이라”(롬14:17).

주님께서 베푸신 성찬은 세상 사람들이 즐기는 성찬과 근본을 달리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합니다. 성찬 예식은 우리에게 참된 양식 곧 영생의 양식을 주시지만 세상 잔치는 육체의 양식입니다. 지금도 북한에는 영양실조로 죽어가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어떻습니까? 영양과잉으로 체중이 늘어나서 아이들이 성인병에 들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체중은 늘었으나 체력이 떨어지는 것은 건강이 아닙니다. 우리는 입을 즐겁게 하기 위해 음식을 찾지 말고 일하기 위해 음식을 찾는 사람이 되고, 물질을 선용하여 복음 사역에 이바지해야 하겠습니다.

“우리 중에 누구든지 자기를 위하여 사는 자가 없고 자기를 위하여 죽는 자도 없도다 우리가 살아도 주를 위하여 살고 죽어도 주를 위하여 죽나니 그러므로 사나 죽으나 우리가 주의 것이로다”(롬14:7-8).

2) 경건의 능력에 있습니다.

“어떤 이들은 내가 너희에게 나아가지 아니할 것같이 스스로 교만하여졌으나 그러나 주께서 허락하시면 내가 너희에게 속히 나아가서 교만한 자의 말을 알아볼 것이 아니라 오직 그 능력을 알아보겠노니 하나님의 나라는 말에 있지 아니하고 오직 능력에 있음이라”(18-20).

주님의 교훈은 서기관과 바리새인과 같지 아니하여 권세와 능력이 있었습니다. 지금 서울 시장을 하겠다고 출마한 사람이 예수를 믿는 분입니다. 요셉과 같은 정치인이 나와서 나라가 복을 받고 우상을 좇는 풍속을 기독교 문화로 변화시켜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모두가 이름뿐인 교인이 아니라 하나님을 두려워하므로 경건의 능력을 힘입기를 소원합니다.

 

5. 징계와 사랑

“너희가 무엇을 원하느냐 내가 매를 가지고 너희에게 나아가랴 사랑과 온유한 마음으로 나아가랴”(21절).

사랑보다 징계를 좋아할 사람은 없을 줄 압니다. 그런데 사랑받을 사람이 사랑받을 행동을 안 하면 그것이 문제가 됩니다. 하나님의 사랑은 무한할지라도 사랑받을 자에게 사랑을 베푸시고 은혜받을 자에게 은혜를 베푸신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자비한 자에게는 주의 자비하심을 나타내시며 완전한 자에게는 주의 완전하심을 보이시며 깨끗한 자에게는 주의 깨끗하심을 보이시며 사특한 자에게는 주의 거스리심을 보이시리니 주께서 곤고한 백성은 구원하시고 교만한 눈은 낮추시리이다”(시18:25-27).

여러분!

어떠한 주님을 기다리십니까? 은혜받을 준비를 해야 합니다. 완고하여 회개를 모르는 자들이라면 주님께서 오시는 그날에 슬피 울며 이를 갈게 될 것이요 회개하여 사유의 은총을 힘입고, 돌아온 탕자와 같이 내 아버지 집에서 충성하는 자들은 그날에 영광이 넘칠 줄 믿습니다. 우리 모두 은혜 주시는 주님 앞에서 겸손한 믿음으로 영광에 이르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징계와 사랑

고전 4:14-21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월드컵(Word cup) 경기가 점점 열기를 더해가고 있습니다. 백 년 만에 올 수 있는 기회라고 하니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경기를 다시 보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감사한 일은 동족상잔의 피를 흘렸던 이 땅에서 세계인의 축제를 열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사상과 이념을 초월하여 모두 하나가 되게 하는 것이 스포츠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일시적인 흥분상태로 스쳐 가는 기쁨이 아니라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온 국민이 영원한 구원의 기쁨으로 승화되도록 기도해야 하겠습니다.

 

1. 참된 영광

이 영광은 잠깐 있다가 없어지는 세상 영광과는 달리 진리 안에서 누리는 영광으로 주님을 섬기는 자에게 베풀어 주시는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의 연고로 미련하되 너희는 그리스도 안에서 지혜롭고 우리는 약하되 너희는 강하고 너희는 존귀하되 우리는 비천하여 바로 이 시간까지 우리가 주리고 목마르며 헐벗고 매 맞으며 정처가 없고”(10-11).

그리스도를 섬기는 자로서 대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주님께서 누구와 함께 하시며 누구를 더 기뻐하느냐에 있습니다. 주님을 등지면 세상의 것을 다 가져도 만족이 없고 주님과 함께하면 세상 것을 다 잃어도 부족함이 없음을 믿으셔야 합니다. 지팡이 하나만 의지하고 떠났던 야곱은 천상의 복과 장자의 권을 가졌으므로 돌아올 때는 두떼를 이룰 수 있었습니다. 경건의 능력은 겸손한 자에게 임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바울은 이미 배부르며 이미 부요하며 사도 없이 왕 노릇하는 고린도 교회 성도들에게 권면하고 있습니다.

“내가 너희를 부끄럽게 하려고 이것을 쓰는 것이 아니라 오직 너희를 내 사랑하는 자녀 같이 권하려 하는 것이라”(14절)..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영원히 누릴 영광이 어떤 것임을 알았다면 우리는 기회를 잃지 말고 더욱 겸손한 믿음으로 주님을 섬겨야 하겠습니다.

 

2. 스승과 아비

“그리스도 안에서 일만 스승이 있으되 아비는 많지 아니하니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복음으로써 내가 너희를 낳았음이라”(15절).

이것이 전도자가 누리는 영광입니다. ‘스승과 아비’는 어떤 차이가 있습니까? “군사부 일체”라 하여 임금과 스승, 부모님은 동일하게 존중하라는 말입니다. 여기에 구분을 한다면 스승은 교육적인 면에서 존중해야 하고, 부모는 존재적 면에서 그러합니다. 부모와 자식은 하나님께서 맺어주신 관계이므로 누구도 바꿀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자식은 부모에게 효도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은혜를 배역하는 것이 죄악인 것처럼 부모님께 불효하는 것 또한 큰 죄가 됨을 알아야 합니다.

제가 여기서 목회 한지 어느덧 23년이 지났습니다. 그러다 보니 그동안 주례하여 시집 장가간 사람들이 자녀를 낳아 또 결혼시킬 나이가 되는 것을 보면서 그동안 베풀어주신 하나님의 은혜를 감사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중에 어리고 철없기 그지없던 강 집사가 새집을 지어서 예배를 드렸습니다. 삼 남매를 두고 젊은 나이에 남편이 세상을 떠났을 때 어머니 집사님은 하늘이 무너지는 것 같았을 것입니다. 그런데 제가 보기로는 특별한 재주가 없어 보이는데도 자녀들이 잘 자라서 어머니께 효도하는 것을 보면 역시 기도밖에 없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하나님 잘 섬기고 효도하는 가정에 복 내려 주심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우리는 복 받을 믿음의 유산을 잃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권하노니 너희는 나를 본받는 자 되라”(16절).

 

3. 믿음의 아들

바울의 생애에 무엇보다 큰 자랑은 디모데를 얻게 된 일인 줄 압니다. 디모데는 바울에게 있어 내 수족과 같이 전적으로 순종하며 믿음을 지킨 아들이었습니다. 누구를 막론하고 모든 일을 혼자서 다 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주님께서 열두 제자를 세우셨고,

“추수할 것은 많은데 일꾼이 부족하니 추수할 일꾼을 보내달라고 기도하라”(눅10:2)고 하셨습니다. 성공한 사람들의 특징은 사람을 바로 쓸 줄 알았다는데 있습니다.

카네기 묘비에는 “자기보다 뛰어난 자를 볼 줄 알았고 그를 활용할 줄 알았던 세기의 거인 여기 잠들다” 라는 글이 새겨져 있다고 합니다. 바울이 디모데를 얼마나 아끼고 신뢰하였는지 보십시오.

“이를 인하여 내가 주 안에서 내 사랑하고 신실한 아들 디모데를 너희에게 보내었노니 저가 너희로 하여금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나의 행사 곧 내가 각처 각 교회에서 가르치는 것을 생각나게 하리라”(17절).

중요한 일이 있을 때 의논하고 싶은 사람은 어떤 사람입니까?

1) 믿을 수 있는 사람입니다.

신뢰할 수 없는 사람과 중요한 일을 함께 의논하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2) 통찰력이 있는 사람입니다.

상담을 원할 때는 해결할 능력을 인정받는 사람에게 찾아가는 것입니다. 사람들이 유명한 의사를 찾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3) 충성된 사람입니다.

무슨 일이든지 충성된 사람은 기대 이상의 성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게으른 자는 그 부리는 사람에게 마치 이에 초 같고 눈에 연기 같으니라”(잠10:26) 하였습니다.

디모데의 충성심을 보십시오.

“내가 디모데를 속히 너희에게 보내기를 주 안에서 바람은 너희 사정을 앎으로 안위를 받으려 함이니 이는 뜻을 같이 하여 너희 사정을 진실히 생각할 자가 이밖에 내게 없음이라 그들이 다 자기 일을 구하고 그리스도 예수의 일을 구하지 아니하되 디모데의 연단을 너희가 아나니 자식이 아비에게 함같이 나와 함께 복음을 위하여 수고하였느니라”(빌2:19-22).

하늘나라 면류관은 충성하는 자에게 돌아온다는 사실을 알았다면 우리 모두 충성된 대열에서 영광에 이르기를 소원합니다.

 

4. 하나님의 나라

성경에서 천국은 여러 가지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1) 영의 세계 곧 진리의 세계입니다.

“하나님의 나라는 먹는 것과 마시는 것이 아니요 오직 성령 안에서 의와 평강과 희락이라”(롬14:17).

주님께서 베푸신 성찬은 세상 사람들이 즐기는 성찬과 근본을 달리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합니다. 성찬 예식은 우리에게 참된 양식 곧 영생의 양식을 주시지만 세상 잔치는 육체의 양식입니다. 지금도 북한에는 영양실조로 죽어가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어떻습니까? 영양과잉으로 체중이 늘어나서 아이들이 성인병에 들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체중은 늘었으나 체력이 떨어지는 것은 건강이 아닙니다. 우리는 입을 즐겁게 하기 위해 음식을 찾지 말고 일하기 위해 음식을 찾는 사람이 되고, 물질을 선용하여 복음 사역에 이바지해야 하겠습니다.

“우리 중에 누구든지 자기를 위하여 사는 자가 없고 자기를 위하여 죽는 자도 없도다 우리가 살아도 주를 위하여 살고 죽어도 주를 위하여 죽나니 그러므로 사나 죽으나 우리가 주의 것이로다”(롬14:7-8).

2) 경건의 능력에 있습니다.

“어떤 이들은 내가 너희에게 나아가지 아니할 것같이 스스로 교만하여졌으나 그러나 주께서 허락하시면 내가 너희에게 속히 나아가서 교만한 자의 말을 알아볼 것이 아니라 오직 그 능력을 알아보겠노니 하나님의 나라는 말에 있지 아니하고 오직 능력에 있음이라”(18-20).

주님의 교훈은 서기관과 바리새인과 같지 아니하여 권세와 능력이 있었습니다. 지금 서울 시장을 하겠다고 출마한 사람이 예수를 믿는 분입니다. 요셉과 같은 정치인이 나와서 나라가 복을 받고 우상을 좇는 풍속을 기독교 문화로 변화시켜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모두가 이름뿐인 교인이 아니라 하나님을 두려워하므로 경건의 능력을 힘입기를 소원합니다.

 

5. 징계와 사랑

“너희가 무엇을 원하느냐 내가 매를 가지고 너희에게 나아가랴 사랑과 온유한 마음으로 나아가랴”(21절).

사랑보다 징계를 좋아할 사람은 없을 줄 압니다. 그런데 사랑받을 사람이 사랑받을 행동을 안 하면 그것이 문제가 됩니다. 하나님의 사랑은 무한할지라도 사랑받을 자에게 사랑을 베푸시고 은혜받을 자에게 은혜를 베푸신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자비한 자에게는 주의 자비하심을 나타내시며 완전한 자에게는 주의 완전하심을 보이시며 깨끗한 자에게는 주의 깨끗하심을 보이시며 사특한 자에게는 주의 거스리심을 보이시리니 주께서 곤고한 백성은 구원하시고 교만한 눈은 낮추시리이다”(시18:25-27).

여러분!

어떠한 주님을 기다리십니까? 은혜받을 준비를 해야 합니다. 완고하여 회개를 모르는 자들이라면 주님께서 오시는 그날에 슬피 울며 이를 갈게 될 것이요 회개하여 사유의 은총을 힘입고, 돌아온 탕자와 같이 내 아버지 집에서 충성하는 자들은 그날에 영광이 넘칠 줄 믿습니다. 우리 모두 은혜 주시는 주님 앞에서 겸손한 믿음으로 영광에 이르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Dicipline and love

1 Corinthians 4:14-21

 

The World Cup (Word Cup), which is drawing the world's attention, is getting hotter. It's an opportunity to come for the first time in 100 years, so it's hard to see a game in Korea again. What I am grateful for is that the festival of the people of the world will be held in this land where the blood of comrades has been shed. It is a sport that transcends ideologies and ideologies and brings them all together. However, we should pray that the whole nation will be sublimated to the joy of eternal salvation in Christ Jesus, not the joy that passes by in a state of temporary excitement.

 

1. True Glory

This glory, unlike the glory of the world, which is temporary and disappears, is the glory enjoyed in the truth, and it is the grace of God that is bestowed upon those who serve the Lord.

“For we are foolish because of Christ, but you are wise in Christ; we are weak, but you are strong, you are honorable, but we are lowly.

As a servant of Christ, it is a contrast. What matters is who the Lord is with and whom he delights in more. If you turn away from the Lord, you must believe that even if you have everything in the world, you will not be satisfied, and if you are with the Lord, you will not lack even if you lose everything in the world. Jacob, who left with only one staff, had heavenly blessings and the right of the firstborn, so that he could form two groups when he returned. The power of godliness comes to the humble. But Paul is admonishing the Corinthian church members who are already full, already rich, and who are kings without apostles.

“I am not writing this to shame you, but to exhort you as my beloved children” (verse 14).

If we have known what the glory we will enjoy forever in Christ Jesus is, we should not lose the opportunity and serve the Lord with more humble faith.

 

2. Master and Father

“In Christ there were ten thousand teachers, but not many fathers, for in Christ Jesus I begotten you through the gospel” (verse 15).

This is the glory that evangelists enjoy.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master and father’? “All military departments” means to respect the king, teachers, and parents equally. If a distinction is made here, teachers should be respected in terms of education, and parents in terms of existence. Parents and children are a relationship established by God, and no one can change it. Therefore, children should be filial to their parents. Just as rebelling against God's grace is a sin, we need to know that disobeying our parents is also a great sin.

It has been 23 years since I pastored here. As a result, I can't help but thank God for the grace he has given me over the years as I watch the people who have been officiating and getting married in the past have reached the age of having children and marrying them. Among them, Deacon Kang, who was young and immature, built a new house and held worship services. When her husband passed away at a young age leaving her three children and her mother, butler, it must have seemed like the sky was falling. But even though I don't have any special talents, when I watch my children grow up and show filial piety to her mother, I know that there is nothing but prayer. Please believe that God blesses families who serve well and are filial. We must be careful not to lose our blessed heritage of faith.

“Therefore I urge you to become imitators of me” (verse 16).

 

3. Son of Faith

I know that the greatest pride in Paul's life was getting Timothy. Timothy was the son of Paul who obeyed and kept the faith just like my limbs. He can't do everything by himself, no matter who he is. Therefore, the Lord raised twelve disciples,

He said, “The harvest is plentiful, but workers are scarce. Pray to send workers to the harvest” (Luke 10:2). The characteristic of successful people is that they know how to use people right away.

Carnegie's tombstone is said to be inscribed with the inscription "Here sleeps the giant of the century who knew how to see and use those who were superior to him." Look at how much Paul loved and trusted Timothy.

“For this reason I have sent to you Timothy, my beloved and faithful son in the Lord, who will remind you of my works in Christ Jesus, of what I teach in every church” (verse 17).

Who do you want to discuss with important matters?

1) A person you can trust.

No one will discuss important matters with someone you don't trust.

2) He is an insightful person.

When you want counseling, you go to someone who is recognized for your ability to solve problems. The same goes for people looking for famous doctors.

3) He is a loyal person.

No matter what, a loyal person can achieve more than expected. But “a lazy man is like a candle to his master, and smoke to his eyes” (Proverbs 10:26).

Look at Timothy's loyalty.

“I send Timothy to you quickly, in the Lord, that you may be comforted by the knowledge of your circumstances, for I have no one else to agree with you and to think sincerely about your circumstances. But you know Timothy's training, that he labored with me for the gospel, as a child does to a father” (Philippians 2:19-22).

Knowing that the crown of heaven returns to those who are loyal, we wish all of us to rise to glory in the ranks of the faithful.

 

4. The Kingdom of God

Heaven is described in many ways in the Bible.

1) It is the world of the spirit, that is, the world of truth.

“The kingdom of God is not eating and drinking, but righteousness and peace and joy in the Holy Spirit” (Romans 14:17).

We must realize that the Lord's sacrAment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sacrAment enjoyed by the people of the world. The Eucharist gives us true food, the food of eternal life, but the feast of the world is the food of the flesh. Even now, many children are dying from malnutrition in North Korea. But what about us? As children gain weight due to overnutrition, they become geriatric and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Gaining weight but losing stamina is not health. Instead of looking for food to please our mouths, we should become people who seek food for work, and use our material things to contribute to the gospel ministry.

“Not one of us lives for himself, and not one dies for himself. If we live, we live for the Lord, and if we die, we die for the Lord. Therefore, whether we live or die, we are the Lord’s” (Romans 14:7-8).

2) It is in the power of godliness.

“Some have become proud of themselves, as though I would not come to you; but if the Lord permits, I will come to you quickly, not to search the words of the proud, but to know their power. The kingdom of God is not in word, but in power. Because there is” (18-20).

The teaching of the Lord was not like that of the scribes and Pharisees, but had authority and power. The person running for mayor of Seoul right now is a believer in Jesus. I hope that politicians like Joseph will come out and bring blessings to the country and change the customs of following idols into Christian culture. Everyone fears God, not just a member of the church, so I hope that they will be empowered by the power of godliness.

 

5. Discipline and Love

“What do you want? Shall I come to you with a rod, or in love and meekness of heart” (verse 21).

I know that no one likes discipline more than love. However, if the person to be loved does not act to be loved, that becomes a problem. Even though God's love is infinite, we must not forget that He gives love to those who are to be loved and gives grace to those who are to be favored.

“To the merciful you show your mercy; to the perfect you show your perfection; to the clean you show your purity; to the wicked you show your displeasure; you will save the afflicted people, and you will humble the proud eyes.” Psalm 18:25-27).

everyone!

What kind of Lord are you waiting for? Be prepared to receive grace. Those who are stubborn and do not know repentance will weep and grind their teeth on the day the Lord comes. Those who repent and receive the grace of forgiveness, and are faithful in My Father's house like the prodigal who returned, I believe that that day will overflow with glory. May we all attain glory in humble faith before the gracious Lord. Amen

 

 

권징의 필요성

고전 5:1-13

 

여수에서 이십팔세 된 가정부가 AIDS에 감염된 사실을 알고, 일 년 반이 넘도록 사창가를 출입하면서 남자들과 관계하여 감염시켰는데, 그 수가 수백 명에 이른다는 사실이 세상에 알려지면서 놀라운 충격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보건 당국이 단속을 하지만 완벽하게 차단하기엔 역부족인 것 같습니다.

AIDS에 걸리면 육신에 그치지 않고 영혼까지 병들어 죽게 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아담과 돕는 배필로 하와를 창조하시고 생육과 번영의 복을 주시고,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창1:27-31) 하셨습니다.

이렇게 복되고 아름다운 가정을 탈선하면 행복은 불행으로, 기쁨은 고통으로 전락하는 것입니다.

다윗은 골리앗을 죽이고 또 백전백승의 용장이었으나 우리아의 아내 밧세바와 동침하고 우리아를 죽인 일로, 집안에서 피 흘리는 보응이 끊이지 않았던 것입니다. 그렇게 여자를 좋아했던 다윗을 보십시오.

“이스라엘 사방 영토 내에 아리따운 처녀를 구하던 중 수넴 여자 아비삭을 얻어 왕께 데려왔으니 이 처녀는 심히 아름다워 그가 왕을 받들어 시중들었으나 왕이 잠자리는 같이 하지 아니하였더라”(왕상1:3-4).

삼손도 날 때부터 나실인으로 구별을 받았으나 딤나에서 만난 불레셋 여자 들릴라를 사랑하다가 두 눈을 뽑히고 연자 맷돌을 돌려야 하는 운명에 처했던 것입니다.

기억해야 할 것은 음탕하고 더러운 죄악은 대상과 장소를 가리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네게 두어 가지 책망할 것이 있나니 거기 네게 발람의 교훈을 지키는 자들이 있도다 발람이 발락을 가르쳐 이스라엘 앞에 올무를 놓아 우상의 제물을 먹게 하였고 또 행음하게 하였느니라... 그러므로 회개하라 그리하지 아니하면 내가 네게 속히 임하여 내 입의 검으로 그들과 싸우리라”(계2:14, 16).

 

1. 고린도 교회의 음행사건

“너희 중에 심지어 음행이 있다 함을 들으니 이런 음행은 이방인 중에라도 없는 것이라 누가 그 아비의 아내를 취하였다 하는도다”(1절).

여기에 ‘취하였다’는 말은 계모와 음행한 일이나 아내로 삼았든지 둘 중에 하나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인간이 짐승과 다른 것은 윤리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아버지의 아내를 아들이 범했다면, 이는 자기를 낳은 어미를 취하거나 아버지와 살았던 여인이든지, 또 그런 일은 아버지가 살아 있든지 죽었든지 마찬가지로 죄악입니다.

야곱의 아들 중에 장자가 르우벤입니다. 그런데 르우벤은 아버지의 첩을 범한 일로 장자의 복을 받을 수 없었습니다.

“르우벤아 너는 내 장자요 나의 능력이요 나의 기력의 시작이라 위광이 초등하고 권능이 탁월하도다마는 물의 끓음 같았은즉 너는 탁월치 못하리니 네가 아비의 침상에 올라 더렵혔음이로다 그가 침상에 올랐었도다”(창49:3-4).

더욱 심각한 문제는 범죄한 인간이 회개가 없었다는 것입니다. 주님께서 현장에서 붙잡힌 간음한 여인에게 “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먼저 돌로 쳐라”(요8:3) 하셨을 때 감히 누구도 그렇게 하지 못하고 뿔뿔이 흩어지고 말았던 것입니다.

누가 의인입니까?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다”(롬3:10)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의 보혈로 용서받은 자는 의인입니다. 다윗은 나단 선지자를 통해 “당신이 바로 그 사람이요” 하고 책망했을 때 즉시 회개하였지만, 사울은 회개가 없었습니다.

“지존 무상하며 영원히 거하며 거룩하다 이름하는 자가 이같이 말씀하시되 내가 높고 거룩한 곳에 거하며 또한 통회하고 마음이 겸손한 자와 함께 거하나니 이는 겸손한 자의 영을 소성케 하며 통회하는 자의 마음을 소성케 하려 함이라”(사57:15).

 

2. 권징의 필요성

권징은 진리를 사수하기 위해 하는 것입니다. 사람이 병이 들면 어떻게 하지요? 가벼운 증상이면 간단히 치료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암은 수술해야 합니다. 교회도 마찬가지입니다. 물론 죄가 없다면 감사할 일이지만 죄를 범하고도 회개가 없다면 그것은 심각한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그리하고도 너희가 오히려 교만하여져서 어찌하여 통한히 여기지 아니하고 그 일 행한 자를 너희 중에서 물리치지 아니하였느냐”(2절).

교만이 들어가면 회개할 기회도 잃게 됩니다. 이로 인해 경건의 능력을 잃고 세속화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바울은 교회를 오염시키는 죄악에 대해 엄한 징벌을 내리고 있습니다.

“내가 실로 몸으로는 떠나 있으나 영으로는 함께 있어서 거기 있는 것같이 이 일 행한 자를 이미 판단하였노라 주 예수의 이름으로 너희가 내 영과 함께 모여서 우리 주 예수의 능력으로 이런 자를 사탄에게 내어 주었으니 이는 육신은 멸하고 영은 주 예수의 날에 구원 얻게 하려 함이라”(3-5).

여기 ‘사탄에게 내어 주었다’ 는 것은 제명 출교에 해당하는 극형으로, 아나니아와 삽비라 사건과 같이 사도들에게 이러한 권세를 부여했던 것입니다. 또 ‘육신은 멸하고 영은 주 예수의 날에 구원 얻게 하려 함이라, 는 말씀에 대해 회개가 없어도 구원받는 것으로 잘못 해석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주께서 그 사랑하시는 자를 징계하시고 그의 받으시는 아들마다 채찍질하심이니라”(히12:6). 이 말씀은 사랑하기 때문에 까닭 없이 징계하신다는 의미가 아니라 사랑하는 자가 죄를 지을 때 징계하신다는 말씀입니다.

“징계는 다 받는 것이거늘 너희에게 없으면 사생자요 참 아들이 아니니라”(히12:8).

징계보다 더 무서운 것은 유기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 그들을 마음의 정욕대로 더러움에 내 버려 두사 그들의 몸을 서로 욕되게 하게 하셨으니 이는 그들이 하나님의 진리를 거짓 것으로 바꾸어 피조물을 조물주보다 더 경배하고 섬김이라”(롬1:24-25).

3. 누룩 없는 떡

“너희의 자랑하는 것이 옳지 아니하도다 적은 누룩이 온 덩어리에 퍼지는 것을 알지 못하느냐 너희는 누룩 없는 자인데 새 덩어리가 되기 위하여 묵은 누룩을 내어버리라 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이 되셨느니라 이러므로 우리가 명절을 지키되 묵은 누룩도 말고 괴악하고 악독한 누룩도 말고 오직 순전함과 진실함의 누룩 없는 떡으로 하자”(6-8).

누룩은 적은 량이 들어가서 부풀게 하는 요소를 지니고 있습니다. 여기서 언급한 두 가지 누룩에 대해 생각할 것이 있습니다.

1) 묵은 누룩

이는 유대인의 잘못된 교훈입니다.

유의할 것은 율법이 잘못되어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율법을 자랑하는 율법주의가 잘못되었다는 말씀입니다. 율법은 진리일지라도 율법주의는 진리를 역행하다는 사실을 잊어서 안 될 것입니다. 이는 구약시대에 구원받을 자가 없었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구원은 오직 그리스도의 대속으로만 구원 받을 수 있다는 믿음이 있다면 그들은 오실 메시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받은 것입니다. 그러므로 하박국 선지자는 “의인은 그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합2:4) 하였습니다.

기억하십시오! 그리스도의 대속이 없는 율법주의는 결코 구원의 진리가 될 수 없습니다.

2) 괴악하고 악독한 누룩

이것은 세속화 현상을 의미합니다. 세속화 현상은 어느 때를 막론하고, 또 어디든지 침투하고 있습니다. 사랑의 보금자리에도 들어와서 가정을 깨뜨리고, 신성한 교회에 들어와서 화목을 깨뜨립니다. 괴악하고 악독한 누룩, 이것은 영혼을 파멸에 이르게 하는 마귀의 올무입니다. 마귀의 시험에 빠져들지 않도록 기도하십시오. 오직 순전함과 진실함의 누룩 없는 떡으로 해야 합니다. 진리 안에서 하나 되는 성도들이 되시기를 소원합니다.

‘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이 되셨느니라 이러므로 우리가 명절을 지키되 묵은 누룩도 말고 괴악하고 악독한 누룩도 말고 오직 순전함과 진실함의 누룩 없는 떡으로 하자’

 

4. 사귈 자와 삼갈 자

“내가 너희에게 쓴 것에 음행하는 자들을 사귀지 말라 하였거니와 이 말은 이 세상의 음행하는 자들이나 탐하는 자들과 토색하는 자들이나 우상 숭배하는 자들을 도무지 사귀지 말라 하는 것이 아니니 만일 그리하려면 세상 밖으로 나가야 할 것이니라”(9-10).

사람은 사회적인 동물로서 관계 속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어떤 사업을 할 때는 고객에게 ‘당신은 죄인이요 아니요’하고 물어서는 안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어떤 사업을 하든지 죄인과 의인을 가려서 할 수 없는 것입니다. 미국의 코카콜라는 지구상에 들어가지 않은 나라가 북한과 쿠바 뿐이라 하지만 이제는 북한에도 들어갈 정도로 세계적인 상품이 되었습니다. 일본에서 만드는 자동차나 전자제품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나라도 세계적으로 으뜸을 차지하는 상품이 있어서 많은 나라로 수출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우리가 육체 가운데 거하는 동안 세상에 속한 자들과 함께 살아갈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그러나 정치하는 사람은 동지가 있고, 정적이 있어서 서로들 권력을 쟁취하기 위해 투쟁합니다. 신앙의 문제는 더욱 중요합니다.

“이제 내가 너희에게 쓴 것은 만일 어떤 형제라 일컫는 자가 음행하거나 탐람하거나 우상숭배를 하거나 후욕하거나 술 취하거나 토색하거든 사귀지도 말고 그런 자와는 함께 먹지도 말라 함이라”(11절).

개와 돼지라면 진주도 빛을 잃지요. 그리스도 밖에서야 그럴 수 없지만 그리스도 안에서는 삼갈 자와 사귈 자를 구별할 줄 알아야 합니다.

“외인들은 하나님이 판단하시려니와 이 악한 사람은 너희 중에서 내어 쫓으라”(13절).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하라” 과연 우리는 그리스도의 피로 성별 받은 성도로서 그리스도의 향기와 빛을 잃지 말고 영원한 영광에 이르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Paul's suffering

1 Corinthians 4:9-13

 

If we ask the reason why we should believe in Jesus, we can say that it is for salvation or for blessing. However, we must not forget that our life becomes meaningless if we do not know the true essence of the gospel.

The same is true of wealth, glory, and authority that ordinary people boast of. Hemingway, who won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was married four times and had a lot of money, but struggled in agony and loneliness and ended up committing suicide due to alcoholism. He died of insanity at the age of forty-three. This is the end of the Christless.

The thing to remember is that Christ's suffering and death on the cross did not take up the cross of suffering that I would suffer. Rather, it is the truth of the resurrection that brings eternal victory by taking up the cross and following the Lord.

“If any man would come after me, let him deny himself and take up his cross and follow me” (Matthew 16:24).

If we realize the true meaning of suffering, we will be determined to follow the Lord with what kind of attitude of faith.

 

1. The cause of suffering

There are no tears, parting, or death, the seeds of unhappiness in heaven. But the world is full of misery. Many men and women get married to be happy, but they are not. According to statistics, eight hundred and forty couples get married a day, and three hundred and ninety-eight of them divorce and return. When asked, “Why did you do that?” to the person caught while drilling a hole in the safe, he said, “I was trying to make a living by making a living.” Others say, “I want to go abroad and live a good life,” which is truly absurd.

In Israel, longing for peace, suicide terrorist attacks do not stop today. In addition, the United Nations, established for world peace and coexistence of mankind, is still alive and well, but it is still unable to prevent wars taking place on Earth. When did this misfortune begin? It is from the time of eating the forbidden fruit and being expelled from Eden. Therefore, unless man can escape the retribution of original sin, he cannot expect true peace anywhere outside of Christ, nor can he be freed from death.

 

2. The nature of suffering

1) Suffering as a reward for sin

Suffering as a reward for sin is, in a word, misery and shame. Therefore, I have to be careful not to let these hardships fall on me. When David was driven out by his son Absalom, Shimei from Saul's household threw stones at him, dusted him, and cursed him.

“Go, you who shed blood, you wretched one, for the LORD has given you all the blood of the house of Saul. You became king in his place, but the LORD has delivered the kingdom into the hand of your son Absalom. He took away his woes because he was a shedder” (2 Samuel 16:7-8).

However, when the rebel Absalom died in that war and David was victorious and was about to cross the Jordan again, Shimei appeared before David again. kneel down and say,

“My lord, do not sin me, my lord, do not remember or take to heart the rebellion of your servant on the day my lord the king came out of Jerusalem. I come down first to meet my lord the king” (2 Samuel 19:19-20).

At that time, if David had followed Zeruiah's words, Shimei would have died on the spot, but David said, "You shall not die" (2 Samuel 19:23) and saved him. However, the low quality is that sin becomes a snare and seeks life until it receives the grace of forgiveness. When Solomon appeared, following the will of his father David, he called Shimei and said, “Build a house for yourself in Jerusalem… and don’t go anywhere” (1 Kings 2:36). But three years later, his servants fled to Gath, and he escaped from Jerusalem and died.

The truth we need to understand is the truth that “as you sow, you reap”. Therefore, those who are blessed do the things that are blessed, and those who are cursed do the things that are cursed. I hope that the saints who serve the Lord in the glorious ranks today can take the lead in blessing everyone.

2) ambiguous suffering

There are hardships that come without cause, just like Job. In this regard, Peter

“It is a beautiful thing, if you endure hardships in the midst of suffering, thinking of God, but what praise is there if you are smitten for sin and endure it” (1 Peter 2:19-20).

After seeing the terrorist attack on the Twin Towers in New York, President Bush of the United States was outraged, saying, "Is there such a foolish pilot?" But even the world's most powerful nation, the United States, was not enough to prevent an unexpected terrorist incident.

“Mom, I think I’m going to die. I am afraid”

“Honey, take care of the children! I love you,” and they died in an instant. How will life be saved in this case? Only God knows. However, the world after death is determined by each belief.

It happened during the reign of King Ahab of Israel. When Ahab coveted Naboth's vineyard and asked him to sell it, Naboth said that he could not fulfill King Ahab's request, as he had pledged to keep the inheritance handed down from his ancestors. Then, when the king saw that the king was grieved and missed eating, Queen Jezebel appointed two Biryu, saying that they had cursed God and the king, and stoned Naboth to death and took his vineyard (1 Kings 21:7-16).

Like Naboth, we also face ambiguous suffering and death at times. However, please believe that the Lord will give you greater comfort and hope in times like these.

3) Suffering from doing good

“Blessed are those who suffer for the sake of righteousness. Do not be afraid of their fears, do not be disturbed.”

“It is better to suffer for doing good than to suffer for doing evil, if it is the will of God” (1 Peter 3:14; 17).

This is the story of Millard Fuller, the founder of the Habitat movement. Although he was ostracized by his friends because of his poverty, he did not get frustrated and studied hard to become a lawyer, and then started a business and made a lot of money. But one day, when his wife, Linda, ran away from home leaving a note saying, “What is the meaning of living like this?” She was shocked and donated all her wealth to a welfare foundation, went to Africa as a missionary, served for three years, and returned to this He started the movement and joined forces with like-minded people to build 100,000 houses and provide housing to the poor. Former US President Jimmy Carter also came to Korea as a member here and nailed it in the hot summer, saying, “It was a valuable and rewarding job to serve as 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but this job is also worthwhile.” There was work.

There is an interesting anecdote. The 80-year-old man had a lot of money, so he prayed to God because he wanted to live a long life. “God, I will give you half of my fortune so I can live long.” He said, “If you had promised to give all of your possessions, you would have made me live two thousand years. ” he said. The rich man thought that she would live a thousand more years, so she called the people together and gave her a feast, and said, “I boasted that I have now lived a thousand years. But she died the next day. She asked God, "Why did you say that you will make me live a thousand more years and call me this in one day?" He said, “Do you not know the Bible? The Bible says, “A day is like a thousand years, and a thousand years is like a day.”

everyone!

If you have discerned what is eternal and what is futile, you must find a way to live today without regret. I want you to believe that suffering for good is in itself a glory.

 

3. Suffering for the Lord

Suffering for the Lord is a glorious suffering that is promised a heavenly reward as a saint.

“If children, then heirs, heirs of God and joint heirs with Christ, for we must suffer with him in order that we may also be glorified with him” (Romans 8:17).

“It has been granted to you on behalf of Christ, not only to believe in him, but also to suffer for him” (Philippians 1:29).

Paul said in the text, “I think that God has placed us, the apostles, in the very end, as those who decided to kill us, and we became a spectacle to the world, to angels and men” (verse 9).

What if death row inmates want freedom while advocating for human rights? If you are human, you should first apologize to those who have harmed you. But Paul suffered without any wrongdoing, but he was not discouraged or discouraged. Rather, it contrasts which is the greater glory.

“For we are foolish because of Christ, but you are wise in Christ; we are weak, but you are strong, you are honorable, but we are lowly. And when we are reviled, we bless; when we are persecuted, we endure, and when we are slandered, we exhort.

Did Paul say this because he seemed unhappy and others were happy? If we say we believe in the Lord but are living a life that has nothing to do with the cross, we should be ashamed of it. We must become believers who boast that they cannot live comfortably because of the name of Christ Jesus.

“I am not writing these things to shame you, but to exhort you as my beloved children” (verse 14).

Look at the Bible through the eyes of faith. You will find that Paul's name, written with the crown of righteousness, is shining like a star in the sky. It is a crown given by the Lord. If you know that suffering in the name of the Lord is not a misfortune but a glory, I pray that all of us will bear the cross and follow the Lord for the reward we will receive on that day. Amen

 

 

권징의 필요성

고전 5:1-13

 

여수에서 이십팔세 된 가정부가 AIDS에 감염된 사실을 알고, 일 년 반이 넘도록 사창가를 출입하면서 남자들과 관계하여 감염시켰는데, 그 수가 수백 명에 이른다는 사실이 세상에 알려지면서 놀라운 충격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보건 당국이 단속을 하지만 완벽하게 차단하기엔 역부족인 것 같습니다.

AIDS에 걸리면 육신에 그치지 않고 영혼까지 병들어 죽게 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아담과 돕는 배필로 하와를 창조하시고 생육과 번영의 복을 주시고,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창1:27-31) 하셨습니다.

이렇게 복되고 아름다운 가정을 탈선하면 행복은 불행으로, 기쁨은 고통으로 전락하는 것입니다.

다윗은 골리앗을 죽이고 또 백전백승의 용장이었으나 우리아의 아내 밧세바와 동침하고 우리아를 죽인 일로, 집안에서 피 흘리는 보응이 끊이지 않았던 것입니다. 그렇게 여자를 좋아했던 다윗을 보십시오.

“이스라엘 사방 영토 내에 아리따운 처녀를 구하던 중 수넴 여자 아비삭을 얻어 왕께 데려왔으니 이 처녀는 심히 아름다워 그가 왕을 받들어 시중들었으나 왕이 잠자리는 같이 하지 아니하였더라”(왕상1:3-4).

삼손도 날 때부터 나실인으로 구별을 받았으나 딤나에서 만난 불레셋 여자 들릴라를 사랑하다가 두 눈을 뽑히고 연자 맷돌을 돌려야 하는 운명에 처했던 것입니다.

기억해야 할 것은 음탕하고 더러운 죄악은 대상과 장소를 가리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네게 두어 가지 책망할 것이 있나니 거기 네게 발람의 교훈을 지키는 자들이 있도다 발람이 발락을 가르쳐 이스라엘 앞에 올무를 놓아 우상의 제물을 먹게 하였고 또 행음하게 하였느니라... 그러므로 회개하라 그리하지 아니하면 내가 네게 속히 임하여 내 입의 검으로 그들과 싸우리라”(계2:14, 16).

 

1. 고린도 교회의 음행사건

“너희 중에 심지어 음행이 있다 함을 들으니 이런 음행은 이방인 중에라도 없는 것이라 누가 그 아비의 아내를 취하였다 하는도다”(1절).

여기에 ‘취하였다’는 말은 계모와 음행한 일이나 아내로 삼았든지 둘 중에 하나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인간이 짐승과 다른 것은 윤리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아버지의 아내를 아들이 범했다면, 이는 자기를 낳은 어미를 취하거나 아버지와 살았던 여인이든지, 또 그런 일은 아버지가 살아 있든지 죽었든지 마찬가지로 죄악입니다.

야곱의 아들 중에 장자가 르우벤입니다. 그런데 르우벤은 아버지의 첩을 범한 일로 장자의 복을 받을 수 없었습니다.

“르우벤아 너는 내 장자요 나의 능력이요 나의 기력의 시작이라 위광이 초등하고 권능이 탁월하도다마는 물의 끓음 같았은즉 너는 탁월치 못하리니 네가 아비의 침상에 올라 더렵혔음이로다 그가 침상에 올랐었도다”(창49:3-4).

더욱 심각한 문제는 범죄한 인간이 회개가 없었다는 것입니다. 주님께서 현장에서 붙잡힌 간음한 여인에게 “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먼저 돌로 쳐라”(요8:3) 하셨을 때 감히 누구도 그렇게 하지 못하고 뿔뿔이 흩어지고 말았던 것입니다.

누가 의인입니까?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다”(롬3:10)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의 보혈로 용서받은 자는 의인입니다. 다윗은 나단 선지자를 통해 “당신이 바로 그 사람이요” 하고 책망했을 때 즉시 회개하였지만, 사울은 회개가 없었습니다.

“지존 무상하며 영원히 거하며 거룩하다 이름하는 자가 이같이 말씀하시되 내가 높고 거룩한 곳에 거하며 또한 통회하고 마음이 겸손한 자와 함께 거하나니 이는 겸손한 자의 영을 소성케 하며 통회하는 자의 마음을 소성케 하려 함이라”(사57:15).

 

2. 권징의 필요성

권징은 진리를 사수하기 위해 하는 것입니다. 사람이 병이 들면 어떻게 하지요? 가벼운 증상이면 간단히 치료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암은 수술해야 합니다. 교회도 마찬가지입니다. 물론 죄가 없다면 감사할 일이지만 죄를 범하고도 회개가 없다면 그것은 심각한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그리하고도 너희가 오히려 교만하여져서 어찌하여 통한히 여기지 아니하고 그 일 행한 자를 너희 중에서 물리치지 아니하였느냐”(2절).

교만이 들어가면 회개할 기회도 잃게 됩니다. 이로 인해 경건의 능력을 잃고 세속화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바울은 교회를 오염시키는 죄악에 대해 엄한 징벌을 내리고 있습니다.

“내가 실로 몸으로는 떠나 있으나 영으로는 함께 있어서 거기 있는 것같이 이 일 행한 자를 이미 판단하였노라 주 예수의 이름으로 너희가 내 영과 함께 모여서 우리 주 예수의 능력으로 이런 자를 사탄에게 내어 주었으니 이는 육신은 멸하고 영은 주 예수의 날에 구원 얻게 하려 함이라”(3-5).

여기 ‘사탄에게 내어 주었다’ 는 것은 제명 출교에 해당하는 극형으로, 아나니아와 삽비라 사건과 같이 사도들에게 이러한 권세를 부여했던 것입니다. 또 ‘육신은 멸하고 영은 주 예수의 날에 구원 얻게 하려 함이라, 는 말씀에 대해 회개가 없어도 구원받는 것으로 잘못 해석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주께서 그 사랑하시는 자를 징계하시고 그의 받으시는 아들마다 채찍질하심이니라”(히12:6). 이 말씀은 사랑하기 때문에 까닭 없이 징계하신다는 의미가 아니라 사랑하는 자가 죄를 지을 때 징계하신다는 말씀입니다.

“징계는 다 받는 것이거늘 너희에게 없으면 사생자요 참 아들이 아니니라”(히12:8).

징계보다 더 무서운 것은 유기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 그들을 마음의 정욕대로 더러움에 내 버려 두사 그들의 몸을 서로 욕되게 하게 하셨으니 이는 그들이 하나님의 진리를 거짓 것으로 바꾸어 피조물을 조물주보다 더 경배하고 섬김이라”(롬1:24-25).

3. 누룩 없는 떡

“너희의 자랑하는 것이 옳지 아니하도다 적은 누룩이 온 덩어리에 퍼지는 것을 알지 못하느냐 너희는 누룩 없는 자인데 새 덩어리가 되기 위하여 묵은 누룩을 내어버리라 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이 되셨느니라 이러므로 우리가 명절을 지키되 묵은 누룩도 말고 괴악하고 악독한 누룩도 말고 오직 순전함과 진실함의 누룩 없는 떡으로 하자”(6-8).

누룩은 적은 량이 들어가서 부풀게 하는 요소를 지니고 있습니다. 여기서 언급한 두 가지 누룩에 대해 생각할 것이 있습니다.

1) 묵은 누룩

이는 유대인의 잘못된 교훈입니다.

유의할 것은 율법이 잘못되어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율법을 자랑하는 율법주의가 잘못되었다는 말씀입니다. 율법은 진리일지라도 율법주의는 진리를 역행하다는 사실을 잊어서 안 될 것입니다. 이는 구약시대에 구원받을 자가 없었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구원은 오직 그리스도의 대속으로만 구원 받을 수 있다는 믿음이 있다면 그들은 오실 메시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받은 것입니다. 그러므로 하박국 선지자는 “의인은 그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합2:4) 하였습니다.

기억하십시오! 그리스도의 대속이 없는 율법주의는 결코 구원의 진리가 될 수 없습니다.

2) 괴악하고 악독한 누룩

이것은 세속화 현상을 의미합니다. 세속화 현상은 어느 때를 막론하고, 또 어디든지 침투하고 있습니다. 사랑의 보금자리에도 들어와서 가정을 깨뜨리고, 신성한 교회에 들어와서 화목을 깨뜨립니다. 괴악하고 악독한 누룩, 이것은 영혼을 파멸에 이르게 하는 마귀의 올무입니다. 마귀의 시험에 빠져들지 않도록 기도하십시오. 오직 순전함과 진실함의 누룩 없는 떡으로 해야 합니다. 진리 안에서 하나 되는 성도들이 되시기를 소원합니다.

‘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이 되셨느니라 이러므로 우리가 명절을 지키되 묵은 누룩도 말고 괴악하고 악독한 누룩도 말고 오직 순전함과 진실함의 누룩 없는 떡으로 하자’

 

4. 사귈 자와 삼갈 자

“내가 너희에게 쓴 것에 음행하는 자들을 사귀지 말라 하였거니와 이 말은 이 세상의 음행하는 자들이나 탐하는 자들과 토색하는 자들이나 우상 숭배하는 자들을 도무지 사귀지 말라 하는 것이 아니니 만일 그리하려면 세상 밖으로 나가야 할 것이니라”(9-10).

사람은 사회적인 동물로서 관계 속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어떤 사업을 할 때는 고객에게 ‘당신은 죄인이요 아니요’하고 물어서는 안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어떤 사업을 하든지 죄인과 의인을 가려서 할 수 없는 것입니다. 미국의 코카콜라는 지구상에 들어가지 않은 나라가 북한과 쿠바 뿐이라 하지만 이제는 북한에도 들어갈 정도로 세계적인 상품이 되었습니다. 일본에서 만드는 자동차나 전자제품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나라도 세계적으로 으뜸을 차지하는 상품이 있어서 많은 나라로 수출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우리가 육체 가운데 거하는 동안 세상에 속한 자들과 함께 살아갈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그러나 정치하는 사람은 동지가 있고, 정적이 있어서 서로들 권력을 쟁취하기 위해 투쟁합니다. 신앙의 문제는 더욱 중요합니다.

“이제 내가 너희에게 쓴 것은 만일 어떤 형제라 일컫는 자가 음행하거나 탐람하거나 우상숭배를 하거나 후욕하거나 술 취하거나 토색하거든 사귀지도 말고 그런 자와는 함께 먹지도 말라 함이라”(11절).

개와 돼지라면 진주도 빛을 잃지요. 그리스도 밖에서야 그럴 수 없지만 그리스도 안에서는 삼갈 자와 사귈 자를 구별할 줄 알아야 합니다.

“외인들은 하나님이 판단하시려니와 이 악한 사람은 너희 중에서 내어 쫓으라”(13절).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하라” 과연 우리는 그리스도의 피로 성별 받은 성도로서 그리스도의 향기와 빛을 잃지 말고 영원한 영광에 이르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Te need for discipline

1 Corinthians 5:1-13

 

When a 28-year-old maid in Yeosu learned that she had been infected with AIDS, she had been in a brothel for over a year and a half and had sex with men. Health authorities are cracking down, but it doesn't seem to be enough to completely block it.

It must be remembered that AIDS sickens not only the body but the soul as well. God created Eve as a companion to Adam and gave him the blessing of fruitfulness and prosperity.

He said, “It was very good” (Genesis 1:27-31).

If you derail this happy and beautiful family, happiness will be reduced to unhappiness and joy to pain.

David killed Goliath and was a warrior in hundreds of battles, but he slept with Bathsheba, Uriah's wife, and killed Uriah. Look at David, who loved women so much.

“While looking for a beautiful virgin in the four corners of Israel, he obtained Abishag, a Shunammite woman, and brought him to the king, and she was very beautiful, and she served and served the king, but the king did not sleep with him” (1 Kings 1:3-4).

Samson was also identified as a Nazarite from birth, but fell in love with a Philistine woman, Delilah, whom he met at Timnah.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the lustful and filthy sin is everywhere and everywhere.

“I have a few things against you, there are those who keep the teachings of Balaam, who taught Balak to set a snare before Israel, to eat things sacrificed to idols, and to commit fornication... I will come to you soon, and I will fight them with the sword of my mouth” (Revelation 2:14, 16).

 

1. Fornication in the Corinthian church

“I have heard that even among you there is fornication, such fornication does not exist among the Gentiles, who say that he has taken his father’s wife” (verse 1).

The word 'drunk' here means either having committed fornication with a stepmother or taking her as a wife. Humans are different from beasts because they have ethics. But if a son violates his father's wife, whether it is the woman who took the mother who bore him or the woman who lived with her father, it is equally sinful whether her father is alive or dead.

Reuben was the eldest of Jacob's sons. However, Reuben could not receive the firstborn blessing because he had violated his father's concubine.

“Reuben, you are my firstborn, and you are my strength and the beginning of my strength. Your majesty is rudimentary and your power is excellent, but you are like boiling water, and you will not excel; for you went up to your father’s bed and became defiled. Genesis 49:3-4).

Even worse, the sinful man had no repentance. When the Lord said to the adulterous woman caught on the spot, “He who is without sin among you, let him first cast a stone at him” (John 8:3), but no one dared to do so and they were scattered.

Who is the righteous? She said, “There is none righteous, not even you” (Romans 3:10). But those who are forgiven by the blood of Christ are the righteous. David immediately repented when he rebuked him by saying, “You are that man” through the prophet Nathan, but Saul did not repent.

“Thus says the supreme and impermanent, who dwells forever, and whose name is Holy: I dwell in the high and holy place, and also with the contrite and humble in heart, to revive the spirit of the humble and to revive the heart of the contrite.” Isaiah 57:15).

 

2. The need for discipline

Discipline is what you do to defend the truth. What if a person gets sick? Mild symptoms can be treated simply. But cancer requires surgery. So is the church. Of course, if there is no sin, it is something to be thankful for, but if there is no repentance after committing a sin, that is a serious problem.

“Nevertheless, did you rather become proud, and why did you not appreciate it, and did not turn away the one who had done it from among you” (verse 2).

When pride enters, the opportunity to repent is lost. As a result, they lose the power of godliness and become secular. Therefore, Paul is punishing severely for the sin that pollutes the church.

“Surely, though I am absent in body, but present in spirit, I have already judged those who have done these things, as I am there. that the soul may be saved, and that the spirit may be saved on the day of the Lord Jesus” (3-5).

“Given over to Satan” here is a severe punishment equivalent to expulsion and expulsion, and as in the case of Ananias and Sapphira, this authority was granted to the apostles. Also, you should avoid misinterpreting the saying, ‘In order that the body may be destroyed and the spirit may be saved on the day of the Lord Jesus,’ which means that you will be saved even if you do not repent.

“For the Lord disciplines those he loves, and chastises every son whom he receives” (Hebrews 12:6). This does not mean that he disciplines without cause because he loves, but rather that he punishes when a loved one commits a sin.

“All discipline is acceptable, but if you do not have it, you are an illegitimate son and not a true son” (Hebrews 12:8).

Worse than discipline is abandonment.

“Therefore God gave them over to uncleanness according to the lusts of their hearts, to dishonor their bodies to one another, because they exchanged the truth of God for a lie, and worshiped and served the creature more than the Creator” (Romans 1:24-25).

3. Unleavened Bread

“It is not right in your boasting, do you not know that a little leaven is spread over the whole lump, and you are unleavened, and cast away the old leaven that it may become a new lump, because our Passover lamb, Christ, was sacrificed. Let us keep the feast, not with old leaven, nor with leaven that is wicked and wicked, but with unleavened bread of purity and truth” (6-8).

Yeast enters in a small amount and has a swelling factor. There are two things to think about about the leaven mentioned here.

1) Old leaven

This is the wrong teaching of the Jews.

Note that it is not that we criticize the law because it is wrong, but that legalism that boasts of the law is wrong. We must not forget that although the law is the truth, legalism is contrary to the truth. This does not mean that there was no one to be saved in the Old TestAment times. If they have faith that salvation can only be obtained through the atonement of Christ, they are saved through faith in the coming Messiah. Therefore, the prophet Habakkuk said, “The righteous shall live by his faith” (Habakkuk 2:4).

Remember! Legalism without the atonement of Christ can never be the truth of salvation.

2) Wicked and vicious leaven

This refers to the phenomenon of secularization. The phenomenon of secularization is permeating at all times and everywhere. They enter the nest of love and break the family, and they enter the sacred church and break the reconciliation. Wicked and venomous leaven, this is the devil's snare to ruin the soul. Pray that you will not fall into the temptations of the devil. Only with the unleavened bread of sincerity and truth. I hope that the saints will become one in the truth.

“Our Passover lamb, Christ, has been sacrificed. Therefore let us keep the feast, not with old leaven, not with leaven that is wicked and wicked, but with unleavened bread of purity and truth.”

 

4. Those with whom to associate and whom to refrain from

“In what I wrote to you, I said, ‘You shall not associate with fornicators. Nira” (9-10).

Humans are social animals and live in relationships. So, in any business, you shouldn't ask your customers, 'Are you a sinner or not?'

Therefore, no matter what kind of business you do, you cannot separate the sinner from the righteous. Although it is said that North Korea and Cuba are the only countries that have not entered the world, Coca-Cola of the United States has become a global product enough to enter North Korea. The same goes for automobiles and electronic products made in Japan.

Korea also has the best products in the world and is exported to many countries. In this way, while we live in the flesh, we have no choice but to live with those of the world. But politicians have comrades and enemies, and they fight each other for power. The question of faith is even more important.

“Now I write to you, “Do not associate with anyone called a brother who is fornication, greedy, idolatry, slander, drunkenness, or extortion, and you shall not eat with such a person” (verse 11).

With dogs and pigs, pearls lose their luster. It cannot be done outside of Christ, but in Christ, you must know how to distinguish between those with whom you will take care and those with whom you will associate.

“For the outsiders are judged by God, but cast this wicked man out of you” (verse 13).

“Be holy, because I am holy.” Indeed, as saints who have been sanctified by the blood of Christ, we pray that we will not lose the fragrance and light of Christ and reach eternal glory. Amen

 

 

교회 안의 분쟁

고전 6:1-11

 

World cup 경기에서 우리 선수들이 기대 이상으로 선전하여 십육 강에서 조 1위로 올라가고 보니 모두가 흥분의 도가니에 빠져들었습니다. 여기서 머물지 말고 이제 이탈리아도 이기고 팔 강과 사 강을 거쳐 개최국 일본과 결승전에 올라가서 최후 승리는 우리가 했으면 좋겠습니다. 민족의 자긍심을 한껏 살려준 히딩크 감독과 우리 선수들에게 주님의 은총을 기원합니다.

약속의 땅 가나안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있어서 영원한 고향이요, 또 천국을 상징하는 그림자입니다. 이로 말미암아 그 땅을 ‘젖과 꿀이 흐르는 복지’라고 합니다. 그러나 그 땅을 정복한 여호수아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참된 안식을 주지 못했습니다. 또 요단강을 건넌 다음 날부터 하늘에서 내리던 만나도 내리지 않았습니다. 이제부터 땀 흘려 수고하고 일해서 살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뿐만 아니라 아이성 싸움에서는 많은 사람이 희생되는 참패의 쓰라림을 맛보기도 하였습니다. 그럴지라도 가나안 땅에 대한 하나님의 언약은 변함이 없는 것입니다.

문제는 어떠한 믿음을 가졌느냐에 있습니다. 오늘 그리스도의 대속으로 땅 위에 세워진 교회도 마찬가지입니다. 교회는 진리의 기둥과 터 위에 세워진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구원의 방주요 생수의 원천입니다. 그러나 지상교회는 마귀의 도전을 피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마음의 허리띠를 동이고 하나님의 전신 갑주로 무장하여 승리해야 합니다.

 

1. 성도간의 분쟁

교회 안에서의 발생하는 분쟁은 두 가지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1) 마귀의 시험입니다.

마귀는 항상 화목을 깨뜨립니다. 마귀가 사울에게 들어가자 사울이 번민하여 충신 다윗을 죽이려 하였던 것같이 우리에게 들어오면 마음에 평화가 사라지고 번민과 고통에 빠지게 됩니다. 또 가정이나 교회에 들어오면 불화가 일어납니다. 마귀는 저주받은 영이기 때문에 서로 물고 먹다가 멸망하도록 조장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마귀의 올무에 빠져들지 않도록 주의하고 기도해야 합니다.

2) 육신의 생각에 치우침으로 인해서입니다.

육신의 생각은 다스려야 합니다. 진리는 육신의 생각에 있지 않고 영에 있는 것입니다.

“육신을 따르는 자는 육신의 일을, 영을 따르는 자는 영의 일을 생각하나니 육신의 생각은 사망이요 영의 생각은 생명과 평안이니라 육신의 생각은 하나님과 원수가 되나니 이는 하나님의 법에 굴복하지 아니할 뿐 아니라 할 수도 없음이라”(롬8:5-7).

고린도 교회의 문제는 전적으로 마귀의 역사라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교회 안에서 화목이 깨어질 때 마귀가 기뻐한다는 사실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시험에 빠져들지 않도록 기도해야 합니다.

“화평케 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받을 것임이요”(마5:9).

 

2. 세상 법과 하나님의 법

간혹 교회나 노회, 또는 총회에서 발생하는 문제가 세상 법정으로 나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극히 불행한 일입니다. 어느 쪽이 승소하든지 결과는 하나님의 영광을 잃게 될 것입니다.

“너희 중에 누가 다른 이로 더불어 일이 있는데 구태여 불의한 자들 앞에서 송사하고 성도 앞에서 하지 아니하느냐”(1절).

어떤 사회나 국가든지 국민의 안정된 생활과 질서를 위해서는 지켜야 할 법이 있습니다. 교회도 마찬가지입니다. 기억할 것은 성도들이 하나님의 법을 지켜야 함과 같이 세상 법도 지켜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루는 시험하는 자들이 주님께 찾아와서 가이사에게 세금 바치는 여부를 물었을 때 주님께서 하신 말씀입니다.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마12:17).

국세는 국민의 의무요, 성물은 성도들의 의무입니다. 세상 법은 사람이 만들었을지라도 하나님의 법은 하나님께서 만드신 것입니다. 그러므로 사람에 의해 제정된 법은 변경할 수 있으나 하나님의 법은 영원불변의 진리입니다.

충신 다니엘을 미워하던 간신들이 그를 죽이기 위해 삼십일 동안 왕 외에 다른 신에게 기도하는 자는 사자 굴에 던져 국가의 통치 기강을 세워야 한다는 말에 왕은 어인을 찍었습니다.

그것을 아랑곳 하지 않고 하루에 세 번씩 기도하던 다니엘을 체포하여 “왕이여 메대와 바사의 법은 변개 할 수 없습니다.”(단6:15) 하고 법대로 시행하기를 요구하므로 다리오는 왕으로서도 다니엘을 보호하지 못하고 내어주었던 것입니다. 그런데 그 법이 어떻게 되었습니까? 하루 사이에 폐기되고 말았던 것입니다. 그러나 진리는 어제나 오늘 또 영원불변함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3. 성도의 권세

“성도가 세상을 판단할 것을 너희가 알지 못하느냐 세상도 너희에게 판단을 받겠거든 지극히 작은 일 판단하기를 감당치 못하겠느냐”(2절).

성도에게는 이처럼 특권이 있는데 교회 안에서 발생한 문제를 세상 법에 의뢰한다는 것은 진리를 세속의 심판대에 올려놓는 결과가 되는 것입니다. 물론 믿는다고 하여 모두가 그리스도의 온전함과 같이 온전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교회 안에서도 시기하고 질투하고 또 사소한 문제로 다투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그런 문제를 교회의 치리를 무시하고 세상 사람에게 맡길 수 없지요. 인간의 법은 진리의 기준이 될 수 없는 것입니다. 성도들에게 주어진 권세를 보십시오.

“이기는 자와 끝까지 내 일을 지키는 그에게 만국을 다스리는 권세를 주리니 그가 철장을 가지고 그들을 다스려 질그릇 깨뜨리는 것과 같이 하리라 나도 내 아버지께 받은 것이 그러하니라”(계2:26-27).

이 권세는 천사에게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천사는 부리는 영으로서 구원받을 후사 곧 하나님의 자녀 된 성도를 섬기는 위치에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천사를 판단할 것을 너희가 알지 못하느냐 그러하거든 하물며 세상일이랴”(3절).

하나님의 영광을 잃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내가 너희를 부끄럽게 하려 하여 이 말을 하노니 너희 가운데 그 형제간 일을 판단할 만한 지혜 있는 자가 이같이 하나도 없느냐 형제가 형제로 더불어 송사할 뿐더러 믿지 아니하는 자들 앞에서 하느냐 너희가 피차 송사함으로 너희 가운데 이미 완연한 허물이 있나니 차라리 불의를 당하는 것이 낫지 아니하며 차라리 속는 것이 낫지 아니하냐”(5-7).

 

4. 하늘나라를 유업으로 받지 못할 자

“불의한 자가 하나님의 나라를 유업으로 받지 못할 줄을 알지 못하느냐 미혹을 받지 말라”(9절).

소망의 눈이 흐려지지 않도록 기도해야 합니다. 천국이 그처럼 영광스러워도 홍포 입은 부자가 들어갈 수 없었습니다. 하나님의 나라를 유업으로 받지 못할 죄인이 어떤 자들인지 보십시오.

“음란하는 자나 우상 숭배하는 자나 간음하는 자나 탐색하는 자나 남색하는 자나 도적이나 탐람하는 자나 술 취하는 자나 후욕하는 자나 토색하는 자들은 하나님의 나라를 유업으로 받지 못하리라”(9-10).

한 마디로 불의한 죄인들은 천국에 들어갈 수 없다는 말씀입니다. 이유는 하나님의 나라는 불의가 용납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만일 천국에 죄악이 용납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천국에도 죄수를 수감 할 교도소가 있어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천국은 죄인이 없기에 영광과 존귀만이 영원하고 또 영원함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두려워하는 자들과 믿지 아니하는 자들과 흉악한 자들과 살인자들과 행음자들과 술객들과 우상숭배자들과 모든 거짓말하는 자들은 불과 유황으로 타는 못에 참예하리니 이것이 둘째 사망이라”(계21:8).

“개들과 술객들과 행음자들과 살인자들과 우상숭배자들과 및 거짓말을 좋아하며 지어내는 자마다 성 밖에 있으리라”(계22:15).

여기에 나열된 죄악에 대해 더 이상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 줄 압니다. 분명한 것은 ‘불의한 자가 영생을 유업으로 받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5. 용서받은 죄인

용서받은 죄인은 영생을 유업으로 받을 복 받은 자들입니다. 성도들은 용서받은 죄인입니다.

“누구든지 형제가 사망에 이르지 아니하는 죄 범하는 것을 보거든 구하라 그리하면 사망에 이르지 아니하는 범죄자들을 위하여 그에게 생명을 주시리라 사망에 이르는 죄가 있으니 이에 관하여 나는 구하라 하지 않노라 모든 불의가 죄로되 사망에 이르지 아니하는 죄도 있도다”(요1서5:16-17).

우리는 본래 이방 죄인으로 하나님도 그리스도도 성령도 알지 못해 멸망 받아 마땅한 죄인들이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사유의 은총을 입어 천국 시민이 되었습니다.

“너희 중에 이와 같은 자들이 있더니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과 우리 하나님의 성령 안에서 씻음과 거룩함과 의롭다 하심을 얻었느니라”(11절).

좋은 나무에서 좋은 열매가 맺어진다면 우리는 성령으로 거듭나서 하나님의 자녀답게 선한 일에 부자 되어 천국 곳간을 채우는 믿음의 성도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Conflict in the Church

1 Corinthians 6:1-11

 

At the World Cup, our players performed better than expected and moved up to Group 1 in the Round of Sixteen, and everyone was in awe. Instead of staying here, I hope we can win the final victory by winning Italy as well, going through the Eight and Four Rivers to the final against the host nation, Japan. We pray for the Lord's grace to coach Hiddink and our players, who made the most of the pride of the nation.

The Promised Land of Canaan is the eternal hometown of the Israelites and a shadow that symbolizes the kingdom of heaven. For this reason, the land is called 'Welfare flowing with milk and honey'. However, Joshua, who conquered the land, did not give the Israelites true rest. Also, from the day after crossing the Jordan River, no manna fell from heaven. This is because from now on, you will have to work hard and sweat to live. Not only that, but I also tasted the bitterness of a devastating defeat in which many people were sacrificed in the battle for Ai. Even so, God's covenant with the land of Canaan has not changed.

The question is what kind of beliefs you have. The same is true of the church that was established on the earth as a substitute for Christ today. As the body of Christ built on the pillar and foundation of the truth, the church is the ark of salvation and the source of living water. However, the church on earth cannot avoid the devil's challenge. Therefore, we must win victory by fastening the belt of our hearts and armed with the full armor of God.

 

1. Disputes between saints

Disputes within the church can be thought of in two ways.

1) This is the devil's test.

The devil always breaks the reconciliation. When the devil enters Saul, Saul is troubled and tried to kill David, so when he enters us, peace in our hearts disappears and we fall into anguish and pain. Also, when they enter a home or church, discord arises. Because the devil is a cursed spirit, they bite and eat each other and encourage them to perish. Therefore, we must be careful and pray that we do not fall into the devil's snare.

2) It is because of the biased thinking of the flesh.

The mind of the flesh must be controlled. The truth is not in the mind of the flesh, but in the spirit.

“Those who follow the flesh set their minds on the things of the flesh, and those who follow the Spirit set their minds on the things of the Spirit. The mind set on the flesh is death, but the mind set on the Spirit is life and peace. Not only can we not do it, we cannot do it” (Romans 8:5-7).

It would be difficult to say that the problems of the Corinthian church were entirely the work of the devil. However, it is clear that the devil rejoices when the reconciliation in the church is broken. We must pray that we do not fall into these temptations.

“Blessed are the peacemakers, for they will be called sons of God” (Matthew 5:9).

 

2. The Law of the World and the Law of God

Occasionally, a matter that arises in a church, presbytery, or general assembly goes to the courts of the world. That's extremely unfortunate. Whichever side wins, the result will be the loss of the glory of God.

“Who of you, having an affair with another, accuses you of the unrighteous before the saints, not before the saints?” (verse 1).

In any society or country, there are laws that must be observed for the stable life and order of the people. So is the church. The thing to remember is that just as the saints must keep the law of God, they must also keep the laws of the world.

These were the words of the Lord one day when tempters came to the Lord and asked whether he should pay taxes to Caesar.

“Give to Caesar the things that are Caesar’s, and to God the things that are God’s” (Matthew 12:17).

National tax is the duty of the people, and holy things are the duty of the saints. The laws of the world are made by man, but the laws of God are made by God. Therefore, the laws enacted by man can be changed, but God's laws are eternal and unchanging truth.

The king, who hated his loyal servant Daniel, said that anyone who prayed to other gods other than the king for 30 days to kill him should be thrown into the lions' den to establish the rule of the nation.

Ignoring it, he arrested Daniel, who prayed three times a day, and said, “O king, the laws of Media and Persia cannot be changed” (Daniel 6:15). I couldn't do it and gave it away. But what happened to that law? It was discarded within a day. But please believe that the truth is unchanging yesterday, today, and forever.

 

3. The power of saints

“Do you not know that the saints will judge the world? If the world will also be judged by you, are you not worthy to judge the smallest things?” (verse 2).

The saints have such privileges, but to rely on the laws of the world for problems that arise in the church is the result of putting the truth on the judgment seat of the world. Of course, not everyone who believes can be perfect like the perfection of Christ. For that reason, even within the church, they are jealous, jealous, and even quarrel over trivial matters. However, we cannot ignore the church's discipline and entrust such matters to the world. Human law cannot be the standard of truth. Look at the authority given to the saints.

“He who overcomes and keeps my works to the end, I will give authority over all nations, and he will rule them with a rod of iron, as if they break earthen vessels, as I have received from my Father” (Revelation 2:26-27).

This power can also be exercised on angels. This is because angels are ministering spirits and are in a position to serve the heirs of salvation, the saints who are children of God.

“Do you not know that we shall judge angels?

Be careful not to lose the glory of God.

“I am saying this to shame you, is there not one among you who is wise enough to judge the matter between brothers? There is a transgression, and is it not better to be injustice, or to be deceived?” (5-7).

 

4. Those who will not inherit the kingdom of heaven

“Do you not know that the unrighteous will not inherit the kingdom of God? Do not be deceived” (verse 9).

We must pray so that the eyes of hope are not clouded. Even though heaven was so glorious, a rich man in a scarlet robe could not enter. Look at the types of sinners who will not inherit the kingdom of God.

“Neither the sexually immoral, nor idolaters, nor adulterers, nor solicitors, nor thieves, nor greedy, nor drunkards, nor revilers, nor extortioners shall inherit the kingdom of God” (9-10).

In a word, unrighteous sinners cannot enter the kingdom of heaven. The reason is that in the kingdom of God, injustice is unacceptable. What would happen if sin was tolerated in heaven? Even in heaven there would have to be a prison to hold prisoners. However, since there are no sinners in the kingdom of heaven, please believe that only glory and honor are eternal and eternal.

“The cowardly and the unbeliever, the abominable, murderers, fornicators, sorcerers, idolaters, and all liars will have their part in the lake that burns with fire and brimstone, which is the second death” (Revelation 21:8). ).

“Dogs, and sorcerers, and fornicators, and murderers, and idolaters, and everyone who loves and makes up lies will be outside the city” (Revelation 22:15).

I don't think I need any more specific explanations for the sins listed here. It is clear that ‘the unrighteous cannot inherit eternal life.

 

5. Forgive sinners

The forgiven sinners are the blessed ones who will inherit eternal life. Saints are forgiven sinners.

“If anyone sees his brother committing a sin that does not lead to death, let him ask, and he will give him life for the transgressors that do not lead to death. Regarding this there is a sin that leads to death, I do not say, ‘Ask. But there is also a sin that does not lead to death” (1 John 5:16-17).

As Gentile sinners, we were sinners deserving of destruction because we did not know God, Christ, or the Holy Spirit. But now, through the grace of thought in Christ Jesus, we have become citizens of the kingdom of heaven.

“Some of you were like this, but you were washed, sanctified, and justified in the name of the Lord Jesus Christ and in the Spirit of our God” (verse 11).

If a good tree bears good fruit, we pray that we will be born again by the Holy Spirit, become rich in good works like children of God, and become saints of faith who fill the treasury of heaven. Amen

 

 

성령의 전

고전 6:12-20

 

작은 축구공 하나가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 세계를 흥분과 열광의 도가니에 빠져들게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월드컵(World cup) 경기를 개최한 것도 그렇지만 더욱 놀라운 것은 축구 강국들을 무너뜨리고 연일 승리를 거듭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만일 우리 선수들이 패배했다면 개최국이라는 명분만으로는 이렇게 기쁘지는 않을 것입니다. 십육 강에 들기를 그처럼 염원했는데 이제는 당당하게 사 강에 올랐습니다. 우리는 여기서 머물 것이 아니라 금주 화요일 상암 경기장에서 준결승을 거쳐 마지막 일본에서 열리는 결승전에서도 우승을 할 수 있도록 뜨거운 성원을 보내야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우리 선수들이 상상을 뛰어넘는 기량에 기적을 보는 느낌이 들었는데 이것은 곧 전국을 붉게 물들인 국민들의 응원과 하나님의 도우심이라고 생각합니다. 영적인 전쟁도 마찬가지입니다. 오늘도 성도들의 승리를 위해 구름 같이 둘러싼 우군들이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이러므로 우리에게 구름 같이 둘러싼 허다한 증인들이 있으니 모든 무거운 것과 얽매이기 쉬운 죄를 벗어버리고 인내로써 우리 앞에 당한 경주를 경주하며 믿음의 주요 또 온전케 하시는 이인 예수를 바라보자 저는 그 앞에 있는 즐거움을 위하여 십자가를 참으사 부끄러움을 개의치 아니하시더니 하나님 보좌 우편에 앉으셨느니라”(히12:1-2).

영적인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세 가지 비결입니다.

1) 무거운 것과 얽매이기 쉬운 죄를 벗어버려야 합니다.

그처럼 용맹을 떨치던 여호수아 군대도 성물을 훔친 아간으로 인해 아이성에서 참패했던 일이 있었습니다. 영적 전쟁에서 이기려면 먼저 근심 걱정을 내려놓고 죄악의 사슬에서 벗어야 합니다.

2) 인내해야 합니다.

세상에서 인내하지 않고 성사되는 일은 아무 것도 없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형제들아 주께서 강림하시기까지 길이 참으라 보라 농부가 땅에서 나는 귀한 열매를 바라고 길이 참아 이른 비와 늦은 비를 기다리나니 너희도 길이 참고 마음을 굳건하게 하라 주의 강림이 가까우니라”(야5:7-8).

3) 주님만 바라보아야 합니다.

베드로가 주님만 보았을 때는 물 위로 걸을 수 있었으나 성난 물결을 보고 의심했을 때는 물속에 빠져들고 말았습니다. 어떠한 역경이 있습니까? 주님을 바라보십시오. 가는 길에 장애가 있습니까? 주님께서 능력 주실 줄 믿으시기 바랍니다.

바울은 본문에서 화제를 돌려 이제 다른 문제로 들어가고 있습니다.

 

1. 자유와 건덕

“모든 것이 내게 가하나 다 유익한 것이 아니요 모든 것이 내게 가하나 내가 아무에게든지 제재를 받지 아니하리라”(12절).

인간이 다른 피조물에 비해 자랑할 것이 있다면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삶의 자유가 있다는 것입니다. 만일 피조물 중에서 인간을 다스릴 다른 피조물이 존재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그보다 더 큰 불행은 없을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인간에게 만물을 다스릴 수 있도록 지혜와 능력을 주셨습니다(창1:28).

그런데 잊어서 안 될 것은 인간에게는 만물을 다스릴 뿐만 아니라 보존해야 할 책임이 있다는 것입니다. 아프리카에 사는 코끼리를 보십시오. 그 체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온종일 먹는 것에만 매달리면서도 내일을 위해 농사를 짓지 않습니다. 다른 동물들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도 다른 피조물에게 자연 훼손의 책임을 묻지 않고 인간에게만 묻게 되는 것입니다.

이유는 만물을 다스릴 수 있는 권한을 인간에게 주셨기 때문입니다. 기억할 것은 권리와 의무는 동반된다는 것입니다.

“모든 것이 가하나 모든 것이 유익한 것은 아니요 모든 것이 가하나 모든 것이 덕을 세우는 것은 아니니 누구든지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말고 남의 유익을 구하라”(고전10:23-24).

 

2. 사람과 음식

“식물은 배를 위하고 배는 식물을 위하나 하나님이 이것저것 다 폐하시리라”(13절).

여기서 언급하고 있는 배는 위장(코일리아)을 의미합니다.

맹수들의 눈에는 초식동물이 먹이로 보이는 것입니다. 그런데 초식동물들의 눈에는 푸른 초원이 먹이로 보일 것입니다. 식물은 땅에 뿌리를 내리고 있으므로 흙에서 영양을 섭취하며 자라납니다.

그런데 동식물을 다 먹을 수 있는 사람에게는 모두가 먹는 것으로 보이지요. 물론 여기는 나라마다 내려오는 음식 문화에 차이가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연령에 따라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그처럼 좋아하던 음식도 먹을 수 없는 날이 오는 것은, 하나님이 이것저것을 다 폐하시리라 하셨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물질을 위해서 산다는 것은 허무로 끝나는 것입니다.

얼마 전에 새벽 예배를 마치고 집에 있는데 어떤 분이 찾아왔습니다. 대단히 노기를 띈 목소리로 자기 아내가 교회에 헌금한 것을 찾으러 왔다고 했습니다. 연유는 남편 대우를 해주지 않고 교회만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러면 한 달에 생활비를 얼마나 드리느냐고 물었더니 복덕방에 나갈 때는 생활비를 주었지만 지금은 나이 많아 나가지 못해서 주는 돈이 없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무슨 돈을 교회에 그렇게 많이 바쳤겠느냐고 하면서 정 그렇게 의심이 간다면 교회를 함께 나와 보십시오 그러면 아실 것입니다. 했더니 나는 교회에 안나옵니다. 옛날부터 교회하고는 거리가 먼 사람입니다. 하면서 이제 내가 사는 집을 팔아 그 돈으로 요양원에 들어가 편히 살리라고 했습니다.

여러분! 교회를 나오지 않는 가족일지라도 측은히 여기시고 기도하십시오. 그리고 서로를 이해하는 마음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또 향락에 빠져드는 것이 죄가 됩니다.

“너희 몸이 그리스도의 지체인 줄을 알지 못하느냐 내가 그리스도의 지체를 가지고 창기의 지체를 만들겠느냐 결코 그럴 수 없느니라 ”(15절).

우리는 성스러운 그리스도의 지체로 성령의 열매 맺는 복된 성도가 되시기를 소원합니다.

 

3. 성령의 전

“너희 몸은 너희가 하나님께로부터 받은 바 너희 가운데 계신 성령의 전인 줄을 알지 못하느냐 너희는 너희의 것이 아니라 값으로 산 것이 되었으니 그런즉 너희 몸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라”(19-20).

영원히 멸망 받아 마땅한 죄인을 하나님의 사랑 받는 자녀가 되게 해주신 놀라운 은혜를 감사드리시기 바랍니다. 이제는 내 몸이 내 것이 아닌 그리스도의 보혈로 대가를 지불한 주님의 소유임을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시장에서 물건을 사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그 물건이 내게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 가장 비싼 대가를 지불하고 나를 사신 이유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는 마땅히 주님을 영화롭게 해야 합니다.

내게 건강이 있습니까? 주님을 기쁘게 섬기십시오.

내게 지혜가 있습니까? 지혜를 주신 주님을 기쁘시게 해야 합니다.

내게 물질이 있습니까? 물질을 주신 주님을 섬기십시오.

내가 죄에 매여 종살이 할 때는 마귀의 기뻐하는 일을 했을지라도 이제는 은혜로 사는 몸, 내 마음을 성전 삼고 성령이 내 속에 거하심을 알았다면 주님을 기쁘시게 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십시오.

“성령을 소멸하지 말며 예언을 멸시하지 말고 범사에 헤아려 좋은 것을 취하고 악은 모든 모양이라도 버리라”(살전5:19-22).

성령의 은혜가 충만한 자는 하늘의 영광을 땅에서 맛보고 누리게 될 줄을 믿습니다. 이 영광 우리 모두에게 충만하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Temple of the Holy Spirit

1 Corinthians 6:12-20

 

One small soccer ball is making the whole world, not just our country, plunge into a melting pot of excitement and enthusiasm. The World Cup match was held in Korea, but what is even more surprising is that the soccer powerhouses are overthrown and they are winning every day. If our players had lost, we wouldn't be so happy just for being the host country. I so longed to go to the Sixteen River, but now I am proudly going up the Sa River. We will not stay here, but we should send our warmest support to this Tuesday at Sangam Stadium to make it through the semi-finals and then win the finals in Japan as well. Up until now, I felt like seeing a miracle in the skills of our players beyond imagination, and I think that this is the support of the people and God's help that has dyed the whole country red. The same is true of spiritual warfare. Today, we must not forget that there are allies surrounding us like a cloud for the victory of the saints.

“Therefore, since we have a multitude of witnesses surrounding us like a cloud, let us put off every burden and the sins that so easily entangle us, and with patience run the race set before us, looking to Jesus, the author and finisher of our faith, who for the joy that is set before him crosses the cross. was enduring, despising shame, and is seated at the right hand of the throne of God” (Hebrews 12:1-2).

Here are three secrets to victory in spiritual warfare.

1) We must cast off heavy things and the sins that are easily entangled in them.

Joshua's army, who was so valiant, also suffered a devastating defeat in the city of Ai because of Achan who stole the holy relics. In order to win the spiritual warfare, we must first put down our worries and be freed from the chains of sin.

2) Be patient.

We must remember that nothing in the world is accomplished without perseverance.

“Therefore, brethren, be patient until the coming of the Lord; behold, the farmer waits for the precious fruit of the earth, and is patient, waiting for the early and the latter rain. 7-8).

3) We must look only to the Lord.

When Peter saw only the Lord, he could walk on the water, but when he saw the raging waves and doubted, he fell into the water. What adversity do you have? Look to the Lord. Are there any obstacles on the way? Trust that the Lord will give you strength.

Paul has turned the topic away from the text and now enters another matter.

 

1. Freedom and Goodness

“All things are lawful for me, but not all things are beneficial; all things are lawful for me, but I will not be punished by anyone” (verse 12).

If man has anything to boast about compared to other creatures, it is that he has the freedom of life to choose for himself. What would happen if there were other creatures among the creatures that would rule humans? There can be no greater misfortune than that. God gave humans wisdom and power to rule over all things (Genesis 1:28).

However, it should not be forgotten that human beings have a responsibility to not only rule but also preserve all things. Look at the elephants that live in Africa. In order to maintain that size, they focus only on eating all day, but do not farm for tomorrow. The same goes for other animals. Even so, the responsibility for damage to nature is not held on other creatures, but only on humans.

The reason is that he gave man the authority to rule over all things. Remember, rights and obligations go hand in hand.

“All things are, but not all things are beneficial; all things are, but not all things are edifying. Let no one seek his own good, but the good of others” (1 Corinthians 10:23-24).

 

2. People and food

“Food is for the stomach, and the stomach is for food, but God will do away with this and that” (verse 13).

The ship referred to here means stomach (coilia).

In the eyes of wild beasts, herbivores are seen as prey. But to herbivores, green meadows will be their food. Plants are rooted in the ground, so they grow by getting nutrients from the soil.

But to those who can eat all animals and plants, everyone seems to eat it. Of course,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food culture that comes down from country to country. Not only that, but it also depends on age. There will come a day when you will not be able to eat the food you loved so much, because God has said that He will destroy all this and that. Therefore, living for material things ends in vain.

Not long ago, after morning worship, I was at home when someone came to visit me. He said in a very angry voice that he had come to retrieve what his wife had donated to the church. The reason is that she doesn't treat her husband and only thinks of the church. So then she asked how much she paid for her living expenses per month, and she said that she paid for living expenses when she went to Bokdeokbang, but now that she is too old to go out, she has no money to give. By the way, she said, "What money would you have given so much to the church? If you're really in doubt, come out to church and you'll know." That said, I don't go to church. He has been far from the church since ancient times. He told me to sell the house I live in and use the money to go into a nursing home and live comfortably.

everyone! Even if your family doesn't go to church, have compassion and pray. And I hope we can understand each other. It is also a sin to indulge in pleasure.

“Do you not know that your body is a member of Christ? Shall I take the members of Christ and make them members of a prostitute? No way at all” (verse 15).

As members of the holy Christ, we desire to become blessed saints who bear the fruit of the Holy Spirit.

 

3. Temple of the Holy Spirit

“Do you not know that your body is a temple of the Holy Spirit who is in you, whom you have from God? You are not yours, but you were bought with a price. Therefore glorify God with your body” (19-20).

Please give thanks for the wonderful grace that made sinners who deserve eternal destruction become the beloved children of God. Now I must not forget that my body is not mine, but belongs to the Lord, paid for with the blood of Christ. Why do you buy things in the market? Because that stuff is what I need. It is the same reason why God paid the highest price for me. We ought to glorify the Lord.

am i in good health? Serve the Lord with joy.

Do I have wisdom? We must please the Lord who gave us wisdom.

Do I have material? Serve the Lord who gave you material things.

Though I was a slave to sin, I did the works pleasing to the devil, but now I have made my body and my heart living by grace a temple, and have known that the Holy Spirit dwells in me.

“Do not quench the Spirit, and do not despise prophecy. In all respects, consider what is good and forsake all appearance of evil” (1 Thessalonians 5:19-22).

Those who are filled with the grace of the Holy Spirit believe that they will taste and enjoy the glory of heaven on earth. May this glory be filled with all of us. Amen

 

 

 

부부의 도리

고전 7:1-16

 

오늘로 월드컵(World cup) 경기는 끝나고 전국을 붉게 물들인 흥분의 불도가니도 막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국민의 기대 이상으로 실력이 향상되어 사 강에 오르게 한 히딩크 감독과 선수 전원에게 아낌없는 찬사를 보냅니다. 그러나 우리가 여기서 머물 수 없는 것은 객관적인 평가를 통해서 인정받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동안 우리 선수들에게 승리를 빼앗긴 나라에서는 제 삼국에서 다시 경기하자는 신청서가 여기저기서 들어오고 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끊임없는 도전정신입니다. 뿐만 아니라 서해에서는 군사 분계선을 넘어온 북한 군함들의 선제공격으로 네 명이 전사하고 한 명 실종에 십구 명이 부상을 입고 또 함정도 침몰된 일이 있었습니다. 이로 말미암아 햇빛정책으로 통일을 앞당기려는 우리의 꿈이 사라지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사람이 사는 동안 여자는 남자 없이 자녀를 둘 수 없고 남자는 여자 없이 행복할 수 없으므로 하나님께서는 하나님의 형상을 닮은 아담과 하와를 창조하시고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 하셨습니다.

 

1. 가정의 유래

에덴동산은 꿈의 동산이면서도 엄연한 현실로서 아담의 눈에는 모든 것이 아름답고 기이하게 보였을 것입니다. 그런데 그런 환경에서도 만족할 수 없었던 이유가 있었습니다.

1) 가정이 없었기 때문이며,

2) 행복이 무엇임을 알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 아담이 잠든 시간에 갈비뼈를 취해 만든 여자를 아담에게 보이셨을 때 반응을 보십시오.

“이는 내 뼈 중의 뼈요 살 중의 살이라 이것을 남자에게서 취하였은즉 여자라 칭하리라”(창2:23).

“제 눈에 안경”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과연 아담이 그처럼 기뻐했던 하와가 어떻게 생겼는지 궁금합니다. 물론 아담에게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으므로 기쁨이 더 컸다고 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혹자는 여자가 남자보다 강한 이유를 ‘남자의 원소는 흙인데 여자의 원소는 뼈로 만들었기 때문이라’ 합니다.

사실 남자는 근육을 자랑하지만 여자는 가냘픈 것을 무기로 삼지요. 체력을 자랑하는 남자는 여자 없이 가정을 꾸려가기 어려운데, 여자는 거뜬히 해내는 것을 보면 여자가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결혼의 조건

1) 돕는 배필을 찾아야 합니다.

서양 격언에 “결혼 전에는 두 눈을 뜨고 결혼 후에는 한 눈만 뜨라”는 말이 있습니다. 사랑은 허물을 덮어줍니다. 그런데 결혼에 대해 바르게 이해하지 못하면 돕는 배필이 아니라 바라는 배필이 되기가 쉽습니다. 미국의 역대 퍼스트 레이디 중에서 가장 호감이 가는 여성으로 엘리너 루즈벨트를 말합니다. 그녀는 항상 밝은 표정으로 주위 사람들을 즐겁게 해 주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그녀에 대해 순탄하고 결핍이 없는 가정에서 성장했으리라 추측을 하지만 그렇지 못했습니다. 열살 때 고아가 되어 감수성이 예민한 사춘기 때와 청년의 때를 외로움 가운데 보냈다고 합니다. 그런데 그 가운데서도 매사에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마음을 잃지 않았으며, 어떠한 절망적인 상황에 직면해서도 비관적인 언어를 쓰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녀는 여섯 자녀를 두었는데 그중에 하나가 죽었을 때 “아직 내가 사랑할 수 있는 아이 다섯이 있다.”고 하면서 슬픔에 빠져들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의 말년에 남편 루즈벨트가 관절염으로 ‘휠체어 인생’이 되었을 때 루즈벨트는 아내에게 “불구인 나를 아직도 사랑하오?” 하였더니 “내가 당신의 다리만 사랑했나요” 라고 했다고 합니다.

저는 결혼 초에 저의 아내에게 기대하는 바가 많았습니다. 그것은 여성이 갖출 수 있는 것은 무엇이든지 뒤지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저 자신을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었는데 과연 나는 남자이기에 남자로서 갖추어야 할 모든 능력을 갖추었는가를 생각해 보았더니 너무도 부족함이 많아 스스로 놀랐던 기억이 있었습니다.

이상적인 결혼은 완전한 사람이기에 만나는 것이 아니라 불완전한 사람이기에 만나는 것입니다. 두 손을 가락지로 끼울 때 쉽게 떨어지지 않는 것같이 남녀 관계도 마찬가지입니다. 서로들 약점을 내 장점으로 보완해 나갈 때 행복한 가정을 이룰 줄 믿습니다.

 

3. 부부의 의무

“너희의 쓴 말에 대하여는 남자가 여자를 가까이 아니함이 좋으나 음행의 연고로 남자마다 자기 아내를 두고 여자마다 자기 남편을 두라”(1-2).

바울은 독신을 주장하거나, 결혼을 죄악시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자신은 주를 위해 세상 것을 배설물 같이 포기하였으므로 거기에 결혼문제도 포함되었을 뿐입니다. 또 그는 인간이 절제하지 못하는 약점이 있다는 것도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가정을 통해 남자나 여자 모두가 상대에 대한 의무를 이행해야 한다는 것을 말씀하고 있습니다.

“남편은 그 아내에게 대한 의무를 다하고 아내도 그 남편에게 그렇게 할지라 아내가 자기 몸을 주장하지 못하고 오직 그 남편이 하며 남편도 이와 같이 자기 몸을 주장하지 못하고 오직 그 아내가 하나니”(3-4).

이렇게 부부는 한 몸인 줄 알고 서로를 인격적으로 존중하는 관계가 되어야 합니다.

“남편 된 자들아 이와 같이 지식을 따라 너희 아내와 동거하고 저는 더 연약한 그릇이요 또 생명의 은혜를 유업으로 함께 받을 자로 알아 귀히 여기라 이는 너희 기도가 막히지 아니하게 하려 함이라”(벧전3:7).

‘지식을 따라’ 라는 말씀 속에는 여러 가지가 함축되어 있음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또 “서로 분방하지 말라 다만 기도할 틈을 얻기 위하여 합의상 얼마 동안은 하되 다시 합하라 이는 너희의 절제 못함을 인하여 사탄으로 너희를 시험하지 못하게 하려 함이라”(5절).

며칠 전 제가 택시 탈 일이 있어서 차를 타고 보니 백발노인이었는데 짧은 시간이지만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이렇게 연세가 높도록 일을 하는데 힘들지 않습니까?”

“아니요 도리어 용돈을 벌게 되니 더 재미가 있습니다. 제가 놀면 누가 용돈을 주겠습니까? 자식이 있어도 자식에게 가지 않고 우리 노인네 부부만 살고 있습니다. 지금 나보다 나이가 더 많은 사람도 있는데 그분은 금년에 팔십이 세입니다.” 하면서 “저는 아직 건강합니다. 그런데 내 아내가 나와 잠자리하는 것을 거절하기에 나는 일주일에 한번씩 외도를 합니다. 그런데 돈이 많이 듭니다.” 하는데 벌써 목적지에 도착해서 내리고 말았습니다. 육신의 정욕 안목의 정욕 이생의 자랑은 마귀의 올무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내가 혼인하지 아니한 자들과 및 과부들에게 이르노니 나와 같이 그냥 지내는 것이 좋으니라 만일 절제할 수 없거든 혼인하라 정욕이 불같이 타는 것보다 혼인하는 것이 나으니라”(8-9).

 

4. 이혼 문제

이탈리아에는 법적으로 이혼이 가능한 결혼과 불가능한 결혼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어떻습니까? 하나님과 증인들 앞에서 평생을 함께 살기로 서약을 하고도 이혼율은 점점 더 높아만 가고 있습니다. 언젠가 황산성 변호사가 목사 남편에게 교회에서 결혼 주례하지 말라고 권유를 했다고 합니다. 이유는 남편이 주례한 그 사람이 몇 년이 지나면 이혼하게 해 달라고 찾아오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성경에서 말씀하고 있는 이혼의 조건이 있습니다.

1) 모세의 율법

“사람이 아내를 취하여 데려온 후 수치 되는 일이 그에게 있음을 발견하고 그를 기뻐하지 아니하거든 이혼증서를 써서 그 손에 주고 그를 자기 집에서 내어 보낼 것이요”(신24:1).

그런데 본래 율법 정신은 그것이 아닙니다.

“예수께서 가라사대 모세가 너희 마음의 완악함을 인하여 아내 내어버림을 허락하였거니와 본래는 그렇지 아니하니라”(마19:8).

2) 그리스도의 복음

“사람이 그 부모를 떠나서 아내에게 합하여 그 둘이 한 몸이 될지니라 하신 것을 읽지 못하였느냐 이러한즉 이제 둘이 아니요 한 몸이니 그러므로 하나님이 짝지어 주신 것을 사람이 나누지 못할지니라”(마19:5-6).

“또 일렀으되 누구든지 아내를 버리거든 이혼 증서를 줄 것이라 하였으나 나는 너희에게 이르노니 누구든지 음행한 연고 없이 아내를 버리면 이는 저로 간음하게 함이요 또 누구든지 버린 여자에게 장가드는 자도 간음함이니라”(마5:31-32).

3) 바울

“어떤 여자에게 믿지 아니하는 남편이 있어 아내와 함께 살기를 좋아하거든 그 남편을 버리지 말라. 믿지 아니하는 남편이 아내로 인하여 거룩하게 되고 믿지 아니하는 아내가 남편으로 인하여 거룩하게 되나니 그렇지 아니하면 너희 자녀도 깨끗지 못하니라 그러나 이제 거룩하니라 혹 믿지 아니하는 자가 갈리거든 갈리게 하라 형제나 자매나 이런 일에 구속받을 것이 없느니라 그러나 하나님은 화평 중에서 너희를 부르셨느니라”(13-15).

남녀가 결합하여 가정을 이루는 것은 하나님의 은혜요 축복입니다. 그러므로 사랑의 보금자리를 복되게 지켜야 합니다. 문제는 두 사람의 책임입니다. 다만 신앙이 용납되지 않는 극한 상황이라면 신앙을 우선으로 해야 할 것은 세상 것은 지나가는 그림자이기 때문입니다.

주님을 모신 가정이 복 받은 가정이요, 주님을 영화롭게 하는 가정이 영원한 영광에 이를 자임을 알았다면 우리는 부부의 도리를 깨뜨리지 말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가정들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부르심을 받은 그대로

고전 7:17-24

 

저의 소년 시절 이야기입니다. 그 당시 제가 살던 곳은 시골이었고 전기도 없어서 석유 등불 아래서 공부하던 시절이었습니다. 물론 라디오도 없었습니다. 중학교를 가려면 8km를 걸어야 했고, 고등학교는 배를 타고 통영까지 12km를 가야했습니다. 어려운 시절이라 마을에서 고등학교에 다니는 학생은 손에 꼽을 정도였는데 그때 저의 이웃에 고등학교 다니는 선배가 있었습니다. 그때 저는 교복을 입고 다니는 그 모습이 얼마나 보기에 좋았던지 그 집으로 자주 가서 어깨너머로 배우고 싶었지만 그럴 수도 없었기에 이런 때는 내가 여자라면 더 좋을 뻔했다는 생각까지 들었습니다.

왜냐하면 그의 여자 친구는 자유롭게 갈 수 있는데 나는 그럴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오늘에는 남자는 여자로, 여자는 남자로 성전환을 하는 일까지 있습니다.

참으로 황당한 기사를 보았는데 미국에서 발생한 일입니다. 자녀가 부모 곁을 몇 년간 떨어져 있는 동안 아버지는 어머니로, 어머니는 아버지로 변해있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아이는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를 수도 없고 어머니를 어머니라 부를 수도 없게 되어 ‘아뺨’이라 부른다고 합니다.

진정 하나님의 사랑을 깨달았다면 남자나 여자, 흑인이나 백인 모두 불만이 있을 수 없고, 또 외부적인 조건으로 후회할 이유는 없을 줄 압니다. 헬렌 켈러가 보지 못하고 듣지 못하고 말하지 못하는 것을 한탄하며 살았다면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낼 수 없었을 것입니다. 병든 자에게 은혜가 임하면 병든 것이 감사로 변할 것이요, 가난한 상태에서 은혜를 받는다면 마찬가지로 지족과 감사가 넘칠 것입니다.

“오직 주께서 각 사람에게 나눠주신 대로 하나님이 각 사람을 부르신 그대로 행하라 내가 모든 교회에서 이와 같이 명하노라 할례자로 부르심을 받은 자가 있느냐 무할례자가 되지 말며 무할례자로 부르심을 받은 자가 있느냐 할례를 받지 말라”(17-18).

할례의 문제가 오늘 우리에게는 무관하지만 초대교회 당시에는 심각한 문제가 되었습니다. 이유는 유대인들은 이방인들이 예수를 믿을지라도 모세의 율법을 따라 할례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자들이 많았기 때문입니다.

“바리새파 중에 믿는 어떤 사람들이 일어나 말하되 이방인에게 할례 주고 모세의 율법을 지키라 명하는 것이 마땅하다 하니라”(행15:5).

심지어 바울도 유대인들을 의식해서 디모데에게 할례를 행했던 것입니다.

“바울이 더베와 루스드라에도 이르매 거기 디모데라 하는 제자가 있으니 그 모친은 믿는 유대 여자요 부친은 헬라인이라 디모데는 루스드라와 이고니온에 있는 형제들에게 칭찬받는 자니 바울이 그를 데리고 떠나고자 할새 그 지경에 있는 유대인을 인하여 그를 데려다가 할례를 행하니 이는 그 사람들이 그의 부친은 헬라인인 줄 다 앎이러라”(행16:1-3).

 

1. 할례의 유래

“하나님이 또 아브라함에게 이르시되 그런즉 너는 내 언약을 지키고 네 후손도 대대로 지키라 너희 중 남자는 다 할례를 받으라 이것이 나와 너희와 너희 후손 사이에 지킬 내 언약이니라 너희는 양피를 베어라 이것이 나와 너희 사이의 언약의 표증이니라 대대로 남자는 집에서 난 자나 혹 너희 자손이 아니요 이방사람에게서 돈으로 산 자를 무론하고 난지 팔일 만에 할례를 받을 것이라 너희 집에서 난 자든지 너희 돈으로 산 자든지 할례를 받아야 하리니 이에 내 언약이 너희 살에 있어 영원한 언약이 되려니와”(창17:9-13).

여기서 유의해야 할 것은 아브라함이 의롭다 칭함을 얻은 것은 할례를 받기 전의 일이라는 것입니다.

“저가 할례의 표를 받은 것은 무할례시에 믿음으로 된 의를 인친 것이니 이는 무할례자로서 믿는 모든 자의 조상이 되어 저희로 의로 여기심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롬4:11).

또 이스마엘은 할례를 받았을지라도 이삭과 함께 유업을 나눌 수 없었으므로 아브라함에게 쫓아내라 하였습니다. 무엇을 우리에게 교훈하고 있습니까? 몸에 있는 표시가 우리를 의에 이르게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너희는 옷을 찢지 말고 마음을 찢고 너희 하나님 여호와께로 돌아올지어다”(요엘2:13) 하였습니다.

 

2. 할례의 효험

“할례자로 부르심을 받은 자가 있느냐 무할례자가 되지 말며 무할례자로 부르심을 받은 자가 있느냐 할례를 받지 말라 할례 받는 것도 아무 것도 아니요 할례 받지 아니하는 것도 아무 것도 아니로되 오직 하나님의 계명을 지킬 따름이니라”(18-19).

그러므로 디모데에게 할례를 행한 바울이, “나와 함께 있는 헬라인 디도라도 억지로 할례를 받게 아니하였으니 이는 가만히 들어온 거짓 형제 까닭이라”(갈2:3-4) 하였습니다.

“오직 이면적 유대인이 유대인이며 할례는 마음에 할지니 신령에 있고 의문에 있지 아니한 것이라 그 칭찬이 사람에게서가 아니요 다만 하나님에게서니라”(롬2:29).

이처럼 할례뿐만 아니라 오늘의 성찬과 세례, 또 우리가 올리는 예배도 하나님의 임재를 체험하지 못하면 마찬가지입니다. 모든 성례의식이 메마르고 건조한 종교행사에 그칠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마음과 뜻과 정성을 다하여 하나님을 섬겨야 합니다.

“아버지께 참으로 예배하는 자들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 때가 오나니 곧 이때라 아버지께서는 이렇게 자기에게 예배하는 자들을 찾으시느니라 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지니라”(요4:23-24).

외식하는 바리새인의 기도보다 자신이 죄인 됨을 고백하는 세리와 창기의 기도를 들으신 이유를 우리는 깨달아야 합니다. 내용이 결여된 예배는 형식에 그칠 뿐입니다. 신앙의 연조나 직분도 마찬가지입니다. 중심을 보시는 주님께 그 이름에 합당한 예배로 향기를 풍기는 성도들이 되어야 합니다. 어린양의 보혈로 정결함을 입고 사유의 은총을 맛본 자만이 영생을 유업으로 받게 됨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3. 참된 자유

“각 사람이 부르심을 받은 그 부르심 그대로 지내라 네가 종으로 있을 때에 부르심을 받았느냐 염려하지 말라 그러나 자유 할 수 있거든 차라리 사용하라”(20-21).

옛날에는 돈으로 사람을 사고파는 일이 있었는가 하면 노예의 자식으로 태어나면 날 때부터 노예의 멍에를 운명으로 생각하고 살아야 했습니다.

그러므로 예레미야는 탄식하기를 “이스라엘이 종이냐 씨종이냐 어찌하여 포로가 되었느냐”(렘2:14) 탄식했습니다.

이제 우리는 그리스도의 대속의 은혜로 자유를 얻었으므로 죄악의 멍에 아래 매여서 살아야 할 이유가 없습니다.

“너희는 값으로 사신 것이니 사람들의 종이 되지 말라 형제들아 각각 부르심을 받은 그대로 하나님과 함께 거하라”(23-24).

그런데 스스로는 자유자로 생각하면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다시 죄에 매여 종살이하는 자들이 있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죄를 범하는 자마다 죄의 종이라”(요8:34). 그러므로 옛 생활을 청산해야 합니다.

“보라 네가 나았으니 더 심한 것이 생기지 않게 다시는 죄를 범하지 말라”(요5:14).

“나도 너를 정죄하지 가서 다시는 죄를 범하지 말라”(요8:11).

돈이라는 독약에 대한 글을 인용합니다.

“어느 날 사탄이 열 개의 병을 들고 한 청년을 찾아와서 여기 아홉 개의 병에는 꿀이 있고 한 개의 병에는 독약이 들어 있는데 꿀이 들어있는 병을 찾아 마시면 엄청난 돈을 주겠다고 제안했습니다. 처음에는 이 청년이 돈이 아무리 좋다 해도 생명과는 바꿀 수 없다고 거절했습니다. 그런데 계속 유혹하는 사탄의 간청에 넘어가 ‘열병 중에 딱 한 병인데...’ 하며 떨리는 손으로 병 하나를 골라 마셨습니다. 다행히 죽지 않고 살아난 청년은 돈을 많이 받고 다시는 찾아오지 말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사탄이 이번에는 아홉 개 중 하나를 마시면 돈을 두 배로 주겠다고 제안하였고 청년은 그렇게 하여 큰돈을 손에 넣게 되었으나 그때부터 방탕하기 시작하여 급기야 알콜 중독, 마약중독으로 허물어져 가면서 계속하여 사탄을 불러대어 남은 것을 들이키기 시작했습니다. 이제는 두려움도 사라져버리고 마지막 남은 두 병을 앞에 두고 ‘돈벼락이냐, 죽음이냐’ 하며 마지막 승부를 거는 지경에까지 이르러 또 마셨는데 이미 세월은 흘러 청춘은 사라지고 노년이 되었습니다.

“아! 나는 이겼어. 끝까지 살아나고야 말았어! 이제 어서 돈을 내놔라.” 하고 승리에 도취되어 어쩔 줄 모르는 노인에게 사탄은 마지막 남은 병을 마시면서 “후후, 처음부터 독약이 든 병은 없었지. 그러나 너는 이미 돈이라는 독약에 죽어가고 있어! 너는 돈이란 종이에 얽매여 살다가 영원한 것을 잃어버렸으니 이제까지 받은 돈의 대가를 지금부터 내가 있는 곳으로 와서 고통과 함께 지불 해야 할 것이다.”라고 했다는 이야기입니다.

“돈은 충직한 하인도 될 수 있고 나쁜 폭군도 될 수 있다.”는 서양 격언이 있습니다. 돈이 말을 하기 시작하면 진리는 침묵하게 됩니다. 돈을 위해 시간을 낭비하면 시간은 돈으로 살 수 없다는 사실을 늦게야 알게 될 것입니다.

칼 매닝거는 “소유하고 있는 것보다 삶 자세가 더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오늘의 문제는 인간의 존엄성을 저버리고 무한한 가능성과 창의력을 잃어버린 데 있다고 할 것입니다. 열등의식, 죄책감, 부정적 의식구조는 내 속에 있는 숨은 보화를 영원히 매장시키고 말 것입니다. 주님의 영광을 위해 죄에 매였던 옛 생활을 청산하고 일어납시다. 주님께서 함께 하실 줄 믿습니다.

“주 안에서 부르심을 받은 자는 종이라도 주께 속한 자유자요 또 이와 같이 자유자로 있을 때에 부르심을 받은 자는 그리스도의 종이니라”(22절).

“너희가 내 말에 거하면 참으로 내 제자가 되고 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요8:31).

진정한 자유는 진리 안에서 새로운 멍에 아래 들어가는 것입니다.

“형제들아 너희가 자유를 위하여 부르심을 입었으나 그러나 그 자유로 육체의 기회를 삼지 말고 오직 사랑으로 서로 종노릇 하라”(갈5:13).

사랑이 강건하여 목숨도 불사하였던 전도자 바울 같이 우리도 주 앞에 서는 날 의의 면류관 받아쓰는 성도들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Couple's duty

1 Corinthians 7:1-16

Today, the World Cup match is over and the fire crucible of excitement that has colored the whole country red has come to an end. In the meantime, I would like to express my unstinting tribute to coach Hiddink and all the players who have improved their skills beyond the people's expectations and made them rise to the dead end. However, we cannot stay here because we must be able to be recognized through objective evaluation. In the meantime, there is a story that from countries where our players have been deprived of victory, applications to play again in a third country are coming from all over the place. What is important is the spirit of constant challenge. In addition, in the West Sea, a preemptive attack by North Korean warships that crossed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resulted in four deaths, one missing, and nineteen wounded, and the ship was sunk. I hope that our dream of accelerating unification through the sunlight policy will not disappear because of this.

As long as man lived, a woman could not have children without a man, and a man could not be happy without a woman. So God created Adam and Eve in the image of God, and saw that it was very good.

 

1. Origin of family

Although the Garden of Eden is a dream garden, it is a stark reality. In Adam's eyes, everything must have looked beautiful and strange. However, there was a reason why we were not satisfied even in such an environment.

1) Because there was no family,

2) Because they did not know what happiness was.

See the reaction when God showed Adam a woman he made by taking his ribs while he was asleep.

“This is bone of my bones and flesh of my flesh; she shall be called woman, because it is taken from man” (Genesis 2:23).

There is a saying, “Glasses in my eyes”. I wonder what Eve, in which Adam had so much joy, looked like. Of course, the joy could have been greater because Adam had no choice.

Some say that the reason why women are stronger than men is that ‘the element of man is earth, but the element of woman is made of bones’.

In fact, men boast of their muscles, but women use their slenderness as a weapon. It is difficult for a man to boast of his physical strength to start a family without a woman, but you can tell that a woman is strong when you look at what a woman can do.

 

2. Conditions of Marriage

1) You need to find a helper.

There is a western proverb that says, “Open both eyes before marriage and only one eye after marriage.” Love covers faults. However, if you do not understand marriage properly, it is easy to become the one you want, not the one you want to help. Eleanor Roosevelt is one of the most desirable first ladies of all time in America. It is said that she always entertained those around her with her bright expression. So many of her speculate about her that she may have grown up in her smooth and unassuming home, but she wasn't. She orphaned her when she was ten, she says, and she spent her sensitive puberty and youth in her loneliness. But she said that she never lost her positive and optimistic mind in everything, and that she never spoke pessimistic language in the face of any desperate situation. She had six children of hers, and when one of them died, she said, "I still have five children that I can love," she said, not grieving. In his later years, when her husband Roosevelt became a 'wheelchair life' with arthritis, Roosevelt asked her wife, "Do you still love me despite this?" And she said, “Did I only love your legs,” she said.

I had high expectations of my wife at the beginning of our marriage. It was the desire to not be left behind in anything a woman could have. Then one day, I had an opportunity to see myself, and when I thought about whether I had all the abilities that a man should have, I remember being surprised by how much I lacked it.

The ideal marriage is not to meet because you are a perfect person, but because you are an imperfect person. Just as the two hands do not come off easily when they are interlocked, so is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I believe that when we complement each other's weaknesses with our strengths, we will create a happy family.

 

3. Marital Duties

“As for your bitter words, it is good for a man not to touch a woman, but every man should have his own wife, and every woman should have a husband because of fornication” (1-2).

Paul did not insist on celibacy or view marriage as a sin. However, since he gave up the world like excrement for the sake of the Lord, there was only the matter of marriage. He was also well aware that humans have weaknesses that cannot be controlled. Therefore, he is saying that through the family, both men and women must fulfill their obligations to each other.

“A husband shall fulfill his duty to his wife, and her wife to her husband; and her wife shall not rule over her own body, but her husband, and her husband shall not so rule over her own body, but the wife one” (3-4).

In this way, the couple should know that they are one body and develop a relationship that respects each other personally.

“Husbands, in the same way, live together with your wives according to knowledge, knowing that he is a weaker vessel and as an heir with the grace of life, honor it, so that your prayers may not be hindered” (1 Peter 3:7).

Please remember that the word ‘according to knowledge’ has several implications.

Also, “Do not discriminate against one another, but by agreement for a while so that we may have time to pray, join us again, so that Satan may not tempt you because of your lack of self-control” (verse 5).

A few days ago, I had to take a taxi, so when I got in the car, I saw an old man with white hair, but we talked for a short time.

“Isn’t it difficult to work for such a high age?”

“No, on the contrary, earning pocket money is more fun. Who will give me pocket money if I play? Even if we have children, we do not go to our children, only our elderly couple are living. Some are older than me now, and he is 82 years old this year.” “I am still in good health. But my wife refuses to sleep with me, so I have an affair once a week. But it costs a lot of money.” But I have already reached my destination and got off. We must remember that the lust of the flesh, the lust of the eyes, and the pride of life are a snare of the devil.

“I say to the unmarried and to the widows, it is better for you to remain alone with me. If you cannot control yourself, marry. It is better for you to marry than to burn with lust” (8-9).

 

4. Divorce Matters

In Italy, there are legally divorced and impossible marriages. How about your country? Even after making a vow to live together for the rest of their lives before God and His Witnesses, the divorce rate is only getting higher and higher. It is said that lawyer Hwang Sung-seong once advised the pastor's husband not to officiate at the church. It was said that the reason was that the man her husband officiated came to ask for a divorce after a few years.

There are conditions for divorce as mentioned in the Bible.

1) Mosaic Law

“If a man takes his wife and brings her, and finds that there is something shameful about him, and he is not pleased with her, then he shall write a certificate of divorce, give it into his hand, and send her out of his house” (Deuteronomy 24:1).

However, that is not the original spirit of the law.

“Jesus said, Moses permitted you to divorce your wives because of the hardness of your hearts, but it was not so” (Matthew 19:8).

2) The Gospel of Christ

“Have you not read that it is said, “A man shall leave his father and mother, and be joined to his wife, and the two shall become one flesh?” So then, they are no longer two, but one flesh. ).

“Again, it has been said, If anyone divorces his wife, we will give him a certificate of divorce. But I tell you, whoever divorces his wife without the cause of fornication makes her commit adultery, and whoever marries a divorced woman commits adultery.” (Matt. 5:31-32).

3) Paul

“If a woman has an unbelieving husband and wants to live with her wife, do not forsake her husband. For the unbelieving husband is sanctified by his wife, and the unbelieving wife is sanctified by her husband, otherwise your children are unclean, but now they are holy. I am not redeemed in these things, but God has called you in peace” (13-15).

It is God's grace and blessing for men and women to unite and form a family. Therefore, we must keep the nest of love blessed. The problem is that both of them are responsible. However, in extreme situations where faith is unacceptable, it is necessary to put faith first because the world is a passing shadow.

If we know that the family that has the Lord is a blessed family and that the family that glorifies the Lord is the one who will achieve eternal glory, we pray that we will not break the marriage law and give glory to God. Amen

 

 

부르심을 받은 그대로

고전 7:17-24

 

저의 소년 시절 이야기입니다. 그 당시 제가 살던 곳은 시골이었고 전기도 없어서 석유 등불 아래서 공부하던 시절이었습니다. 물론 라디오도 없었습니다. 중학교를 가려면 8km를 걸어야 했고, 고등학교는 배를 타고 통영까지 12km를 가야했습니다. 어려운 시절이라 마을에서 고등학교에 다니는 학생은 손에 꼽을 정도였는데 그때 저의 이웃에 고등학교 다니는 선배가 있었습니다. 그때 저는 교복을 입고 다니는 그 모습이 얼마나 보기에 좋았던지 그 집으로 자주 가서 어깨너머로 배우고 싶었지만 그럴 수도 없었기에 이런 때는 내가 여자라면 더 좋을 뻔했다는 생각까지 들었습니다.

왜냐하면 그의 여자 친구는 자유롭게 갈 수 있는데 나는 그럴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오늘에는 남자는 여자로, 여자는 남자로 성전환을 하는 일까지 있습니다.

참으로 황당한 기사를 보았는데 미국에서 발생한 일입니다. 자녀가 부모 곁을 몇 년간 떨어져 있는 동안 아버지는 어머니로, 어머니는 아버지로 변해있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아이는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를 수도 없고 어머니를 어머니라 부를 수도 없게 되어 ‘아뺨’이라 부른다고 합니다.

진정 하나님의 사랑을 깨달았다면 남자나 여자, 흑인이나 백인 모두 불만이 있을 수 없고, 또 외부적인 조건으로 후회할 이유는 없을 줄 압니다. 헬렌 켈러가 보지 못하고 듣지 못하고 말하지 못하는 것을 한탄하며 살았다면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낼 수 없었을 것입니다. 병든 자에게 은혜가 임하면 병든 것이 감사로 변할 것이요, 가난한 상태에서 은혜를 받는다면 마찬가지로 지족과 감사가 넘칠 것입니다.

“오직 주께서 각 사람에게 나눠주신 대로 하나님이 각 사람을 부르신 그대로 행하라 내가 모든 교회에서 이와 같이 명하노라 할례자로 부르심을 받은 자가 있느냐 무할례자가 되지 말며 무할례자로 부르심을 받은 자가 있느냐 할례를 받지 말라”(17-18).

할례의 문제가 오늘 우리에게는 무관하지만 초대교회 당시에는 심각한 문제가 되었습니다. 이유는 유대인들은 이방인들이 예수를 믿을지라도 모세의 율법을 따라 할례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자들이 많았기 때문입니다.

“바리새파 중에 믿는 어떤 사람들이 일어나 말하되 이방인에게 할례 주고 모세의 율법을 지키라 명하는 것이 마땅하다 하니라”(행15:5).

심지어 바울도 유대인들을 의식해서 디모데에게 할례를 행했던 것입니다.

“바울이 더베와 루스드라에도 이르매 거기 디모데라 하는 제자가 있으니 그 모친은 믿는 유대 여자요 부친은 헬라인이라 디모데는 루스드라와 이고니온에 있는 형제들에게 칭찬받는 자니 바울이 그를 데리고 떠나고자 할새 그 지경에 있는 유대인을 인하여 그를 데려다가 할례를 행하니 이는 그 사람들이 그의 부친은 헬라인인 줄 다 앎이러라”(행16:1-3).

 

1. 할례의 유래

“하나님이 또 아브라함에게 이르시되 그런즉 너는 내 언약을 지키고 네 후손도 대대로 지키라 너희 중 남자는 다 할례를 받으라 이것이 나와 너희와 너희 후손 사이에 지킬 내 언약이니라 너희는 양피를 베어라 이것이 나와 너희 사이의 언약의 표증이니라 대대로 남자는 집에서 난 자나 혹 너희 자손이 아니요 이방사람에게서 돈으로 산 자를 무론하고 난지 팔일 만에 할례를 받을 것이라 너희 집에서 난 자든지 너희 돈으로 산 자든지 할례를 받아야 하리니 이에 내 언약이 너희 살에 있어 영원한 언약이 되려니와”(창17:9-13).

여기서 유의해야 할 것은 아브라함이 의롭다 칭함을 얻은 것은 할례를 받기 전의 일이라는 것입니다.

“저가 할례의 표를 받은 것은 무할례시에 믿음으로 된 의를 인친 것이니 이는 무할례자로서 믿는 모든 자의 조상이 되어 저희로 의로 여기심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롬4:11).

또 이스마엘은 할례를 받았을지라도 이삭과 함께 유업을 나눌 수 없었으므로 아브라함에게 쫓아내라 하였습니다. 무엇을 우리에게 교훈하고 있습니까? 몸에 있는 표시가 우리를 의에 이르게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너희는 옷을 찢지 말고 마음을 찢고 너희 하나님 여호와께로 돌아올지어다”(요엘2:13) 하였습니다.

 

2. 할례의 효험

“할례자로 부르심을 받은 자가 있느냐 무할례자가 되지 말며 무할례자로 부르심을 받은 자가 있느냐 할례를 받지 말라 할례 받는 것도 아무 것도 아니요 할례 받지 아니하는 것도 아무 것도 아니로되 오직 하나님의 계명을 지킬 따름이니라”(18-19).

그러므로 디모데에게 할례를 행한 바울이, “나와 함께 있는 헬라인 디도라도 억지로 할례를 받게 아니하였으니 이는 가만히 들어온 거짓 형제 까닭이라”(갈2:3-4) 하였습니다.

“오직 이면적 유대인이 유대인이며 할례는 마음에 할지니 신령에 있고 의문에 있지 아니한 것이라 그 칭찬이 사람에게서가 아니요 다만 하나님에게서니라”(롬2:29).

이처럼 할례뿐만 아니라 오늘의 성찬과 세례, 또 우리가 올리는 예배도 하나님의 임재를 체험하지 못하면 마찬가지입니다. 모든 성례의식이 메마르고 건조한 종교행사에 그칠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마음과 뜻과 정성을 다하여 하나님을 섬겨야 합니다.

“아버지께 참으로 예배하는 자들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 때가 오나니 곧 이때라 아버지께서는 이렇게 자기에게 예배하는 자들을 찾으시느니라 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지니라”(요4:23-24).

외식하는 바리새인의 기도보다 자신이 죄인 됨을 고백하는 세리와 창기의 기도를 들으신 이유를 우리는 깨달아야 합니다. 내용이 결여된 예배는 형식에 그칠 뿐입니다. 신앙의 연조나 직분도 마찬가지입니다. 중심을 보시는 주님께 그 이름에 합당한 예배로 향기를 풍기는 성도들이 되어야 합니다. 어린양의 보혈로 정결함을 입고 사유의 은총을 맛본 자만이 영생을 유업으로 받게 됨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3. 참된 자유

“각 사람이 부르심을 받은 그 부르심 그대로 지내라 네가 종으로 있을 때에 부르심을 받았느냐 염려하지 말라 그러나 자유 할 수 있거든 차라리 사용하라”(20-21).

옛날에는 돈으로 사람을 사고파는 일이 있었는가 하면 노예의 자식으로 태어나면 날 때부터 노예의 멍에를 운명으로 생각하고 살아야 했습니다.

그러므로 예레미야는 탄식하기를 “이스라엘이 종이냐 씨종이냐 어찌하여 포로가 되었느냐”(렘2:14) 탄식했습니다.

이제 우리는 그리스도의 대속의 은혜로 자유를 얻었으므로 죄악의 멍에 아래 매여서 살아야 할 이유가 없습니다.

“너희는 값으로 사신 것이니 사람들의 종이 되지 말라 형제들아 각각 부르심을 받은 그대로 하나님과 함께 거하라”(23-24).

그런데 스스로는 자유자로 생각하면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다시 죄에 매여 종살이하는 자들이 있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죄를 범하는 자마다 죄의 종이라”(요8:34). 그러므로 옛 생활을 청산해야 합니다.

“보라 네가 나았으니 더 심한 것이 생기지 않게 다시는 죄를 범하지 말라”(요5:14).

“나도 너를 정죄하지 가서 다시는 죄를 범하지 말라”(요8:11).

돈이라는 독약에 대한 글을 인용합니다.

“어느 날 사탄이 열 개의 병을 들고 한 청년을 찾아와서 여기 아홉 개의 병에는 꿀이 있고 한 개의 병에는 독약이 들어 있는데 꿀이 들어있는 병을 찾아 마시면 엄청난 돈을 주겠다고 제안했습니다. 처음에는 이 청년이 돈이 아무리 좋다 해도 생명과는 바꿀 수 없다고 거절했습니다. 그런데 계속 유혹하는 사탄의 간청에 넘어가 ‘열병 중에 딱 한 병인데...’ 하며 떨리는 손으로 병 하나를 골라 마셨습니다. 다행히 죽지 않고 살아난 청년은 돈을 많이 받고 다시는 찾아오지 말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사탄이 이번에는 아홉 개 중 하나를 마시면 돈을 두 배로 주겠다고 제안하였고 청년은 그렇게 하여 큰돈을 손에 넣게 되었으나 그때부터 방탕하기 시작하여 급기야 알콜 중독, 마약중독으로 허물어져 가면서 계속하여 사탄을 불러대어 남은 것을 들이키기 시작했습니다. 이제는 두려움도 사라져버리고 마지막 남은 두 병을 앞에 두고 ‘돈벼락이냐, 죽음이냐’ 하며 마지막 승부를 거는 지경에까지 이르러 또 마셨는데 이미 세월은 흘러 청춘은 사라지고 노년이 되었습니다.

“아! 나는 이겼어. 끝까지 살아나고야 말았어! 이제 어서 돈을 내놔라.” 하고 승리에 도취되어 어쩔 줄 모르는 노인에게 사탄은 마지막 남은 병을 마시면서 “후후, 처음부터 독약이 든 병은 없었지. 그러나 너는 이미 돈이라는 독약에 죽어가고 있어! 너는 돈이란 종이에 얽매여 살다가 영원한 것을 잃어버렸으니 이제까지 받은 돈의 대가를 지금부터 내가 있는 곳으로 와서 고통과 함께 지불 해야 할 것이다.”라고 했다는 이야기입니다.

“돈은 충직한 하인도 될 수 있고 나쁜 폭군도 될 수 있다.”는 서양 격언이 있습니다. 돈이 말을 하기 시작하면 진리는 침묵하게 됩니다. 돈을 위해 시간을 낭비하면 시간은 돈으로 살 수 없다는 사실을 늦게야 알게 될 것입니다.

칼 매닝거는 “소유하고 있는 것보다 삶 자세가 더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오늘의 문제는 인간의 존엄성을 저버리고 무한한 가능성과 창의력을 잃어버린 데 있다고 할 것입니다. 열등의식, 죄책감, 부정적 의식구조는 내 속에 있는 숨은 보화를 영원히 매장시키고 말 것입니다. 주님의 영광을 위해 죄에 매였던 옛 생활을 청산하고 일어납시다. 주님께서 함께 하실 줄 믿습니다.

“주 안에서 부르심을 받은 자는 종이라도 주께 속한 자유자요 또 이와 같이 자유자로 있을 때에 부르심을 받은 자는 그리스도의 종이니라”(22절).

“너희가 내 말에 거하면 참으로 내 제자가 되고 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요8:31).

진정한 자유는 진리 안에서 새로운 멍에 아래 들어가는 것입니다.

“형제들아 너희가 자유를 위하여 부르심을 입었으나 그러나 그 자유로 육체의 기회를 삼지 말고 오직 사랑으로 서로 종노릇 하라”(갈5:13).

사랑이 강건하여 목숨도 불사하였던 전도자 바울 같이 우리도 주 앞에 서는 날 의의 면류관 받아쓰는 성도들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As called

1 Corinthians 7:17-24

 

This is my boyhood story. At that time, I was living in the countryside and there was no electricity, so I was studying under an oil lamp. Of course, there was no radio. I had to walk 8km to get to middle school, and 12km to Tongyeong by boat for high school. It was a difficult time, so there were only a handful of students attending high school in the village, but there was a senior in high school in my neighborhood at that time. At that time, I wanted to go to that house often and learn over the shoulder because it looked so good wearing a school uniform, but I couldn't.

Because his girlfriend is free to go and I couldn't. Today, men even change their gender into women and women into men.

I saw a really absurd article that happened in the United States. It is said that while the children were away from their parents for several years, the father turned into a mother, and the mother turned into a father. Therefore, the child cannot call his father “father” nor can he call his mother “mother”, so he calls him ‘Acheek’.

If you truly realize God's love, you can't be dissatisfied with either men or women, black or white, and I know that there is no reason to regret it because of external conditions. Had Helen Keller lived lAmenting that she could not see, hear, or speak, she would not have been able to reveal the glory of God. When grace comes to the sick, the sick will turn into gratitude, and if they receive grace in a poor state, they will also overflow with generosity and gratitude.

“But do as God has called each one, just as the Lord has distributed to each one. As I command all the churches, is there anyone called to be circumcised? Let not be uncircumcised. (17-18).

Although the issue of circumcision is irrelevant to us today, it became a serious problem in the early church. The reason is that there were many Jews who insisted that Gentiles believe in Jesus, but must be circumcised according to the Mosaic Law.

“Some of the Pharisees who believed rose up and said, “It is proper to circumcise the Gentiles and command them to keep the law of Moses” (Acts 15:5).

Even Paul circumcised Timothy, conscious of the Jews.

“When Paul came to Derbe and Lystra, there was also a disciple named Timothy, whose mother was a believing Jewish woman and her father was a Greek. Timothy, who was praised by the brethren in Lystra and Iconium, when Paul was about to take him away. He took him and circumcised him because of the Jews who were in that region, because they all knew that his father was Greek” (Acts 16:1-3).

 

1. Origin of circumcision

“And God said to Abraham, “Therefore, keep my covenant, and keep your descendant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Every male among you shall be circumcised. This is my covenant that you will keep between me and you and your descendant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 male shall be circumcised on the eighth day, regardless of whether he was born in the house or bought with money from a foreigner who is not your descendant. and the covenant will be an everlasting covenant in your flesh” (Genesis 17:9-13).

It should be noted here that Abraham was justified before being circumcised.

“He received the mark of the circumcision, which at the time of his uncircumcision sealed the righteousness of faith, so that he became the father of all who believe as the uncircumcised, that they might be credited to him for righteousness” (Romans 4:11).

Also, although Ishmael was circumcised, he could not share the inheritance with Isaac, so he told Abraham to drive him out. What are you teaching us? The mark on the body cannot make us righteous. Therefore, it is said, “Tear your heart, not your clothes, and return to the LORD your God” (Joel 2:13).

 

2. The Efficacy of Circumcision

“Is there anyone called to be circumcised, and not to be uncircumcised? Has anyone been called to be uncircumcised? Do not be circumcised. Circumcision is nothing, and uncircumcision is nothing, but as long as you keep the commandments of God.” 18-19).

Therefore, Paul, who circumcised Timothy, said, “Even Titus, a Greek who was with me, was not forced to be circumcised because of his false brother who had come in secretly” (Galatians 2:3-4).

“He is a Jew who is one inwardly, and circumcision is of the heart, in the spirit and not in the question, whose praise is not from men, but from God” (Romans 2:29).

In this way, not only circumcision, but also today's sacrAment, baptism, and worship we offer are the same if we do not experience God's presence. All sacrAments will be dry and dry religious ceremonies. Therefore, we must serve God with all our heart, mind, and sincerity.

“The hour is coming, and now is, when those who truly worship the Father will worship the Father in spirit and truth, and the Father is looking for such worshipers of Him. God is a Spirit, and those who worship Him must worship in spirit and truth” (John 4: 23-24).

We must understand why he heard the prayers of publicans and prostitutes who confessed that they were sinners rather than the prayers of hypocrites Pharisees. Worship without content is merely a form of worship. The same is true of the association or office of faith. We must become saints who give off fragrance to the Lord who sees the heart through worship worthy of His name. Please believe that only those who have been cleansed by the blood of the Lamb and have tasted the grace of thought will inherit eternal life.

 

3. True Freedom

“Let each one continue in the same way he was called. Do not worry, whether you were called while you were a slave; but if you are free, use it rather” (20-21).

In the old days, there was a case of buying and selling people with money, and if you were born as a child of a slave, you had to live with the yoke of a slave as your destiny from birth.

Therefore Jeremiah lAmented, “Israel a slave or a slave, and why was he taken into captivity” (Jeremiah 2:14).

Now that we have been set free by the atoning grace of Christ, there is no reason to live under the yoke of sin.

“You were bought with a price; do not be slaves of men, brethren, in the same way you were called, abide with God” (23-24).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here are people who think of themselves as free, but are bound by sin again without realizing it and become slaves.

“Everyone who commits sin is a slave to sin” (John 8:34). So, you have to get rid of your old life.

“Behold, you are well; sin no more, so that nothing worse happens” (John 5:14).

“Neither do I condemn you; go and sin no more” (John 8:11).

I am quoting an article about the poison of money.

“One day, Satan came to a young man with ten jars, nine jars of honey and one jar of poison. At first, this young man refused that no matter how good money was, it could not be exchanged for life. However, he succumbed to Satan's continuous temptation and drank from a bottle with trembling hands, saying, 'This is only one of the fevers...' He said fortunately that the young man who survived would get a lot of money and never come back. However, this time Satan offered to double the money if he drank one of the nine, and the young man did so and won a lot of money. I started drinking the rest. Now the fear has disappeared, and I drank it again to the point of betting on the final battle with the last two bottles in front of me, saying, ‘Is it money or death?

"ah! i won I had to survive to the end! Now, give me the money.” To the old man who was intoxicated with victory, Satan drank the last bottle and said, “Fufu, there was no poison in the beginning. But you are already dying from the poison of money! Since you lost your eternal life while being bound by the paper of money, you will have to come back to where I am now and pay the price for the money you have received along with pain.”

There is a Western proverb that “Money can be a loyal servant and a bad tyrant.” When money begins to speak, the truth becomes silent. If you waste time for money, you'll find out late that time can't be bought.

Karl Manninger once said, "Your attitude is more important than what you have." It will be said that today's problem lies in the abandonment of human dignity and the loss of limitless possibilities and creativity. Feelings of inferiority, guilt, and negative structures of consciousness will forever bury the hidden treasures within me. For the glory of the Lord, let's get up from our old life that was bound by sin. I believe the Lord will be with you.

“Those who are called in the Lord are slaves, but they are free who belong to the Lord; and in the same way, those who are called while they are free are slaves of Christ” (verse 22).

“If you abide in my word, you are truly my disciples, and you will know the truth, and the truth will set you free” (John 8:31).

True freedom is to enter under a new yoke in truth.

“Brothers, you were called to freedom; but do not use your freedom as an opportunity for the flesh, but through love serve one another” (Galatians 5:13).

I pray that we too will become saints who receive the crown of righteousness when we stand before the Lord, just like the evangelist Paul, who was so strong in love that he even risked his life. Amen

 

 

 

임박한 환난을 대비한 신앙

고전 7:25-40

 

바울은 남녀가 결혼하는 것은 잘하는 것이로되 주를 위해서라면 결혼하지 않는 것도 잘하는 것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결혼을 하면 그날부터 남편은 아내에게, 아내는 남편에게 매이게 되어 가정이라는 멍에 아래서 살아야 하므로 마음이 주님으로부터 나누이게 되지만 결혼하지 않은 자는 주님만을 위해 헌신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결혼하지 않는다고 하여 모든 사람이 주님을 위해 헌신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오직 특별한 사명이 있는 자만이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예수께서 가라사대 사람마다 이 말을 받지 못하고 오직 타고난 자라야 할지니라 어미의 태로부터 된 고자도 있고 사람이 만든 고자도 있고 천국을 위하여 스스로 된 고자도 있도다 이 말을 받을 만한 자는 받을지어다”(마19:11-12).

그러므로 ‘결혼하는 것도 잘하는 것이지만 결혼하지 않고 주님께 헌신할 수 있다면 이는 더 잘하는 것이라’ 이는 때가 임박하기 때문이라 하였습니다.

 

1. 처녀에 대한 교훈

“처녀에 대하여는 내가 주께 받은 계명이 없으되 주의 자비하심을 받아서 충성된 자가 되어 의견을 고하노니 내 생각에는 이것이 좋으니 곧 임박한 환난을 인하여 사람이 그냥 지내는 것이 좋으니라”(25-26).

사실 세상에서 꽃다운 청춘시절에 결혼이라는 것보다 더 아름다운 것은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것도 풀의 이슬같이 순식간에 지나는 것임을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장가간 자는 세상일을 염려하여 어찌하여야 아내를 기쁘게 할꼬 하여 마음이 나누이며 시집가지 않은 자와 처녀는 주의 일을 염려하여 몸과 영을 다 거룩하게 하려 하되 시집간 자는 세상일을 염려하여 어찌하여야 남편을 기쁘게 할꼬 하느니라”(33-34).

우리는 때와 시기를 바로 알고 오늘을 살아야 합니다. 노아 홍수 때에도 사람들은 시집가고 장가가고 먹고 마시며 향락을 일삼다가 순식간에 종말을 맞았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임박한 환난을 대비하는 믿음으로 주 앞에 서는 날 부끄러움 당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그날에는 아이 밴 자들과 젖 먹이는 자들에게 화가 있으리로다”(마24:19) 하셨습니다. 유다 말년 예레미야에게 명하신 말씀입니다.

“여호와의 말씀이 또 내게 임하니라 가라사대 너는 이 땅에서 아내를 취하지 말며 자녀를 두지 말지니라 이곳에서 생산한 자녀와 이 땅에서 그들을 해산한 어미와 그들을 낳은 아비에 대하여 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그들은 독한 병으로 죽고 슬퍼함을 입지 못하며 매장함을 얻지 못하여 지면의 분토와 같을 것이며 칼과 기근에 망하고 그 시체는 공중의 새와 땅 짐승의 밥이 되리라”(렘16:1-4).

저는 지난 수요일 의정부에 있는 한 노인 전문병원에 성도 한 분이 입원하고 있어서 문병 갔던 일이 있었습니다. 그 병원은 주로 치매성 노인들을 전문으로 치료하는데 병실에 들어서자 백발노인들만 병실에 있는 것을 보고 ‘늙지 말아야지’ 하는 자극을 받았습니다. 우리 늙지 맙시다. 그런데 가슴 아픈 것은 누구도 세월의 흘러감을 붙들어 놓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에게는 소망이 있습니다. 나이를 먹는 것은 겉 사람이지 속사람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낙심하지 아니하노니 겉 사람은 후패하나 우리의 속은 날로 새롭도다”(고후4:16).

“형제들아 내가 이것을 말하노니 혈과 육은 하나님 나라를 유업으로 받을 수 없고 또한 썩은 것은 썩지 아니한 것을 유업으로 받지 못하느니라”(고전15:50).

썩어질 육체에 연연하지 마십시오. 또 이 세상이나 세상에 있는 모든 것은 지나가기 마련입니다. 오직 진리만이 영원함을 알았다면 그 나라와 그 의를 위해 오늘을 살아가는 성도들이 되어야 하겠습니다.

 

2. 가정을 이룬 자들에게

“네가 아내에게 매였느냐 놓이기를 구하지 말며 아내에게서 놓였느냐 아내를 구하지 말라 그러나 장가가도 죄짓는 것이 아니요 처녀가 시집가도 죄짓는 것이 아니로되 이런 이들은 육신에 고난이 있으리니 나는 너희를 아끼노라”(27-28).

사실 남녀가 결혼하면 좋은 것이 많지요.

“아내를 얻는 자는 복을 얻고 여호와께 은총을 받는 자니라”(잠18:22). 제가 결혼하기 전에 관심을 끌었던 구절입니다. 그런데 살다 보면 어떤 것이 행복인지 분별하기 어려운 때도 있습니다.

여기서 살펴볼 세 가지 부부형태입니다.

1) 돕는 배필로 살아가는 부부

이는 두말 할 여지없이 이상형의 부부라 할 수 있습니다. 서로가 돕는 배필로 살아갈 때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게 됩니다.

“사람의 독처하는 것이 좋지 못하니 내가 그를 위하여 돕는 배필을 지으리라”(창2:18).

사실 남녀가 결혼을 하는 것은 남자는 잃어버린 갈비뼈를 찾는 것이요 여자는 본래의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2) 기대하는 부부

이런 가정은 서로들 불만을 해소하지 못하고 살아가는 부부입니다. 사실 부부이기에 바라는 것이 당연합니다. 그러나 어느 쪽에도 완벽하기를 기대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도리어 모자라는 부분을 내가 보완해 나간다면 거기서 삶의 보람과 행복을 누리게 될 줄 압니다.

“남편을 왕과 같이 받드는 여자가 왕후와 같이 살아갈 수 있다”는 말이 있습니다.

3) 체념하고 살아가는 부부

여기에 해당되는 숫자가 생각보다 많을 줄 압니다. 요즘은 남자가 바람을 피우면 여자도 맞바람 피는 세상이라 합니다. 평생을 해로하며 살기로 서약한 결혼이 죽을 때까지는 고사하고 신혼여행 길에서 돌아선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부부지간에는 너무 예민해지는 것도 건강상 해가 될 수 있습니다. 정신박약이나 정신질환자에게는 어떠한 암도 발생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행복한 가정은 서로를 이해하고 허물은 덮어 주고 사랑하며 사는 데 있는 줄 압니다.

 

3. 신앙은 모든 것을 초월합니다.

“형제들아 내가 이 말을 하노니 때가 단축하여진 고로 이후부터 아내 있는 자들은 없는 자같이 하며 우는 자들은 울지 않는 자같이 하며 기쁜 자들은 기쁘지 않은 자같이 하며 매매하는 자들은 없는 자같이 하며 세상 물건을 쓰는 자들은 다 쓰지 못하는 자같이 하라 이 세상의 형적은 지나감이니라”(29-31).

무슨 말씀일까요? 그림자 같이 사라져가는 세상 것에 치우치지 말라는 말씀이요 또 옅은 감정에 치우치지 말라는 말씀입니다.

1) 아내 있는 자들은 없는 자같이 하며

동양과 서양은 감정 표현에도 차이가 많습니다. 서양 사람들은 좋아하는 사람과 함께 하면 주변을 의식하지 않고 애정 표현을 합니다. 물론 부부 관계라면 무슨 표현인들 허물할 이유가 없겠지만, 우리는 좋아하는지 안 좋아하는지 주변을 지나치게 의식하다 보니 표현을 잘못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마음으로 사랑하는 것이 경건 생활에 도움이 될 줄 압니다.

2) 우는 자들은 울지 않는 자같이 하며

울어야 할 일이 있으면 우는 것이 정신적으로 건강에 좋은 것입니다. 그러나 아무리 울어야 할 일일지라도 절망적인 슬픔에 빠져들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사실 울어야 할 일이 있을 때 한나와 같이 기도하면 은혜받을 계기가 될 줄 믿습니다.

3) 기쁜 자들은 기쁘지 않는 자같이 하며

“평안을 너희에게 끼치노니 곧 나의 평안을 너희에게 주노라 내가 너희에게 주는 것은 세상이 주는 것 같지 아니하니라 너희는 마음에 근심도 말고 두려워하지도 말라”(요14:27).

구원의 기쁨을 세상의 기쁨과 비교할 수 없다면 은혜 안에서 누리는 기쁨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이것을 옅은 감정으로는 다 표현할 수 없을 줄 압니다.

4) 매매하는 자들은 없는 자같이 하며

자기 자랑을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부자들은 가난한 자를 멸시합니다.

5) 세상 물건을 쓰는 자들은 다 쓰지 못하는 자같이 하라

이유는 세상의 행적이 속히 지나가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 주신 것으로 나를 위해 사치하고 교만해진다면 이것은 죄가 됩니다. 오직 하나님께만 영광을 돌리는 성도들이 되어야 합니다. 부자들에게 경고하는 말씀입니다.

“들으라 부한 자들아 너희에게 임할 고생을 인하여 울고 통곡하라 너희 재물은 썩었고 너희 옷은 좀먹었으며 너희 금과 은은 녹이 슬었으니 이 녹이 너희에게 증거가 되며 불같이 너희 살을 먹으리라 너희가 말세에 재물을 쌓았도다”(약5:1-3).

모든 것이 이슬처럼 사라져 버린다할지라도 하늘나라에 쌓인 보화는 영원하다는 사실을 알았다면 우리는 오늘을 어떻게 살아야 할 것도 새롭게 다짐해야 할 것입니다.

신앙은 모든 것을 초월합니다. 세상 것은 그림자 같이 사라질 것입니다.

마지막 때 택함을 받은 우리들은 하나님께 받은 선물을 욕되게 하지 말고 성령의 열매 맺어 천국 곳간을 채우는 복된 성도들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Faith for the Imminent Tribulation

1 Corinthians 7:25-40

 

Paul says that it is a good thing for a man and a woman to marry, but if it is for the Lord's sake, then she is good at not marrying. The reason is that from that day on, the husband is bound to the wife and the wife to the husband, and from that day onward, they have to live under the yoke of the family, so their hearts are separated from the Lord, but those who are not married can devote themselves to the Lord alone. But not all marriages do not mean that everyone is devoted to the Lord. Only those with a special mission can do this.

“Jesus said, “Not everyone receives this saying, but it must be natural. There are eunuchs born from the womb of the mother, there are man-made eunuchs, and there are eunuchs who are self-made for the sake of the kingdom of heaven. :11-12).

Therefore, it is said, “It is good to get married, but if you can dedicate yourself to the Lord without getting married, you will do better.” This is because the time is imminent.

 

1. Lessons on the Virgin

“There is no commandment from the Lord concerning virgins, but having received the mercy of the Lord, I give my opinion, and this is good, in my opinion, that it is good for the man to remain alone because of the tribulation that is to come” (25-26).

In fact, there is nothing more beautiful in the world than marriage in a flowery youth. But we must not forget that these things pass as quickly as the dew on the grass.

“The married one is concerned about the things of the world, and their hearts are divided, and the unmarried and the virgin are concerned about the Lord, and want to sanctify both body and spirit, but the married one is concerned about the things of the world. to make my husband happy” (33-34).

We must know the right time and season and live today. Even at the time of Noah's Flood, people were married, married, eating, drinking, and enjoying themselves, but the end came to an instant.

Therefore, we must be careful not to be put to shame when we stand before the Lord in faith for the imminent tribulation.

“Woe to them that are with children and to those who are nursing in that day” (Matthew 24:19). These are the words commanded to Jeremiah in the last years of Judah.

“Again the word of the Lord came to me, saying, ‘You shall not take wives in this land, and you shall not have children; thus saith the Lord, of the children born in this land, of the mothers who gave birth to them in this land, and of the fathers who bore them. They will die of sickness, they will not be mourned, nor will they be buried; they will be like the dung of the earth; they will perish by sword and famine, and their corpses will become food for the birds of the air and for the beasts of the earth” (Jeremiah 16:1-4).

Last Wednesday, I went to a hospital specializing in the elderly in Uijeongbu because a member of the church was hospitalized. The hospital mainly specializes in treating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and when I entered the ward, I saw only white-haired elderly people in the ward, and I was stimulated to say, 'I should not grow old.' let's not get old But the heartbreaking thing is that no one can hold on to the passing of time. But we do have hope. This is because aging is the outer person, not the inner person.

“Therefore, we do not lose heart, for though our outward man perishes, but inwardly we are being renewed day by day” (2 Corinthians 4:16).

“I say this, brethren, that flesh and blood cannot inherit the kingdom of God, nor do perishables inherit incorruption” (1 Corinthians 15:50).

Don't dwell on rotting flesh. And this world and everything in it will pass. If we knew that only the truth is eternal, we should become the saints who live today for the sake of the kingdom and its righteousness.

 

2. To those who have established a family

“Are you bound by your wife, and do not seek release, or are you from her? Do not seek a wife. But marriage does not sin, nor does a virgin marry, but these will suffer in the flesh, but I spare you.” 27-28).

In fact, there are many good things when a man and a woman get married.

“He who finds a wife finds her blessing and finds favor with the Lord” (Proverbs 18:22). This is a phrase that caught my attention before I got married. However, there are times in life when it is difficult to discern what is happiness.

There are three types of couples to consider here.

1) A couple living as a helping partner

This is undoubtedly the ideal couple. When we live as partners who help each other, we achieve beautiful harmony.

“It is not good for a man to be alone; I will make a helper for him” (Genesis 2:18).

In fact, when a man and a woman get married, the man finds her lost rib and the woman returns to her hometown.

2) Expectant couple

This kind of family is a couple living without resolving their dissatisfaction with each other. In fact, as a couple, it is natural to wish for it. But you shouldn't expect it to be perfect either way. On the contrary, if I make up for the shortcomings, I know that I will enjoy the reward and happiness of life there.

There is a saying that “a woman who treats her husband like a king can live like her queen”.

3) A couple living in resignation

I know there are more numbers than you think. These days, it is said that if a man cheats on him, the woman also cheats on him. There are even stories of people turning away from their honeymoon, not to mention the marriage they pledged to live their whole life in harm, until they die. Being overly sensitive in a couple can also be detrimental to your health. Please remember that no cancer can develop in people who are mentally ill or mentally ill. I know that a happy family consists in understanding each other, covering up shortcomings, and living with love.

 

3. Faith transcends all things.

“I say these things, brethren, because the time is shortened, and from then on, those who have wives do as those who do not, and those who weep as those who do not weep, those who rejoice as those who are unhappy, those who buy and sell as those who do not, and those who use the things of the world. Let them all be like those who cannot use it, for the traces of this world are passing away” (29-31).

What do you mean? It is telling us not to lean on the things of the world that are disappearing like a shadow, and not to lean on light emotions.

1) Those who have wives act as if they did not.

East and West are also very different in the expression of emotions. Westerners express affection without being aware of their surroundings when they are with the person they like. Of course, if it's a couple, there's no reason to let go of some expressions, but it's true that we make mistakes in our expressions because we're too conscious of our surroundings whether we like them or not. But I know that loving with the heart will help you to live a godly life.

2) Those who weep as those who do not weep

If you have something to cry about, crying is good for your mental health. But no matter how much we cry, we should not fall into despairing sorrow. In fact, I believe that praying with Hannah will give you an opportunity to receive grace when you need to cry.

3) The happy people act like the unhappy ones.

“Peace I leave with you, my peace I give to you, not as the world gives do I give to you. Do not let your hearts be troubled, and do not be afraid” (John 14:27).

If the joy of salvation cannot be compared with the joy of the world, so is the joy in grace. I know that it is impossible to express all of this with light emotions.

4) Those who buy and sell act as if they had none.

It is not to brag about yourself. The rich despise the poor.

5) Those who use the things of the world should act like those who cannot use them all.

The reason is that the deeds of the world pass quickly. If you become luxurious and proud for yourself with what God has given you, this is a sin. We must become believers who only glorify God. This is a warning to the rich.

“Listen, you rich, weep and mourn over the troubles that will come upon you. Your riches are rotten, your clothes are moth-eaten, and your gold and silver are rusted, and this rust will be a witness to you, and will eat your flesh like fire in the last days. have accumulated wealth” (James 5:1-3).

Even if everything disappears like dew, if we knew that the treasures stored in the kingdom of heaven are eternal, we should make a new resolution on how to live today.

Faith transcends everything. The world will disappear like a shadow.

We, who were chosen in the last days, do not dishonor the gifts we received from God, but we pray that they will bear the fruit of the Holy Spirit and become blessed saints who fill the treasury of heaven. Amen

 

 

 

지식과 사랑

고전 8:1-13

 

바울은 한 통의 편지에서 고린도 교회에서 발생하고 있던 여러 문제를 다루는 중에 본문에서는 우상의 제물을 먹을 수 있는지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음식 문화에 관해서는 나라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나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먹을 수 있는 음식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못한 것도 있습니다. 또 같은 나라일지라도 사람에 따라 무엇이든지 잘 먹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가려서 먹는 사람도 있습니다. 저는 무엇이든지 가리지 않고 먹을 수 있도록 복을 주신 하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사실 음식 자체는 하나님 앞에서 경건 생활에 절대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식물은 우리를 하나님 앞에 세우지 못하나니 우리가 먹지 아니하여도 부족함이 없고 먹어도 풍족함이 없으리라”(8절).

바울이 또 로마서에서 언급하는 말씀입니다.

“믿음이 연약한 자를 너희가 받되 그의 의심하는 바를 비판하지 말라 어떤 사람은 모든 것을 먹을 만한 믿음이 있고 연약한 자는 채소를 먹느니라 먹는 자는 먹지 않는 자를 업신여기지 말고 먹지 못하는 자는 먹는 자를 판단하지 말라 이는 하나님이 저를 받으셨음이니라”(롬14:1-3).

 

1. 우상의 제물

“그러므로 우상의 제물 먹는 일에 대하여는 우리가 우상은 세상에 아무 것도 아니며 또한 하나님은 한 분밖에 없는 줄 아노라”(4절).

우상의 제물에 대해서는 생각할 것이 많습니다. 오늘 우리는 먹을 것이 풍족하여 가난의 고통을 당하는 사람이 그리 많지 않지만 제가 어릴 때만 해도 쌀밥이 그리웠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그러한 추억이 있기에 오늘이 행복함을 더 많이 느낄 수 있습니다. 오늘날 젊은이들은 배고픈 줄을 모르기 때문에 풍족한 생활에 대한 감사를 모르고 살아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염려가 있습니다.

지난주 중등부와 고등부 수련회를 은혜중에 잘 마치고 돌아왔습니다. 저는 수고한 교역자들에게 “이번에 아이들에게 금식기도를 시켰는가?” 물었더니 대답이 시원찮은 것을 보면 먹을 것이 넉넉해서 그럴 필요를 느끼지 않았던 것 같았습니다. 제가 부임한 초기에만 해도 수련회를 나가면 금식을 시켰는데 그럴 때면 체격 좋은 아이들이 더 견디기 어려워하는 것도 보았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힘든 고비를 넘기고 나면 더 은혜받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우상 제물에 대해서 저는 어릴 때 기억이 많이 있습니다.

저의 큰집에는 제사를 많이 지냈는데 그때는 왜 밤중이 되어야 제사를 지냈는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그런 날이 돌아오면 아무리 잠이 와도 자지 않았습니다. 이유는 제사가 끝나고 그 음식을 먹기 위해서였습니다. 얼마나 우상을 열심히 섬겼는지 쌀을 씻어 먼저 조상 앞에 올려놓으면 고인이 왔다는 증거로 그 쌀에 손가락 표시를 해 놓는다는 이야기도 했습니다. 그런 분이 지금은 예수를 믿고 권사가 되고 아들은 목사가 되었습니다.

그때 저는 그것이 제사 음식이니 먹어도 되는지 안 되는지 따질 겨를도 없이 잘 먹었는데 배탈 나는 일도 없었습니다. 믿음으로 받으면 버릴 것이 없다고 하였습니다.

 

2. 지식과 사랑

“우상의 제물에 대하여는 우리가 다 지식이 있는 줄을 아나 지식은 교만하게 하며 사랑은 덕을 세우나니”(1절).

여기서 우리는 지식의 중요성을 먼저 생각해보아야 하겠습니다.

인간은 교육이 필요합니다. 다른 피조물은 본능대로 사는 것이 당연하므로 특별한 교육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물론 짐승도 훈련을 시키면 달라지는 것은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것은 반복된 행동으로 인해 인지된 단순한 것일 뿐 인간과 같은 고등교육은 불가능한 것입니다.

여러분! 원숭이의 지능이 뛰어나다고 해서 원숭이를 위한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를 설립한 나라를 보셨습니까? 그러나 인간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합니다. 왜냐하면 인간은 교육을 받아야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교육을 받지 않은 자연인의 상태로는 문명을 발전시킬 수 없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인간을 창조하시고 인간에게 복을 주시며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땅을 정복하라 바다의 고기와 공중의 새와 땅에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창1:28) 하신 말씀은 교육의 필요성을 포함하고 있는 것입니다.

동일한 인간이지만 어떤 사람은 우주를 개발하는데 어떤 사람은 원시인의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살아간다면 그것은 신체적인 구조가 달라서가 아니라 두뇌 계발 여하에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만물 중에 사람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모든 자원이 무궁무진하지만 사람이 그것을 개발해야 할 능력을 갖추어야 활용할 수 있듯이 진리의 지식도 마찬가지입니다.

지금 우리가 가지고 있는 이 성경이 어떤 책입니까? 하나님의 말씀입니다. 하나님께서 이 말씀으로 우주 만물을 창조하시고 우리의 생사화복을 주관하심을 알았다면 우리는 이 보화를 방치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우리는 구원의 은혜와 축복을 위해서 성경을 깊이 상고해야 할 것입니다. 가나안 땅을 앞에 두고 이스라엘 백성에게 명하신 말씀입니다.

“오늘날 내가 네게 명하는 이 말씀을 너는 마음에 새기고 네 자녀에게 부지런히 가르치며 집에 앉았을 때에든지 길에 행할 때에든지 누웠을 때에든지 일어날 때에든지 이 말씀을 강론할 것이며 너는 또 그것을 네 손목에 매어 기호를 삼으며 네 미간에 붙여 표를 삼고 또 네 집 문설주와 바깥 문에 기록할지니라”(신6:6-9).

바울이 디모데에게 당부한 말씀입니다.

“네가 네 자신과 가르침을 삼가 이 일을 계속하라” 성경의 교훈대로 네 자신이 교훈을 얻고 다른 사람을 가르치라. “이것을 행함으로 네 자신과 네게 듣는 자를 구원하리라”(딤전4:16).

미국 트루먼 전 대통령에 관한 일화입니다.

그가 대통령이 된 후 고향인 미주리주 인디펜던스에서 대통령 탄생을 기념하여 도서관을 건립하였는데 개관식에서 그를 보기 위해 수많은 사람이 몰려들었는데, 그때 한 아이가 대통령에게 질문을 했습니다.

“대통령 아저씨는 우리같이 어릴 때 반장을 했어요?”

“아니다. 나는 너희만 할 때 아주 볼품이 없었단다. 운동도 못하고 안경을 벗으면 책도 보지 못했단다.”

“그러면 어떻게 대통령이 되었어요?”

“나는 매일같이 성경을 읽었어. 그리고 내 뒤에서 밀어주시는 하나님의 힘을 믿었단다. 특히 빌립보서 4장 1절 “그러므로 나의 사랑하고 사모하는 형제들, 나의 기쁨이요 면류관인 사랑하는 자들아 이와 같이 주 안에 서라”는 말씀을 읽고 또 그대로 밀고 나갔단다.” 라는 말을 해 주었다고 합니다.

우리는 자신의 구원과 다른 사람의 구원을 위해 진리의 지식이 날로 새로워지기를 바랍니다.

그러나 주의할 것은 인간적인 교만 곧 자기 자랑입니다.

‘지식은 교만하게 하며 사랑은 덕을 세우나니’ 무슨 말씀입니까? 지식보다 사랑의 기반이 먼저 되어야 한다는 말씀입니다. 인간이 인간답지 못하면 아무리 고등교육을 받았을지라도 자랑할 것은 없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겸손해야 합니다. “만일 누구든지 무엇을 아는 줄로 생각하면 아직도 마땅히 알 것을 알지 못하는 것이요 또 누구든지 하나님을 사랑하면 이 사람은 하나님의 아시는 바 되었느니라”(2-3).

“이스라엘아 들으라 우리 하나님 여호와는 오직 하나인 여호와시니 너는 마음을 다하고 성품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라”(신6:4-5).

 

3. 믿음과 절제

“그러나 이 지식은 사람마다 가지지 못하여 어떤 이들은 지금까지 우상에 대한 습관이 있어 우상의 제물로 알고 먹는고로 그들의 양심이 약하여지고 더러워지느니라”(7절).

오래 믿었다는 성도들 중에서도 과거에 우상을 섬겼던 습성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나타나고 있는가 하면 어떤 사람은 직분이 있어도 악령을 접한 사울과 같이 신접한 자에게 물으러 다니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회개하고 새사람이 되어 영의 눈이 밝아지기를 바랍니다.

“그런즉 너희 자유함이 약한 자들에게 거치는 것이 되지 않도록 조심하라 지식 있는 네가 우상의 집에 앉아 먹는 것을 누구든지 보면 그 약한 자들의 양심이 담력을 얻어 어찌 우상의 제물을 먹게 되지 않겠느냐 그러면 네 지식으로 그 약한 자가 멸망하나니 그는 그리스도께서 위하여 죽으신 형제라 이같이 너희가 형제에게 죄를 지어 그 약한 양심을 상하게 하는 것이 곧 그리스도에게 죄를 짓는 것이니라”(9-12).

매사를 자신의 기준으로 판단하지 말고 신앙이 연약한 자의 입장에서 생각해야 합니다. 아무리 튼튼한 콘크리트일지라도 굳어지기 전에는 고양이가 지나가도 발자국을 남기게 되는 것입니다. 바울은 어떠한 장애도 극복할 수 있었으나 건덕을 위해서는 절제했습니다.

“그러므로 만일 식물이 내 형제로 실족케 하면 나는 영원히 고기를 먹지 아니하여 내 형제를 실족치 않게 하리라”(13절).

나의 자유가 믿음 약한 자에게 장애가 되지 않도록 주의합시다. 말과 행동 모두가 덕을 잃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오직 내 몸에서 그리스도의 향기만이 풍기는 성도들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Knowledge and love

1 Corinthians 8:1-13

 

While Paul is dealing with various problems that were occurring in the church in Corinth in one letter, the text mentions whether it is possible to eat things sacrificed to idols.

When it comes to food culture, there are differences from country to country. However, in any country, there are foods that can be eaten and others that are not. Also, even in the same country, there are people who like to eat whatever they want, and there are people who eat it after eating it. I thank God for blessing me so that I can eat anything. In fact, food itself does not play an absolute role in living a godly life before God.

“If we do not eat, we will not lack; if we do not eat, we will not have enough” (verse 8).

This is another word Paul mentions in Romans.

“Accept the one who is weak in the faith, but do not judge his doubts. Some have faith to eat all things, but the weak eat vegetables. Let him who eats not despise him who does not eat, and he who does not eat must not judge him who eats, for God received him” (Romans 14:1-3).

 

1. Sacrifice to idols

“Therefore, concerning the eating of things sacrificed to idols, we know that idols are nothing in the world, and that there is only one God” (verse 4).

There is much to think about when it comes to idolatry. Today, we have plenty of food, so not many people suffer from poverty, but I have vivid memories of longing for rice when I was a child. Because of such memories, I can feel more happy today. Since young people today do not know how to be hungry, there is concern that they are living without gratitude for the abundance of life.

I came back from last week's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retreats in grace. I asked the hardworking workers, “Did you make the children fast and pray this time?” When I asked a question, the answer was not so good, it seemed that there was no need for it because there was enough to eat. Even in the early days of my appointment, I was told to fast when I went to a retreat, but I also saw children with good physique find it more difficult to endure. However, after going through such a difficult hurdle, I was able to see more grace. I have many memories of my childhood about idol sacrifices.

There were a lot of ancestral rites in my big house, but I don't know why they had to hold ancestral rites at night. When those days came, no matter how much I slept, I did not sleep. The reason was to eat the food after the sacrifice. It was also said that if you wash rice and put it in front of your ancestors first, you will put a finger on the rice as proof that the deceased has come. Such a person now believes in Jesus and becomes a priest, and his son becomes a pastor.

At that time, I ate well without even deciding whether to eat it or not, as it was a ritual food, and I never had an upset stomach. There is nothing to forsake if you receive it by faith.

 

2. Knowledge and love

“We all know that we have knowledge of things sacrificed to idols, but knowledge makes us proud, but love builds up” (verse 1).

Here we must first consider the importance of knowledge.

Humans need education. It is natural for other creatures to live according to their instincts, so no special training is required. Of course, there are things that change when animals are trained. However, this is merely perceived as a result of repeated behavior, and higher education like that of humans is impossible.

everyone! Have you ever seen a country that established a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university for monkeys just because monkeys are so intelligent? But for humans, systematic education is necessary. Because human beings need education to live a human life.

Therefore, civilization cannot be developed in the state of a natural man without an education. When God created man and blessed him, he said, “Be fruitful and multiply and fill the earth and subdue it, and have dominion over the fish of the sea and over the birds of the air and over every living thing that moves on the earth” (Genesis 1:28). includes the need for education.

Even though it is the same human being, some people develop the universe, and some people live without breaking out of the state of a primitive man. Of all the things God created, all the resources that man needs to live are infinite, but just as man can use it only when he has the ability to develop it, so is the knowledge of the truth.

What kind of book is this Bible we have now? It is the word of God. If we knew that God created everything in the universe with these words and is in control of our life and death, we should not neglect this treasure. We should search the Bible deeply for the grace and blessing of salvation. These are the words commanded to the people of Israel before the land of Canaan.

“You shall take these words that I am commanding you today in your heart, and you will teach them diligently to your children, and you will preach them when you sit at home, when you walk on the road, when you lie down, and when you get up. and put it on your forehead as a mark, and write it on the doorpost of your house and on the outside door” (Deuteronomy 6:6-9).

These are the words of Paul to Timothy.

“Take heed to yourselves and to your teaching, and to continue doing this.” Learn for yourself and teach others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the Bible. “By doing these you will save yourself and those who hear you” (1 Timothy 4:16).

This is an anecdote about former President Truman of the United States.

After he became president, a library was built to commemorate his birth in his hometown of Independence, Missouri, and thousands of people flocked to see him at the opening ceremony, when a child asked the president a question.

“Did your uncle the president be the class president when we were young?”

"not. I wasn't very good looking when I was alone with you. If I couldn’t exercise and took off my glasses, I couldn’t read a book.”

“Then how did you become president?”

“I read the Bible every day. And I believed in the power of God pushing me from behind. In particular, after reading Philippians 4:1, “Therefore, my beloved and longing brethren, my joy and crown, beloved, stand in the Lord in the same way” said to have been said.

We want the knowledge of truth to be renewed day by day for our own salvation and for the salvation of others.

But be careful, human pride, that is, self-pride.

What does ‘knowledge puffs up, but love builds up’? It is said that the foundation of love rather than knowledge should come first. If human beings are not human, no matter how highly educated they may be, they will have nothing to brag about.

Therefore, we must be humble. “If anyone thinks he knows anything, he does not yet know what he ought to know; and if anyone loves God, this person is known to God” (2-3).

“Hear, O Israel, there is only one Jehovah our God; you shall love the Lord your God with all your heart, with all your soul, and with all your strength” (Deuteronomy 6:4-5).

 

3. Faith and Temperance

“But not everyone has this knowledge, and some have a habit of idols until now, knowing that they are sacrificed to idols and eating them, so that their consciences are weakened and defiled” (verse 7).

Among the believers who believed for a long time, the habit of worshiping idols in the past is manifesting themselves without their knowledge, and there are stories of some people even though they have an office, but they go to inquire of newcomers like Saul, who has been exposed to evil spirits. I hope that you will repent and become a new person and your spiritual eyes will be opened.

“Therefore, be careful that your freedom does not become a stumbling block to those who are weak. If anyone sees you who have knowledge eating in the house of an idol, how can the conscience of the weak be strengthened, so that they may eat things sacrificed to idols? The weak perish, for he is the brother for whom Christ died. In the same way, when you sin against your brother and offend his weak conscience, you are sinning against Christ” (9-12).

You should not judge everything by your own standards, but think from the point of view of those with weak faith. No matter how strong concrete is, until it hardens, it will leave footprints even if a cat passes by. Paul was able to overcome any obstacle, but he was temperate for the sake of goodness.

“Therefore, if food causes my brother to stumble, I will never eat meat, so that my brother will not stumble” (verse 13).

Let's be careful so that my freedom does not become an obstacle for those who are weak in faith. Care must be taken not to lose virtue in both words and deeds. I pray that you will become saints who only smell the fragrance of Christ in your body. Amen

 

 

사도의 권세

고전 9:1-16

 

팔 장에서 바울은 우상의 제물에 관해 언급하고 이제 본 장에서는 사도의 권리를 논하고 있습니다. 바울은 사도로서 보장된 권리를 행사할 수 있었으나 오히려 자기를 낮추어 섬기는 종으로서의 본분을 이행했습니다. 우리는 바울이 어떠한 자세로 생명과 구원 사역에 임하였는지를 상고하면서 은혜받는 시간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1. 사도의 자격

사도의 직분은 계승되지 않습니다. 다만 사도가 될 수 있는 기준은 예수님을 직접 만난 자 중에서 복음 사역을 위해 세움을 받은 자입니다. 초대 교회는 배신자 가룟 유다를 대신해서 사도를 세울 때 이 기준을 적용하여 제비를 뽑아 맛디아를 세웠던 것입니다.

“이러하므로 요한의 세례로부터 우리 가운데서 올리워 가신 날까지 주 예수께서 우리 가운데 출입하실 때에 항상 우리와 함께 다니던 사람 중에 하나를 세워 우리로 더불어 예수의 부활하심을 증거할 사람이 되게 하여야 하리라”(행1:21-22).

“내가 자유자가 아니냐 내가 사도가 아니냐 예수 우리 주를 보지 못하였느냐 주 안에서 행한 나의 일이 너희가 아니냐”(1절).

혹자는 바울이 고린도 교회에 보낸 두 번째 편지에서 “그러므로 우리가 이제부터는 아무 사람도 육체대로 알지 아니하노라 비록 우리가 그리스도도 육체대로 알았으나 이제부터는 이같이 알지 아니하노라”(고후5:16)는 말씀을 들어 그가 예수님 당시 예수님과 함께했던 것으로 보는 자들도 있으나 일반적인 지지는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견해는 다메섹 도상에서 처음 만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궁금한 것은 천국 성곽의 열두 문에 새겨진 열두 지파(계21:12)와 함께 열두 기초 석에는 열두 사도의 이름이 새겨져 있는데 거기에 바울과 맛디아 누구의 이름이 있을까 하는 것입니다(계21:14).

그러나 각기 받을 상급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것은 문제될 것이 없을 줄 압니다. 버가모 교회에 편지한 주님의 말씀입니다.

“귀 있는 자는 성령이 교회들에게 하시는 말씀을 들을지어다 이기는 그에게는 내가 감추었던 만나를 주고 또 흰 돌을 줄 터인데 그 돌 위에 새 이름을 기록한 것이 있나니 받는 자밖에는 그 이름을 알 사람이 없느니라”(계2:17).

그러므로 우리는 더 큰 영광에 이르기 위해 오늘도 충성을 다짐해야 합니다.

“다른 사람들에게는 내가 사도가 아닐지라도 너희에게는 사도니 나의 사도 됨을 주 안에서 인친 것이 너희니라”(2절).

여기서 언급하는 다른 사람은 누구일까요?

1) 교회 밖에 있는 자들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불신자들을 대할 때는 그들로 하여금 그리스도 복음으로 구원에 이르도록 도울 사명이 있을 지라도 그들이 우리를 성직자로 알아보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장례식을 집례하고 나면 처음 만나는 사람인데 ‘수고했습니다’ 하고 인사하는 분들이 있는데 그들은 대부분 예수를 믿는 사람들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2) 하나님께서 맡겨주신 양과 목자가 따로 있기 때문입니다.

저는 목사로서 이 강단에서 말씀 전하게 됨을 하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그런데 목사이기에 큰 교회 작은 교회 가리지 않고 아무 교회나 찾아가서 허락 없이 말씀을 전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이미 하나님께서 세워주신 사역자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 강단에는 아무나 세워서 말씀을 전하게 할 수도 없는 것입니다. 잘못된 음식은 한 끼만 먹어도 배탈이 나기 때문입니다.

 

2. 사도의 권세

“나를 힐문하는 자들에게 발명할 것이 이것이니”(3절).

여기서 발명이라는 말은 답변, 또는 변호라는 의미입니다. 우리가 진리를 위해 살고자 할 때 진리의 영을 알지도 또 받지도 못한 세상 사람들에게 거절당하고 핍박당하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세운 고린도 교회에서 바울의 사도 권을 두고 힐문하는 자들이 있었기에 여기에 대한 바울의 변명한 것입니다.

1) 가정을 이룰 자유

“우리가 다른 사도들과 주의 형제들과 게바와 같이 자매된 아내를 데리고 다닐 권이 없겠느냐”(5절).

개신교와 천주교 간에 많은 차이점이 있지만 성직에 관해 살펴보면 천주교에서는 신부와 수녀는 제도적으로 결혼할 수 없지만 개신교에서는 성직자들이 결혼 할수 있습니다.

기억할 것은 제도와 풍속이 아무리 귀중하다 할지라도 인간이 만든 제도는 성경을 능가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저는 성경에서 ‘성직자는 결혼하면 안된다’는 말씀을 찾지 못했습니다. 하와가 뱀의 유혹을 받을 때 동산에서 혼자 있었음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남자나 여자 할 것 없이 혼자 있을 때 마귀는 더 쉽게 접근합니다.

그러므로 바울은 “서로 분방하지 말라 다만 기도할 틈을 얻기 위하여 합의상 얼마 동안은 하되 다시 합하라 이는 너희의 절제 못함을 인하여 사탄으로 너희를 시험하지 못하게 하려 함이라”(고전7:5) 하였습니다.

2) 일을 안 할 수 있는 자유

“어찌 나와 바나바만 일하지 아니할 권이 없겠느냐”(6절).

바울은 바나바와 이 차전도 여행길에 마가의 동행 여부를 두고 심히 다투어 서로 헤어졌던 일이 있었습니다. 그 후 바울은 누구에게도 누를 끼치지 않기 위해 브리스길라와 아굴라 부부와 함께 손수 장막 만드는 일을 하면서 복음을 전했던 일도 있었습니다. 분명한 것은 바울이 먹고 마시는 것을 탐해서가 아니라 복음사역에 장애가 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였다는 것입니다.

3) 사도로서 받을 마땅한 대우

어제 신문을 보니 우리나라의 세계적인 오페라 가수 조수미양이 하루 공연하는데 십만 불(1억 2천만원) 받는 다는 기사가 있었습니다. 또 골프 선수 박세리양은 출전할 때 상표 부착의 대가로 삼십억을 받게 되었다는 기사도 보았습니다. 거스 히딩크 감독은 한편의 광고에 출연하고 받는 광고료가 엄청나다고 합니다. 그런데 바울은 세상에서뿐만 아니라 천국에서도 유명하고 존귀한 사람인데 그가 먹고 마시는 일로 허물하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이것이 곧 주님께서 당하신 박해요 고난이기에 바울은 이런 일로 좌절하지 않았습니다. 주님께서는 머리 둘 곳도 없이 죽은 영혼, 병든 자와 귀신들린 자를 고쳐주심을 보고도 요한은 금식하였는데 너희 스승은 먹기를 탐하는 자라고 비난하는 자들이 있었습니다.

우리는 주님의 이름으로 또 주님의 영광을 위해서 어떠한 시련이 닥칠지라도 극복할 수 있어야 합니다. 바울의 변명을 보십시오.

“우리가 먹고 마시는 권이 없겠느냐”(4절).

“누가 자비량하고 병정을 다니겠느냐 누가 포도를 심고 그 실과를 먹지 않겠느냐 누가 양떼를 기르고 그 양떼의 젖을 먹지 않겠느냐 내가 사람의 예대로 이것을 말하느냐 율법도 이것을 말하지 아니하느냐 모세 율법에 곡식을 밟아 떠는 소에게 망을 씌우지 말라 기록하였으니 하나님께서 어찌 소들을 위하여 염려하심이냐”(7-9).

“성전의 일을 하는 이들은 성전에서 나는 것을 먹으며 제단을 모시는 이들은 제단과 함께 나누는 것을 너희가 알지 못하느냐 이와 같이 주께서도 복음전하는 자들이 복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명하셨느니라”(13-14).

세상에는 권세가 없으면서도 있는 것처럼 자신을 과시하는 거짓된 자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권세가 있는 데도 없는 것처럼 살아갈 수 있다면 이것은 겸손의 은혜임을 믿습니다.

“우리가 너희에게 신령한 것을 뿌렸은즉 너희 육신의 것을 거두기로 과하다 하겠느냐 다른 이들도 너희에게 이런 권을 가졌거든 하물며 우리일까보냐 그러나 우리가 이 권을 쓰지 아니하고 범사에 참는 것은 그리스도의 복음에 아무 장애가 없게 하려 함이로라”(11-12)

이것이 바로 신령한 열매 곧 영혼을 구원하는 영생의 농사이기 때문입니다. 육체는 영원하지 않습니다. 모두가 잠시 있다가 지나가는 그림자일 뿐입니다. 우리 모두 믿음의 부자 되어 영생을 유업으로 받는 성도들이 되시기 바랍니다.

 

4. 주님께만 돌리는 영광

“그러나 내가 이것을 하나도 쓰지 아니하였고 또 이 말을 쓰는 것은 내게 이같이 하여 달라는 것이 아니라 내가 차라리 죽을지언정...누구든지 내 자랑하는 것을 헛된 되로 돌리지 못하게 하리라 내가 복음을 전할지라도 자랑할 것이 없음은 내가 부득불 할 일임이라 만일 복음을 전하지 아니하면 내게 화가 있을 것임이로라(15-16).

주님을 따르고 섬기는 일이 그처럼 어렵고 힘들지라도 순종하는 자에게는 하나님의 위로와 풍성한 은혜를 내려 주심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하늘로부터 임하는 이 은사는 맡은 본분과 사명에 충성하는 자에게 주시는 선물입니다. 우리 모두 내 몸에서 그리스도가 존귀하게 되도록 기도해야 합니다. 사명자가 맡긴 임무를 게을리 하면 책임이 돌아오지만 충성하면 영광에 이른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우리는 어떠한 믿음으로 주님을 섬겨야 옳은지 생각해 보아야 하겠습니다.

복음 사역을 위해 내게 보장된 권리도 포기하는 자에게 의의 면류관이 예비 되어 있음을 믿으셔야 합니다. 우리 모두 주님의 이름으로 충성을 다짐하여 의의 면류관 받아쓰는 성도들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Apostle's power

1 Corinthians 9:1-16

 

In chapter eight, Paul speaks of sacrifices to idols, and now in this chapter he discusses the rights of the apostles. Although Paul was able to exercise the rights guaranteed as an apostle, he rather humbled himself and performed his duty as a servant. We hope that this will be a time of grace as we reflect on Paul's attitude toward the work of life and salvation.

 

1. Qualifications of Apostles

The office of an apostle is not inherited. However, the criteria for becoming an apostle are those who have met Jesus directly and have been established for the gospel ministry. When the early church raised up apostles on behalf of the traitor Judas Iscariot, they applied this standard to establish Matthias by lot.

“For this reason, from the baptism of John until the day he was taken up from us, we must appoint one of those who always accompanied us when the Lord Jesus went in and out of us, so that he might be a witness with us of the resurrection of Jesus” (Acts 1). :21-22).

“Am I not free? Am I not an apostle? Have you not seen Jesus our Lord? Are you not the work I have done in the Lord?” (verse 1).

Some say in Paul's second letter to the church in Corinth, "Therefore we no longer know any man according to the flesh, although we have known Christ according to the flesh, but from now on we do not know him in this way" (2 Corinthians 5:16). For example, some see him as being with Jesus at the time of Jesus, but he does not receive general support. Most views are accepted as first encounters on the Damascus road.

What I am curious about is that the names of the twelve apostles are engraved on the twelve foundation stones along with the twelve tribes (Revelation 21:12) engraved on the twelve gates of the wall of heaven. .

However, since each person has a fixed reward, I know that this should not be a problem. These are the words of the Lord that he wrote to the church in Pergamum.

“He who has an ear, let him hear what the Spirit says to the churches. To the one who overcomes I will give the hidden manna, and I will give a white stone, with a new name written on it, which no one knows except the one who receives it. ” (Rev 2:17).

Therefore, we must pledge our allegiance today in order to achieve greater glory.

“Though I am not an apostle to others, I am an apostle to you, and you are the ones who sealed my apostleship in the Lord” (verse 2).

Who else are you referring to here?

1) You can think of them as those outside the church.

When we deal with unbelievers, it will be difficult for us to expect them to recognize us as priests, even if we have a mission to help them reach salvation through the gospel of Christ. It's the first time I meet people after holding a funeral, and there are people who say, 'You did a great job,' and I could tell that most of them were believers in Jesus.

2) This is because there are separate sheep and shepherds that God has entrusted to them.

As a pastor, I thank God for being able to preach the word in this pulpit. However, since I am a pastor, I cannot go to any church and preach the word without permission, regardless of whether it is a large or small church. Because there are already ministers that God has established. Also, it is impossible to have anyone stand on the pulpit and preach the word. This is because eating the wrong food will give you an upset stomach.

 

2. The power of the apostles

“This is what I will invent to those who accuse me” (verse 3).

The word invention here means an answer or defense. When we want to live for the truth, it is natural for us to be rejected and persecuted by the people of the world who do not know or receive the Spirit of truth. The problem, however, was that there were some who criticized Paul's apostleship in the church in Corinth, which he founded, so Paul made excuses for this.

1) Freedom to start a family

“Do we not have the right to take our wives with us, like the other apostles, the brothers of the Lord, and Cephas?” (verse 5).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Protestantism and Catholicism, but when it comes to the clergy, in Catholicism priests and nuns cannot marry institutionally, whereas in Protestantism, clergy can marry.

Remember, no matter how precious the institutions and customs are, man-made institutions cannot surpass the Bible. I couldn't find a word in the Bible that says, 'Clergy should not marry.' Remember, Eve was alone in the garden when she was tempted by the serpent. Whether male or female, when alone, the devil has an easier approach.

Therefore, Paul said, “Do not separate yourself from one another, but by agreement for a while so that you may have time to pray, join them again, so that Satan may not tempt you because of your lack of self-control” (1 Corinthians 7:5).

2) Freedom to not work

“How can I and Barnabas not have the authority to not work?” (verse 6).

Paul and Barnabas had a bitter quarrel over whether or not Mark would accompany Barnabas on this second missionary journey, and they broke up. After that, Paul shared the gospel while working with Priscilla and Aquila to make tents with his own hands so as not to harm anyone. What is clear is that it was not because Paul was greedy for eating and drinking, but so that he would not become an obstacle to the work of the gospel.

3) The treatment deserved as an apostle

I read the newspaper yesterday and there was an article that Korea's world-famous opera singer Jo Su-mi was paid 100,000 dollars (120 million won) for a day's performance. I also saw an article that golf player Se-ri Pak received 3 billion won in exchange for branding when she participated. Director Guus Hiddink is said to be paying huge amounts of money for appearing in one advertisement. However, Paul was a famous and honorable man not only in the world but also in heaven, but there were people who made mistakes in his eating and drinking.

This was the persecution and suffering that the Lord suffered, so Paul was not discouraged by this. Even after seeing the Lord healing the dead, the sick and the demon-possessed with nowhere to lay their heads, John fasted, but there were some who accused your teacher of being a glutton.

We must be able to overcome whatever trials may come in the name of the Lord and for the glory of the Lord. Look at Paul's excuse.

“Do we not have the right to eat and drink?” (verse 4).

“Who is merciful and a soldier? Who will plant grapes and not eat their fruit? Who raises sheep and does not drink their milk? For it is written, Do not muzzle the ox, why is God concerned for the ox?” (7-9).

“Do you not know that those who work in the temple eat what is grown in the temple, and those who serve the altar share it with the altar? In the same way, the Lord has commanded that those who preach the gospel live by the gospel” (13-14).

There are false people in the world who show off themselves as if they had no authority. But if you can live as if you don't have authority, I believe this is the grace of humility.

“Since we have sown spiritual things, do you say that it is too much to reap your physical things? If other people also have this authority over you, how much more are we? so that there may be no more” (11-12).

This is because this is the spiritual fruit, the agriculture of eternal life that saves the soul. The body is not eternal. All are just shadows that pass after a while. May we all become rich in faith and become believers who inherit eternal life.

 

4. Glory to God alone

“But I have not written any of these things, and I am writing this not to ask you to do this to me, but rather that I should die... so that no one will turn my boasting into vain. It is to be done, for if I do not preach the gospel, woe to me (15-16).

Even if it is difficult and difficult to follow and serve the Lord, please believe that God gives comfort and abundant grace to those who obey Him. This gift from heaven is a gift given to those who are faithful in their duties and missions. We should all pray for Christ to be honored in our body. If we neglect the mission entrusted to us by the missionary, our responsibilities will return, but we should remember that faithfulness leads to glory, and we need to think about what kind of faith we should serve the Lord with.

You must believe that the crown of righteousness is reserved for those who give up the rights guaranteed to me for the sake of the gospel ministry. We pray that all of us will become saints who pledge allegiance in the name of the Lord and receive the crown of righteousness. Amen

 

 

더 많은 사람을 얻기 위하여

고전 9:17-27

 

바울은 사도로서 복음과 함께 마땅한 권리를 말하면서도 ‘그렇게 해 달라는 것이 아니라 내가 차라리 죽을지언정’ ‘만일 복음을 전하지 아니하면 내게 화가 있을 것임이라.’ 이것이 충직한 사명자의 의식입니다. 직업의식과 사명 의식의 차이를 보면, 직업의식에서라면 마땅한 대가를 따르지만 사명 의식은 어떠한 희생이 따를지라도 감수하게 되는 것입니다.

“내가 내 임의로 이것을 행하면 상을 얻으려니와 임의로 아니한다 할지라도 나는 직분을 맡았노라”(17절).

이 임무는 바울만 아니라 주님을 따르는 우리도 이행해야 할 복음의 사명임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1. 바울이 받을 상급

“그런즉 내 상이 무엇이냐 내가 복음을 전할 때에 값없이 전하고 복음으로 인하여 내게 있는 권을 다 쓰지 아니하는 이것이로라”(18절).

여기서 바울이 말하고 있는 상급을 보십시오.

1) 값없이 전하는 복음

‘내가 복음을 전할 때에 값없이 전하고’ 이는 주님께서 제자들을 보내실 때 당부하신 말씀, “너희가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어라” 하신 말씀에 순종하신 것입니다. 만일 바울이 직업의식으로 복음 사역에 이바지했다면 어떻게 했을까요? ‘내가 기도하여 병이 나았으니 또 구원을 받았으니 마땅히 대가를 지불 해야 한다.’ 고 말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바울이 전한 복음은 돈으로 계산할 수 없는 생명과 구원의 복음이기에 그럴 수 없었던 것입니다. 감사할 일은 이런 믿음으로 복음을 전했기에 하나님께서 항상 그와 함께하셨습니다.

“나를 보내신 이가 나와 함께 하시도다 내가 항상 그의 기뻐하시는 일을 행하므로 나를 혼자 두지 아니하셨느니라”(요8:29).

2) 보장된 권리를 포기하는 것입니다.

‘복음으로 인하여 내게 있는 권을 다 쓰지 아니하는 이것이로라’

세상에는 없는 권세도 있는 것같이 행세하다가 부끄러움 당하는 일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바울은 위에 계신 하나님께서 세우신 천국의 정권대사로 당당한 권리가 있는 사람이었습니다. 바울이 가는 곳에는 하나님께서 함께 하시므로 그가 전하는 복음이 말로만 아닌 성령과 능력과 확신으로 선포되고, 기도할 때는 즉시 응답해주셨습니다. 그럼에도 바울이 겸손할 수 있었던 것은 주님 앞에서 받을 상급을 바라보았기 때문입니다. 우리도 이러한 믿음을 가져야 하겠습니다.

 

2. 바울의 처세

사람들의 이목이 집중되는 위치에 있는 사람은 말 한마디 행동 하나에도 주의를 해야 합니다. 이제 우리나라는 금년 십이월이 되면 대통령 선거를 하게 될 것입니다. 이번에도 대통령 후보에 나오는 사람들이 많으므로 국민은 또 선거 열풍에 휘말릴 것 같습니다. 적어도 한 나라의 지도자가 되려면 엄격하게 검증을 거치고, 정당한 정책 대결을 펼쳐야 할 텐데, 대안 없는 비난 공세나 상대방의 약점만을 들춰내는 저급한 정치형태로 일관한다면, 어느 정당이든 국민의 지지를 얻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바울의 처세를 보십시오.

1) 모든 영광을 주님께만 돌렸습니다.

바울은 예수님의 이름을 높이기 위해서 자신이 낮아지는 것뿐만 아니라 목숨도 포기했습니다.

“나의 간절한 기대와 소망을 따라 아무 일에든지 부끄럽지 아니하고 오직 전과 같이 이제도 온전히 담대하여 살든지 죽든지 내 몸에서 그리스도가 존귀하게 되게 하려 하나니”(빌1:20).

“나의 달려갈 길과 주 예수께 받은 사명 곧 하나님의 은혜의 복음을 증언하는 일을 마치려 함에는 나의 생명을 조금도 귀한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노라”(행20:24).

이 믿음이 오늘 우리의 믿음이 되어야 하겠습니다.

2) 더 많은 사람을 구원하기를 소원하였습니다.

어제 일간지 사회면에서 감동되는 기사를 보았습니다. 주인공은 경기도 용인시에 사는 강태원씨로 이분은 월남하여 팔십 평생에 모은 재산 이백칠십억 원을 불우 이웃에 사용해 달라고 내어놓았습니다. 그 분에게도 일남 사녀의 자식들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자식들에게는 “대학 공부시키고, 결혼시켜 아파트 한 채만 사주면 됐지 더 이상주면 자식의 미래를 망치는 것이다.”라고 했습니다. 지난해에도 백억 원 상당의 부동산을 충북 청원군 꽃동네 사회복지대학에 기증한 일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런 일을 하게 된 동기는 그의 선친이 평양 지주로 있으면서 백만 평을 소작인들에게 나눠주며 유언한 일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분은 “지금까지는 내가 모으는 재미로 살았으나 이제는 돈을 뜻있게 쓰는 재미로 살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이런 사람은 물질보다 그 이상의 가치를 아는 사람입니다.

“내가 모든 사람에게 자유하였으나 스스로 모든 사람에게 종이 된 것은 더 많은 사람을 얻고자 함이라”(19절).

어떤 사람은 성도들에게 머리 숙여 인사하는 것이 힘들어 나는 목사 사모가 될 수 없다고 하는가 하면 나는 반드시 교역자에게 시집을 가겠다고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각기 사명 의식에서 나오는 것인 줄 압니다.

2) 유대인들과 같이 된 바울

“유대인들에게는 내가 유대인과 같이 된 것은 유대인들을 얻고자 함이요 율법 아래 있는 자들에게는 내가 율법 아래 있지 아니하나 율법 아래 있는 자같이 된 것은 율법 아래 있는 자들을 얻고자 함이요”(20절).

여기서 유대인들과 율법 아래 있는 자들에게는 견해를 달리하고 있습니다. 동일한 유대인을 지칭하는 것인데 강조형으로 보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혈통의 유대인과 유대교로 개종한 이방인으로 보는 자들도 있습니다.

다만 바울은 혈통으로는 유대인이요 열심당원으로는 바리새파에 속했던 사람이었으나 지금은 혈통과 율법을 초월하여 그들과 친구가 된 것은 그들을 구원코자 함이라 하였습니다.

3) 이방인들과 같이 된 바울

“율법 없는 자에게는 내가 하나님께는 율법 없는 자가 아니요 도리어 그리스도의 율법 아래 있는 자나 율법 없는 자와 같이 된 것은 율법 없는 자들을 얻고자 함이라”(21절).

성도들은 율법을 초월하여 살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은혜의 사슬이라는 더 엄격한 멍에 아래 있다는 사실을 망각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은혜의 사슬에 매인 자들은 성령의 인도를 따라야 합니다.

“너희 육신이 연약하므로 내가 사람의 예대로 말하노니 전에 너희가 너희 지체를 부정과 불법에 내주어 불법에 이른 것 같이 이제는 너희 지체를 의에게 종으로 내주어 거룩함에 이르라”(롬6:19).

4) 약한 자들과 같이 된 바울

“약한 자들에게는 내가 약한 자와 같이 된 것은 약한 자들을 얻고자 함이요 여러 사람에게 내가 여러 모양이 된 것은 아무쪼록 몇몇 사람들을 구원코자 함이니 내가 복음을 위하여 모든 것을 행함은 복음에 참예하고자 함이라”(22-23).

‘복음에 참예하고자’ 바울은 인간적인 관계를 폭넓게 하기 위해서 약한 자들과 함께하며 또 여러 가지 모양으로 처세한 것이 아니라 한 사람이라도 더 구원하기 위한 사명 의식에서였던 것입니다. 사실 예수 그리스도 밖에서의 친구라는 것은 특별한 의미가 없을 것입니다. 서로 관계가 좋을 때이지 싫으면 멀어지는 것입니다. 그러나 바울은 사명 의식에서 유대인과 이방인, 좋은 친구 나쁜 친구, 약한 친구 강한 친구를 가리지 않고 그들을 찾아갔는데 이것이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수가성 우물가 여인을 보십시오. 그가 예수님을 알아보기 전에는 상처 입은 자존심을 거론하며 냉수 한 그릇까지도 대접하기를 거절하였으나 오실 메시아임을 알고 나서 어떻게 변했습니까? 물동이를 버리고 도성으로 뛰어가 외칠 수 있었습니다. 에디오피아 국고를 맡았던 간다게 여왕의 내시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빌립이 유대 광야로 가게 되었던 것이 은혜였다면 구스의 내시가 흔연히 자기 나라로 가게 되었던 것도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은혜는 모든 것을 능히 변화시킬 수 있음을 알았다면 우리도 이 은혜 힘입고 하나님 영광의 크게 드러내는 성도들이 되어야 하겠습니다.

 

3. 경기자의 자세

경기자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1)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운동장에서 달음질하는 자들이 다 달아날지라도 오직 상 얻는 자는 하나인 줄을 너희가 알지 못하느냐 너희도 얻도록 이와 같이 달음질하라”(24절).

연습에 최선을 다하지 않는 자가 본선에서 이기기를 기대할 수 없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각기 맡은 본분과 사명이 무엇이든지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찬양대원들도 연습에 최선을 다하십시오. 교사들과 남녀 전도회, 구역도 마찬가지입니다. 의의 면류관이 기약된 영광의 대열에서 모두가 승리하는 성도들이 되시기를 소원합니다.

2) 절제해야 합니다.

“이기기를 다투는 자마다 모든 일에 절제하나니 저희는 썩을 면류관을 얻고자 하되 우리는 썩지 아니할 것을 얻고자 하노라”(25절).

절제는 경기장의 룰과 같아서 마땅히 성도들이 지켜야 합니다. 정과 욕을 다스리기에 게을리 해서는 안 됩니다.

3) 목표를 이탈하지 않아야 합니다.

“그러므로 내가 달음질하기를 향방 없는 것같이 아니하고 싸우기를 허공을 치는 것같이 아니하여 내가 내 몸을 쳐 복종하게 함은 내가 남에게 전파한 후에 자기가 도리어 버림이 될까 두려워함이로라”(26-27).

마라톤 선수가 42km를 달리고 마지막 코스를 이탈하면 어떻게 될까요? 모든 것은 수포로 돌아가고 말 것입니다. 바울은 최후까지 향방을 잃지 않았습니다.

“형제들아 나는 아직 내가 잡은 줄로 여기지 아니하고 오직 한 일 즉 뒤에 있는 것은 잊어버리고 앞에 있는 것을 잡으려고 푯대를 향하여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님이 위에서 부르신 부름의 상을 위하여 좇아가노라”(빌3:13-14).

이 믿음이 우리의 믿음 되어 오늘도 내일도 충성을 다짐하여 시들지 않는 의의 면류관 받아쓰는 성도들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To get more people

1 Corinthians 9:17-27

 

As an apostle, while speaking of the right to be with the gospel, Paul said, “I am not asking you to do that, but I would rather die.” “Woe to me if I do not preach the gospel.” This is the consciousness of a faithful missionary. If you look at the difference between a sense of work and a sense of mission, a sense of duty pays a reasonable price, but a sense of mission means that you have to accept any sacrifices.

“If I do this on my own will, I have a reward; if I do not do this, I have been given the office” (verse 17).

Please believe that this mission is not only for Paul, but also for us who follow the Lord to fulfill the gospel mission.

 

1. Paul's Reward

“What then is my reward? For when I preach the gospel, I preach it freely, and because of the gospel I do not use up all my authority” (verse 18).

Look at the reward Paul is talking about here.

1) The free gospel preached

‘When I preach the gospel, I preach it freely.’ This is in obedience to the Lord’s command when he sent his disciples, “Freely you have received, freely give”. What would Paul have done if he had contributed to the gospel ministry with a vocational consciousness? ‘I prayed, and I was healed, and I was saved, so I must pay the price,’ he would have said. However, this could not be the case because the gospel Paul preached is the gospel of life and salvation that cannot be calculated with money. The thing to be thankful for is that God was always with him because he preached the gospel with this kind of faith.

“He who sent me is with me; he has not left me alone, because I always do what pleases him” (John 8:29).

2) A waiver of guaranteed rights.

“This is why I have not used all the books I have because of the gospel.”

There are times when we are put to shame by pretending to have authority that does not exist in the world. However, Paul was a man with dignified rights as an ambassador for the kingdom of heaven established by God above. Because God is with Paul wherever he goes, the gospel he preached was proclaimed not only with words but with the Holy Spirit, power, and conviction, and when he prayed, he immediately answered him. Nevertheless, Paul was able to be humble because he looked forward to the reward he would receive before the Lord. We too must have this belief.

 

2. Paul's situation

A person in a position where people's attention is drawn must pay attention to every word and action. Now, our country will hold a presidential election in December of this year. Again, there are many people running for the presidential nomination, so the people are likely to be caught up in the election craze again. In order to become a leader of at least one country, it would have to undergo rigorous verification and a fair policy confrontation, but if it is consistent with an offensive offensive without alternatives or a low-level political form that exposes only the weaknesses of the other party, it will be difficult for any political party to win the support of the people. no see.

Look at Paul's situation.

1) All glory was given only to the Lord.

In order to exalt the name of Jesus, Paul not only humbled himself, but also gave up his life.

“According to my earnest expectation and hope, I will not be ashamed of anything, but I am still fully confident as before, that Christ may be exalted in my body, whether by life or death” (Philippians 1:20).

“I do not count my life of any value, in order to finish my course and the mission I received from the Lord Jesus, to testify to the gospel of the grace of God” (Acts 20:24).

This belief should become our faith today.

2) He wished to save more people.

Yesterday, I saw an article that touched the society in a daily newspaper. The main character is Kang Tae-won, who lives in Yongin-si, Gyeonggi-do, and he donated the 217 billion won he had accumulated during his eighty years of fleeing to South Korea to be used by neighbors in need. He also had children of his one son and four daughters. However, he said to his children, “If you only have to get them to study at university, get married, and buy an apartment, you will ruin their future if you give them any more.” It is said that last year, real estate worth 10 billion won was donated to Kkottongnae Social Welfare College in Cheongwon-gun, Chungcheongbuk-do. However, it is said that the motive for doing this was that his father made a will by handing out 1 million pyeong to tenant farmers while he was a landlord in Pyongyang. He said, “Until now, I lived for the fun of collecting, but now I will live for the fun of spending money wisely.” Such a person is a person who knows more than material things.

“I was free to all, but I made myself a slave to all, that I might gain more” (verse 19).

Some say that I cannot become a pastor's wife because it is difficult to bow my head to the saints, while others say that I will definitely marry a pastor. I know that each comes from a sense of mission.

2) Paul Became Like the Jews

“To the Jews I became as a Jew, that I might win them; to them that are under the law, I am not under the law, but as under the law, that I might win them that are under the law” (verse 20).

Here the Jews differ from those under the law. It refers to the same Jew, and some see it as an emphatic form, while others see it as a Jew of blood and a Gentile who converted to Judaism.

However, Paul said that he was a Jew by lineage and a member of the Pharisees as a Zealot, but now he has become friends with them beyond lineage and law in order to save them.

3) Paul Became Like Gentiles

“For those who do not have the law, I am no longer without the law with God, but as those under the law of Christ and without the law, that I might gain them that do not have the law” (verse 21).

The saints should not forget that while living beyond the law, they are, on the other hand, under the stricter yoke of the chains of grace. Therefore, those who are bound by the chains of grace must follow the guidance of the Holy Spirit.

“Because of the weakness of your flesh, I speak according to the customs of men, as in the past you yielded your members to uncleanness and lawlessness, resulting in lawlessness, so now present your members as slaves to righteousness for holiness” (Romans 6:19).

4) Paul became like the weak

“To the weak I became like a weak person so that I might gain the weak, and to many I was made various in order to save some, by any means. 22-23).

In order to “participate in the gospel,” Paul did not live with the weak in various ways in order to broaden human relationships, but rather in a sense of mission to save even one more person. In fact, being friends outside of Jesus Christ would have no special meaning. It's a good time to be in a relationship, and if you don't like it, you're far away. However, in the sense of mission, Paul visited Jews and Gentiles, good friends, bad friends, weak friends, and strong friends, and this is the grace of God. Look at the woman at the well in Suga. Before he recognized Jesus, he talked about his wounded pride and refused to serve even a cup of cold water, but what changed after he found out that he was the coming Messiah? She could throw away her water jar and run to the city to cry. The same is true of Queen Gandage's eunuch, who was in charge of the Ethiopian treasury. If it was grace that Philip went to the wilderness of Judea, it is also the grace of God that the eunuchs of Cush naturally went to their own country. If we knew that grace can change everything, we should also become saints who greatly reveal the glory of God by this grace.

 

3. Player's Posture

What should the players do?

1) You must do your best.

“Do you not know that in the field all runners run, but only one wins the prize? Run in the same way that you may win” (verse 24).

Those who do not put their best effort into practice cannot expect to win the finals. Therefore, we must do our best, whatever the duties and missions entrusted to each of us. The choir members also do their best in practice. The same goes for teachers, men's and women's evangelism groups, and districts. I hope that everyone will be victorious in the ranks of glory where the crown of righteousness is promised.

2) You need to be in moderation.

“Everyone who competes for the victory is temperate in all things, that they may obtain a corruptible crown, but we seek the incorruptible” (verse 25).

Temperance is like the rules of the stadium, so the saints must observe it. Do not neglect to control your passion and lust.

3) You must not deviate from the goal.

“Therefore, I do not run as if I had no direction, and I do not fight as if I was striking the air, but I beat my body to subjection, lest after I preach to others, I myself would be rejected” (26-27). .

What happens when a marathon runner runs 42 kilometers and leaves the final course? Everything will go in vain. Paul did not lose direction until the very end.

“Brothers, I do not yet consider myself to have grasped; but one thing I do, forgetting what is behind, and grasping what is ahead, I press toward the goal for the reward of the above call of God in Christ Jesus” (Philippians 3:13-14). .

I pray that this faith will become our faith and that we will become believers today and tomorrow who promise our loyalty and wear the crown of undying righteousness. Amen

 

 

선줄로 아는 자 넘어질까 조심하라

고전 10:1-13

 

우리는 구 장에서 전도자의 자세는 운동장에서 달음질하는 경기자와 같이 최선을 다해야 할 뿐 아니라, 목표가 분명해야 하고 또 절제가 있어야 한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이제 바울은 이스라엘의 광야 생활을 거울로 삼아 ‘선 줄로 아는 자 넘어질까 조심하라’고 하고 있습니다.

 

1. 진리를 아는 지식

“형제들아 너희가 알지 못하기를 내가 원치 아니하노니”(1절).

중세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일반 성도들은 성경을 접하지 못하도록 하고 오직 교황과 사제들이 해석해서 전해주는 성경의 내용만을 절대적인 진리로 믿고 따르도록 했습니다. 이로 말미암아 성경과 전통을 동등한 위치에 올려놓고 또 마리아 우상을 비롯하여 각가지로 조각한 우상을 세워 오늘까지 내려오고 있습니다.

시편 기자는 “복 있는 사람은... 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 자로다”(시1:1-2) 하였습니다.

성경은 영감으로 기록된 하나님의 특별계시입니다. 그러므로 성경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를 알게 되고 또 영생의 양식을 얻게 됩니다. 어느 때를 막론하고 말씀이 살아서 역사할 때는 부흥되었으나 죄악이 관영할 때는 영감이 사라지고 심판이 임했습니다.

“아이 사무엘이 엘리 앞에서 여호와를 섬길 때에는 여호와의 말씀이 희귀하여 이상이 흔히 보이지 않았더라”(삼상3:1).

하나님의 말씀에 불순종하여 버림받은 사울이 블레셋 군대로 인해 여호와께 물었으나 여호와께서는 꿈이나 우림, 선지자로도 응답하지 아니하시므로 결국 신접한 여인을 찾았는데 역시 아무런 해결책을 수가 없었던 것입니다(삼상28:6-19). 말씀이 살아서 역사할 때 우리의 심령이 변화되고 말씀이 살아서 역사할 때 교회가 부흥되고 말씀이 살아서 역사할 때 사회가 변화됩니다.

“나 여호와가 말하노라 내 말이 불같지 아니하냐 반석을 쳐서 부스러뜨리는 방망이 같지 아니하냐”(렘23:29).

과연 죄악을 소멸하는 불같은 말씀, 강퍅한 심령을 깨뜨리는 방망이 같은 말씀이 베드로의 입을 통해 선포될 때 삼천 명, 오천 명이 가슴 치며 회개하는 역사가 일어나게 되었던 것입니다. 오늘도 주의 이름으로 선포되는 진리가 성령과 능력과 큰 확신으로 선포될 수 있도록 우리는 사명을 가지고 기도해야 합니다.

 

2. 이스라엘 역사를 통한 교훈

우리는 흘러간 역사를 통해 많은 교훈을 얻게 됩니다. 그러기 때문에 고전과 역사에 대한 폭넓은 지식은 오늘을 바로 살게 하는 지침이 될 줄 압니다. 주말 드라마에 나온 ‘고려 왕건’, ‘제국의 아침’ 같은 것은 단순한 오락물과 달리 등장하는 인물들의 영욕의 세월과 그 마지막을 통해 인생의 참된 가치가 무엇인지 생각할 것이 많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일반적인 역사와 성경에 기록된 이스라엘 역사는 비교될 수 없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그것은 영감의 잣대로 기록된 글과 인간적인 잣대에 의한 기록으로서 이것이 진리와 비진리의 차이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일반 역사를 통해서는 영생을 얻을 수 없으나 성경에서는 구원의 진리 곧 그리스도를 만나게 되는 것입니다.

“너희가 성경에서 영생을 얻는 줄 생각하고 성경을 상고하거니와 이 성경이 곧 내게 대하여 증거하는 것이로다”(요5:39).

“형제들아 너희가 알지 못하기를 내가 원치 아니하노니 우리 조상들이 다 구름 아래 있고 바다 가운데로 지나며 모세에게 속하여 다 구름과 바다에서 세례를 받고 다 같은 신령한 식물을 먹으며 다 같은 신령한 음료를 마셨으니 이는 그들을 따르는 신령한 반석으로부터 마셨으매 그 반석은 곧 그리스도시라”(1-4).

여기서 유의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1) 구름과 바다를 통과한 세례

이는 출애굽한 자들이 홍해를 지나고 또 낮에 보호받은 구름으로 이것을 합동세례라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런 경우에 문제가 되는 것은 개개인의 신앙고백이 없어도 본문에서는 그것을 문제 삼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은 다릅니다. 그리스도께서 피 흘리심으로 만민이 구원받을 수 있다 할지라도 반드시 개개인의 신앙고백이 있어야 하고 유아세례일 경우에는 그 부모의 신앙고백으로 대신하게 되는 것입니다.

2) 신령한 식물

이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에서 사십 년 동안 먹었던 만나를 가리킵니다. 여기서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신령한 만나는 영적인 양식을 의미하는데 이스라엘 백성들은 가나안 땅에 들어가지 못했습니다.

“너희 조상들은 광야에서 만나를 먹었어도 죽었거니와”(요6:49).

우리는 육신의 양식과 영의 양식을 바로 구분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하루는 주님께서 오병이어로 오천 명을 먹이고도 남게 했던 일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 무리들이 다시 예수님을 찾았을 때 말씀입니다.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가 나를 찾는 것은 표적을 본 까닭이 아니요 떡을 먹고 배부른 까닭이로다 썩는 양식을 위하여 일하지 말고 영생하도록 있는 양식을 위하여 하라 이 양식은 인자가 너희에게 주리니 인자는 아버지 하나님의 인치신 자니라”(요6:26-27). 바울이 만나를 신령한 양식이라 한 것은 만나가 지닌 상징적인 진리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3) 신령한 음료

‘다 같은 신령한 음료를 마셨으니 이는 그들을 따르는 신령한 반석으로부터 마셨으매 그 반석은 곧 그리스도시라’

여기서 말씀하고 있는 신령한 반석과 그리스도, 이도 역시 상징적인 진리를 의미합니다. 유의해야 할 것은 어떻게 상징적인 진리를 영적인 양식으로 소화시킬 수 있느냐 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곧 우리의 가진바 믿음입니다. 우리가 믿음으로 받으면 입으로 들어가는 음식도 은혜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믿음이 아니면 신령한 양식 곧 진리의 말씀도 사람의 소리에 그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영생에 이르지 못할 자들은 숫자가 많아도 하나님께 영광이 되지 못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저희의 다수를 하나님이 기뻐하지 아니하신고로 그들이 광야에서 멸망을 받았느니라”(5절).

이는 진리에 불순종하는 다수를 기뻐하지 않았다는 말씀입니다.

 

3. 광야에서 희생된 이스라엘

“그런 일은 우리의 거울이 되어 우리로 하여금 그들이 악을 즐겨한 것같이 즐겨하는 자가 되지 않게 하려 함이니”(6절).

성도 여러분! 이제 신령한 거울 앞에서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는 시간입니다. 지금까지 형제의 눈에 있는 티만 보고 허물하지는 않았습니까? 이제 자신의 눈에 든 들보를 발견하고 먼저 그것부터 뽑아야 하겠습니다.

1) 금송아지 우상

“그들의 중에 어떤 이들과 같이 너희는 우상 숭배하는 자가 되지 말라 기록된바 백성이 앉아서 먹고 마시며 일어나서 뛰논다 함과 같으니라”(7절).

하나님의 종 모세는 시내산에 올라가서 사십일 동안 먹지도 마시지도 아니하고 하나님의 계시를 받는 시간에 산하에서는 금송아지 우상을 만들어 헌화하고 있었습니다. 사실 그때 하나님께서는 그러한 이스라엘 백성들을 진멸하고 모세를 통해 새 역사를 시작하려 하였으나 모세의 기도로 지연시켰던 것입니다. 그런데 그들이 모세의 심정을 헤아렸다면 사십 일 까지 함께 금식하며 때를 기다렸어야 마땅 할 것이나 그들은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 주의하십시오. 믿는다고 하면서 돈을 하나님보다 더 위하는 금송아지 우상은 없습니까? 탐욕의 우상을 다스려야 합니다.

“그러므로 땅에 있는 지체를 죽이라 곧 음란과 부정과 사욕과 악한 정욕과 탐심이니 탐심은 우상숭배니라”(골3:5).

2) 음란 죄

“그들 중에 어떤 이들이 간음하다가 하루에 이만 삼천 명이 죽었나니 우리는 그들과 같이 간음하지 말자”(8절).

오늘날 안방에까지 들어온 음란 퇴폐 문화는 눈을 뜨고 볼 수 없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과거에는 베드신이 나오면 흉내만 내었는데 이제는 카메라 앞에서 부끄러운 줄도 모르고 노골적으로 성행위를 한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성 윤리가 무너지면 모든 것은 다 무너진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심판의 무서움을 알고 있다면 소돔 고모라와 같은 멸망 길에 빠져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입니다.

3) 원망하는 죄

“그들 중에 어떤 이들이 주를 시험하다가 뱀에게 멸망하였나니 우리는 그들과 같이 시험하지 말자 그들 중에 어떤 이들이 원망하다가 멸망시키는 자에게 멸망하였나니 너희는 그들과 같이 원망하지 말라”(9-10).

누구를 막론하고 남을 원망하는 것은 불행의 씨앗이 됩니다. 감사하며 사는 곳이 천국이라면 원망하며 사는 곳은 지옥입니다. 우리가 지옥 생활을 그리워해야 할 이유는 없습니다. 불평과 불만, 원망을 조장하는 마귀의 올무를 주의하십시오. 우리 모두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감사하며 살아가는 성도들이 되어야 하겠습니다.

“그들에게 당한 이런 일이 거울이 되고 또한 말세를 만난 우리의 경계로 기록하였느니라 그런즉 선줄로 생각하는 자는 넘어질까 조심하라”(11-12).

우리가 결코 자만할 수 없는 것은 끊임없이 역사하는 마귀의 올무로부터 우리가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한편의 드라마와 같은 이야기가 있습니다.

미국 유타주에서 사는 브라이언 하이스씨에게 있었던 일입니다. 7월 어느 날 윗집에서 수도가 터져 자기가 사는 집이 물바다로 변하고 말았습니다. 양수기를 빌리러 가려고 자동차로 왔을 때 자동차 바퀴가 터져서 급히 갈아 끼워야 했고 친구에게 도움을 받으려고 집으로 들어가서 전화기를 들었는데 전기쇼크로 충격을 받아 전화기가 박살이 나면서 쓰러지게 되었고 다시 밖으로 나왔을 때는 자동차를 누가 훔쳐가 버리고 말았습니다. 마침 연료가 조금 밖에 없었기에 도둑이 버리고 간 차를 길가에서 발견하여 주유소까지 밀고가야 하였고 그날 밤에는 대학 모임에 참석했다가 돌아오는 길에 차 앞으로 갑자기 날아든 돌을 피하려다가 심하게 다쳐 병원에 가서 꿰맬 수는 있었으나 집에 와서는 물에 젖은 카페트에 미끄러져 엉덩방아를 찧고 말았습니다. 마침내 그가 하는 말 “누군가 내가 죽기를 원하는데 계속 기회를 놓치고 있는 거야.” 감사할 일은 우리의 연약함을 아시고 주님께서 우리와 함께 하신다는 것입니다.

“사람이 감당할 시험밖에는 너희에게 당한 것이 없나니 오직 하나님은 미쁘사 너희가 감당치 못할 시험 당함을 허락지 아니하시고 시험당할 즈음에 또한 피할 길을 내사 너희로 능히 감당하게 하시느니라”(13절).

우리 모두 믿음으로 승리하여 이기는 자에게 주시는 영광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Those who know how to stand, beware lest they fall

1 Corinthians 10:1-13

 

We told you that the attitude of an evangelist in the stadium should not only do our best like a runner running on the field, but also have a clear goal and discipline. Now, Paul uses Israel's wilderness life as a mirror, telling him, "Let those who know to stand beware lest they fall."

 

1. The knowledge of the truth

“I do not want you to be ignorant, brethren” (verse 1).

In the medieval Roman Catholic Church, ordinary believers were not allowed to access the Bible, and only the Pope and priests interpreted and delivered the Bible to believe and follow the absolute truth. Because of this, the Bible and tradition were placed on an equal footing, and idols carved in various ways, including the image of Mary, have been erected and passed down to this day.

The psalmist said, “Blessed is the man… but his delight is in the law of the Lord, and on his law he meditates day and night” (Psalm 1:1-2).

The Bible is God's special revelation written by inspiration. Therefore, through the Bible, we come to know God and Jesus Christ and receive the bread of eternal life. Regardless of the time of day, when the Word is alive and working, it is revived, but when sin prevails, the inspiration disappears and judgment comes.

“When the child Samuel served the Lord before Eli, the word of the Lord was rare, and visions were not seen often” (1 Samuel 3:1).

Saul, who was abandoned because he disobeyed God's word, asked the Lord because of the Philistine army, but the Lord did not answer either in dreams, Urim, or prophets. 6-19). When the Word lives and works, our hearts are changed, when the Word lives and works, the church revives, and when the Word lives and works, society changes.

“Are not my words like fire, saith the LORD, and like a hammer that strikes her rock to pieces?” (Jeremiah 23:29).

Indeed, when the words of fire that quench sin and the words of a rod that breaks the hardened heart were proclaimed through Peter's mouth, 3,000 or 5,000 people broke their hearts and repented. Today, we must pray with a mission so that the truth proclaimed in the name of the Lord can be proclaimed with the Holy Spirit, power, and great conviction.

 

2. Lessons from Israel's history

We learn many lessons from the past. For that reason, a broad knowledge of classics and history can be a guide for living right now. Unlike the simple entertainments of ‘Wang Geon of Goryeo’ and ‘Morning of the Empire’ that appeared in weekend dramas, there is a lot to think about the true value of life through the years of lust and the end of the characters appearing. However,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 that cannot be compared between this general history and the history of Israel recorded in the Bible. It is the difference between truth and untruth, as written by inspiration and by human standards. Therefore, we cannot obtain eternal life through general history, but in the Bible we come across the truth of salvation, which is Christ.

“You search the scriptures, thinking that you have eternal life in them, but these are the scriptures that testify of me” (John 5:39).

“I do not want you to be ignorant, brethren, for all our fathers were under the cloud and passed through the midst of the sea, and belonged to Moses, and all were baptized in the cloud and in the sea, and all ate the same spiritual food and drank the same spiritual drink. It drank from the spiritual rock that followed them, and that rock was Christ” (1-4).

Here's something to keep in mind.

1) Baptism through the clouds and the sea

This is the cloud that the exodus passed through the Red Sea and was protected during the day. This can be called joint baptism. Of course, the problem in this case is that even if there is no individual confession of faith, the text does not address it. But today it is different. Even if all people can be saved through the shedding of Christ's blood, there must be an individual confession of faith, and in the case of infant baptism, the confession of faith of the parents will replace it.

2) Divine Plants

This refers to the manna that the Israelites ate in the wilderness for forty years. What we need to remember here is that spiritual manna means spiritual food, but the Israelites did not enter the land of Canaan.

“Your fathers ate the manna in the wilderness, and they died” (John 6:49).

We must be able to distinguish between food for the body and food for the spirit. One day, the Lord had fed five thousand people with five bowls, and there was more than enough. But when the crowds found Jesus again, it was the word.

“Truly, truly, I say to you, you seek me, not because you saw signs, but because you ate the loaves and were satisfied. He is the one sealed by God” (John 6:26-27). When Paul said that manna was a spiritual food, he meant the symbolic truth of manna.

3) Divine drink

“They all drank the same spiritual drink, and drank from the spiritual rock that followed them, and that rock was Christ.”

The spiritual rock, Christ, and the tooth mentioned here also mean symbolic truth. Note how symbolic truth can be digested into spiritual food. This is the faith we have. If we receive it by faith, even the food we put into our mouths can be a blessing. However, unless it is faith, even the spiritual food, the word of truth, ceases to be a human voice. Therefore, those who do not reach eternal life, even though they have many numbers, do not bring glory to God.

“But God was not pleased with the majority of them, and they were destroyed in the wilderness” (v. 5).

This means that he was not pleased with the majority who disobeyed the truth.

 

3. Israel Sacrifice in the Wilderness

“They are our mirrors, so that we will not be delighted with evil as they did” (verse 6).

Saints! Now is the time to discover yourself in front of the divine mirror. Have you ever looked at the specks in your brother's eyes and made mistakes? Now you have to find a beam in your own eyes and pull it out first.

1) Golden Calf Idol

“Do not become idolaters, like some of them, as it is written, The people sit down to eat and drink, and rise up to play” (verse 7).

Moses, the servant of God, went up to Mt. Sinai and did not eat or drink for forty days, and while receiving God's revelation, he made an idol of a golden calf and made a wreath. In fact, at that time, God tried to destroy the Israelites and start a new work through Moses, but it was delayed by Moses' prayer. But if they had understood Moses' feelings, they should have fasted together for forty days and waited for the right time, but they did not. Be careful. Isn't there an idol of a golden calf who claims to believe and puts money more than God? You must rule over the idol of greed.

“Therefore, put to death your members that are on the earth: fornication, uncleanness, lust, evil passions, and covetousness, which is idolatry” (Colossians 3:5).

2) Fornication

“Let us not commit adultery with them, for some of them committed adultery, and twenty-three thousand died in one day” (verse 8).

The obscene and decadent culture that has entered the bedroom today has become a world that cannot be seen with eyes open. In the past, when there was a bed scene, they only mimicked it, but now there are stories of people having sex in front of the camera without feeling ashamed. You need to know that when the sexual ethic breaks down, everything breaks down. If you know the fear of judgment, you should be careful not to fall into the same path of destruction as Sodom and Gomorrah.

3) The sin of resentment

“Let us not be tempted as some of them were tempting the Lord, and they were destroyed by the serpent; some of them grumbled and perished with the destroyer.

No matter who you are, resenting others is a seed of unhappiness. If the place to live with gratitude is heaven, the place to live with resentment is hell. There is no reason we should miss life in hell. Beware of the devil's snare, which encourages murmuring, dissatisfaction, and resentment. We should all become saints who glorify and give thanks to God.

“These things that happened to them are a mirror, and they are written as a warning for us who have met the last days.

We can never be conceited because we cannot be free from the snares of the devil who is constantly working.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story like a drama.

It happened to Brian Heis, who lives in Utah, USA. One day in July, the water supply in his upper house burst and his house turned into a sea of ​​water. When I came in the car to go to rent a water pump, the wheel of the car broke and I had to change it urgently. I went home to get help from a friend and picked up the phone. The electric shock shocked the phone and the phone smashed and collapsed. When I got out again, someone stole the car. I threw it away. At the time, there was only a little fuel, so I found the car abandoned by the thief on the roadside and had to drive it to the gas station. I could, but when I got home, I slipped on the wet carpet and hit the buttocks. Finally, he says, “Someone wants me to die, but I keep missing out.” The thing to be thankful for is that He knows our weakness and that the Lord is with us.

“No temptation has overtaken you except such as is common to man, but God is faithful, who will not allow you to be tempted beyond what you are able, but with the temptation will also make the way of escape, that you may be able to bear it” (verse 13).

We pray for the glory given to those who overcome through faith and overcome. Amen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말고

고전 10:14-33 자

 

지금 우리는 전국을 뒤집어 놓은 십오 호 태풍 루사로 인해 엄청난 피해를 입고 있습니다. 지난 주일에 여러분들이 정성을 다해 모은 수재의연금은 즉시 총회로 송금했습니다.

“하나님은 미쁘사 너희가 감당하지 못할 시험 당함을 허락하지 아니하시고 시험당할 즈음에 또한 피할 길을 내사 너희로 능히 감당하게 하시느니라”(고전10:13).

이 말씀을 가슴에 새기십시오. 더 깊은 신앙의 뿌리를 내리게 될 줄 믿습니다.

 

1. 우상숭배와 예배

신은 눈으로 볼 수가 없습니다. 세상에는 하나님을 섬기는 성도들이 있는가 하면 우상을 섬기는 자들도 있습니다. 여기는 종교 일반론자 즉 모든 종교는 같다는 자들도 있습니다.

지난 8월 29일 한국 기독교 교회 협의회 강당에서는 미국에서 일어났던 9.11 테러 1주년을 맞아 한신대 교수 김경재 원장과 미국인 현각 스님이 강연을 하였는데 요지는 “마음의 문을 열고 서로의 다양성을 인정할 때 진정한 평화가 온다”는 내용이었습니다.

현각 스님은 말하기를 “내 믿음에만 집착하고 남의 믿음을 인정하지 않는 것 자체가 종교적 폭력이다. 예수께서 말씀하신 ‘하나님의 왕국’이란 불교에서 말하는 해탈 자비와 같다. 예수께서는 ‘진리가 너희를 자유하게 하리라’고 하셨다. 그런데 도대체 그 진리란 무엇인가, 어떻게 하면 찾을 수 있느냐고 가톨릭 신자였던 나는 그런 의문을 갖고 영적 방황을 했으며 책도 수없이 읽었다. 그리고 마침내 참선 수행을 통해 기독교에서 말하는 진리와 불교에서 말하는 진리가 다르지 않음을 깨달았다”고 했습니다.

거기에 맞추어 김경재 목사는 “왜 종교간에 폭력성이 잠재하고 있는가, ‘자기 붓 대롱으로 본 하늘만이 진짜요, 자기만이 하늘을 모두 본 자라고 우기는 배타적 독선 때문이다.... 이제 우리는 어느 종교가 더 좋은 진리 체계를 가졌는가를 따지는 ‘정교 경쟁’이 아니라 어느 종교가 더 많은 자유 정의 평화 봉사 운동에 복무하는가를 따지는 ‘정행 경쟁’이 되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물론 인간으로서 화목과 질서는 필요합니다. 그런데 인간에게 종교는 왜 필요합니까? 인간에게는 어떠한 이념과 법으로도 도달할 수 없는 영적인 세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현각 스님은 가톨릭에 몸담고 있다가 진리를 깨닫지 못해 불교에 입문하여 깨달은 것이 ‘기독교와 불교의 진리가 다르지 않다는 것’이요. 김경재 목사는 ‘진리보다 행위’를 중요시하였습니다.

이런 것을 두고 ‘종교 혼합주의라’고 합니다. 하나님과 우상이 일치할 수 없으며, 그리스도와 벨리알이 일치할 수 없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바울은 진리를 위해 순교를 각오하고 복음을 전하면서 폭력을 행사하지는 않았습니다. 참된 평화는 비진리와 타협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것입니다.

“그런즉 내 사랑하는 자들아 우상 숭배하는 일을 피하라... 대저 이방인의 제사하는 것은 귀신에게 하는 것이요 하나님께 제사하는 것이 아니니 나는 너희가 귀신과 교제하는 자 되기를 원하지 아니하노라 너희가 주의 잔과 귀신의 잔을 겸하여 마시지 못하고 주의 상과 귀신의 상에 겸하여 참여하지 못하리라”(14, 20-21).

 

2. 자유와 덕

“모든 것이 가하나 모든 것이 유익한 것이 아니요 모든 것이 가하나 모든 것이 덕을 세우는 것이 아니니 누구든지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말고 남의 유익을 구하라”(23-24).

기독교의 정신, 또 실천강령이 이 구절에 함축되어 있습니다. 모두가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아니하고 남의 유익을 위하여 구한다면 우리가 추구하는 이상적인 세상이 만들어질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땅에 이룩되는 하나님의 나라입니다. 지난여름 우리 청년들이 땀 흘리고 돌아온 사역지에서 날아온 한 통의 편지를 소개합니다.

“할렐루야!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평강이 청년회 모든 분들께와 교우님들께 언제나 충만하길 기원합니다. 모든 것을 다 주고 훌쩍 떠나버렸습니다. 오래 오래 더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사람들과 일들이었습니다. 여러분은 아무 일도 아닌 것처럼 그렇게 떠나갔지만 남아있는 우리에게는 충격으로 다가왔고 떠난 후엔 참으로 이상했습니다. 오래 정들었던 사람이 떠난 것처럼 허탈했습니다. 마음에 작은 고동이 울린 감동이었습니다. 아! 이게 사랑이구나 생각했습니다. 예수님은 우리를 위해 당신의 모든 것을 다 주셨습니다. 그리고 십자가를 지시고 떠나가셨습니다. 우리는 그 사랑 앞에 통곡하고 울었습니다. 죄인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은 율법이 아니라 오직 사랑뿐임을 다시 한번 확신합니다.

사랑하는 청년회 여러분! 주님께 이렇게 기도해 봅시다.

‘주님! 그들이 무엇을 원합니까? 건강, 지혜, 주님을 닮은 고상한 인격, 부자입니까? 주님! 다 채워주십시오.’

일 년 동안 사역 자금을 모으느라 얼마나 힘들었겠어요. 그런데 그것을 한꺼번에 다 쏟아 놓고 가셨습니다. 억수같이 쏟아지는 비와 함께...

하루쯤 쉬려고 계획했는데 계곡에서 발이나 담그고 가셨는지요?

그 교회 성도들을 보면 목사님을 알 수 있다던데, 유목사님, 오목사님, 부장집사님, 전도사님 참 감사합니다.

밥하시느라 고생하신 권사님, 집사님, 궂은일 도맡아 하던 청년들, 현관 공사 때문에 세 번씩이나 오셨던 장집사님, 특별히 이발, 미용 하셨던 자매님, 아프던 손과 목은 어떠하신지요? 이름들을 잘 몰라 미안합니다. 임00 회장님, 박00 팀장님, 모든 분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모두 다 건강하십시오. 정말 아름다운 사역이었습니다. 오래오래 기억에 남을 것입니다. 우리 주님의 크신 은혜가 항상 충만하시길 기도합니다.” 강명애 사모 드림

이 편지는 우리에게 참된 가치와 그림자 가치에 대해 생각하게 합니다. 어떤 것이 내게 있어 영원히 자랑할 수있는 것이고 또 어떤 것이 그림자에 속한 것인지 분별하는 믿음을 가져야 하겠습니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하나님의 기뻐하시는 대로 순종하는 믿음을 가질 때 그 기도를 즐겨 응답해주신다는 것입니다. 세상에서 우리가 하나님께 기도할 수 있다는 이 자원보다 큰 보배가 없다는 사실을 알아야 하겠습니다. 오늘날 과학 문명이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지금 인터넷을 이용하면 무엇이든지 필요한 자료를 찾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문명이 발전한 세상이라 할지라도 이런 것은 물질적인 세계에 국한된 것입니다. 하지만 기도로 받는 복은 영 육 간 우리의 모든 필요를 충족시켜 주심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우리는 누가복음 십육 장에 나오는 불의한 청지기의 비유를 알고 있습니다. 하루는 주인의 재물을 허비한 일로 청지기의 직분을 박탈하려 했을 때 계약서를 위조한 청지기를 오히려 칭찬했습니다. 우리에게 주는 교훈이 무엇입니까? 주인의 것으로 사후를 대비했다는데 있습니다. 만물의 주인은 내가 아닌 조물주 하나님이심을 믿으셨다면 우리에게 주신 물질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도 깨달아야 하겠습니다.

문호 톨스토이는 “재물은 거름과 같아서 쌓여 있으면 악취가 나지만 뿌려지면 땅을 기름지게 한다”고 했습니다.

빌리 그래함 목사는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두 손을 주셨다. 하나는 받는 손이고, 하나는 주는 손이다.”라고 했습니다.

“나와 같이 모든 일에 모든 사람을 기쁘게 하여 나의 유익을 구하지 아니하고 많은 사람의 유익을 구하여 그들로 구원을 얻게 하라”(33절). .

“할 마음만 있으면 있는 대로 받으실 터이요 없는 것은 받지 아니하시리라”(고후8:12).

“선한 일을 행하고 선한 사업에 부하고 나눠주기를 좋아하며 동정하는 자가 되어... 장래에 자기를 위하여 좋은 터를 쌓아 참된 생명을 취하는 것이라”(딤전6:18-19).

 

3. 나의 양심과 다른 사람의 양심

“무릇 시장에서 파는 것은 양심을 위하여 묻지 말고 먹으라 이는 땅과 거기 충만한 것이 주의 것임이니라 불신자 중 누가 너희를 청하매 너희가 가고자 하거든 너희 앞에 무엇이든지 차려놓은 것은 양심을 위하여 묻지 말고 먹으라”(25-27).

사실 무엇이든지 묻지 않고 먹을 수 있는 믿음이라면 이는 성숙한 믿음입니다. 음식은 음식일 뿐 입으로 들어가는 것이 죄가 되지 않는 것입니다.

“만일 내가 감사함으로 참여하면 어찌하여 내가 감사하다 하는 것에 대하여 비방을 받으리요 그런즉 너희가 먹든지 마시든지 무엇을 하든지 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하라”(30-31).

다만 우상을 인정하면서 제물에 참여한다면 그것은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혹시 여기서 불신가족으로 인해 조상의 제사에 함께 참여하는 분들이 계시다면 그리스도를 위한 순교적인 믿음으로 가족 구원을 위해 기도해야 합니다.

또한 제사하는 것이 참된 효도가 아님을 알았다면 속히 극복하도록 기도하시기 바랍니다. 그런데 신앙이 성숙한 사람일지라도 내 믿음의 잣대가 아닌 다른 사람의 양심을 위해 주의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누가 너희에게 이것이 제물이라 말하거든 알게 한 자와 및 양심을 위하여 먹지 말라 내가 말한 양심은 너희의 것이 아니요 남의 것이니 어찌하여 내 자유가 남의 양심으로 말미암아 판단을 받으리요”(28-29).

무슨 말씀일까요? 내 신앙이 아무리 성숙하다 할지라도 자신의 신앙 잣대로 보지 말고 상대방의 신앙 잣대로 보아야 할 때가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아침 점심 저녁 하루에 세끼 식사를 합니다. 그런데 일상적으로는 가족과 함께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밖에서 손님을 접대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 때는 예의를 잃지 않고 먼저 상대방이 좋아하는 음식이 무엇인지 물어보는 것입니다.

만일 자기가 좋아하는 것만 시킨다면 이는 마치 이솝의 우화에 나오는 황새와 여우 격이 되고 말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한 가족일지라도 나이 많은 어른이나 병든 사람, 아이들이 있을 경우에도 배려를 해야 합니다.

이같이 우리의 신앙도 마찬가지입니다. 내 신앙에는 아무런 거리낌이 없다고 하여 다른 사람도 다 나와 같이 생각하리라고 기대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오히려 정반대일 경우도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떤 분은 교회에서 앉는 자리를 두고 다툼을 일삼는 일도 있는 것 같습니다. 내가 양보하고 상대편을 위하는 미덕을 가져야 하는데... 또 부담 없이 주고받은 이야기이지만 실족하는 일들도 있을 수 있습니다. 누구를 막론하고 나의 믿음이 다른 사람에게 덕이 되고 그리스도의 향기가 되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모든 것이 가하나 모든 것이 유익한 것이 아니요 모든 것이 가하나 모든 것이 덕을 세우는 것이 아니니 누구든지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말고 남의 유익을 구하라’ 아 멘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말고

고전 10:14-33 자

 

지금 우리는 전국을 뒤집어 놓은 15호 태풍 루사로 인해 엄청난 피해를 입고 있습니다. 지난 주일에 여러분들이 정성을 다해 모은 수재의연금은 즉시 총회로 송금했습니다.

“하나님은 미쁘사 너희가 감당하지 못할 시험 당함을 허락하지 아니하시고 시험당할 즈음에 또한 피할 길을 내사 너희로 능히 감당하게 하시느니라”(고전10:13).

이 말씀을 가슴에 새기십시오. 더 깊은 신앙의 뿌리를 내리게 될 줄 믿습니다.

 

1. 우상숭배와 예배

신은 눈으로 볼 수가 없습니다. 세상에는 하나님을 섬기는 성도들이 있는가 하면 우상을 섬기는 자들도 있습니다. 여기는 종교 일반론을 주장하는 자들도 있습니다.

지난 8월 29일 한국 기독교 교회 협의회 강당에서 미국에서 일어났던 9.11 테러 1주년을 맞아 한신대 교수 김경재 원장과 미국인 현각 스님이 강연을 하였는데 요지는 “마음의 문을 열고 서로의 다양성을 인정할 때 진정한 평화가 온다.”는 내용이었습니다.

현각 스님은 말하기를 “내 믿음에만 집착하고 남의 믿음을 인정하지 않는 것 자체가 종교적 폭력이다. 예수께서 말씀하신 ‘하나님의 왕국’이란 불교에서 말하는 해탈 자비와 같다. 예수께서는 ‘진리가 너희를 자유하게 하리라’고 하셨다. 그런데 도대체 그 진리란 무엇인가, 어떻게 하면 찾을 수 있느냐고 가톨릭 신자였던 나는 그런 의문을 갖고 영적 방황을 했으며 책도 수없이 읽었다. 그리고 마침내 참선 수행을 통해 기독교에서 말하는 진리와 불교에서 말하는 진리가 다르지 않음을 깨달았다.”고 했습니다.

거기에 맞추어 김경재 목사는 “왜 종교간에 폭력성이 잠재하고 있는가, ‘자기 붓 대롱으로 본 하늘만이 진짜요, 자기만이 하늘을 모두 본 자라고 우기는 배타적 독선 때문이다.... 이제 우리는 어느 종교가 더 좋은 진리 체계를 가졌는가를 따지는 ‘정교 경쟁’이 아니라 어느 종교가 더 많은 자유 정의 평화 봉사 운동에 복무하는가를 따지는 ‘정행 경쟁’이 되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물론 인간으로서 화목과 질서는 필요합니다. 그런데 인간에게 종교는 왜 필요합니까? 인간에게는 어떠한 이념과 법으로도 도달할 수 없는 영적인 세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현각 스님은 가톨릭에 몸담고 있다가 진리를 깨닫지 못해 불교에 입문하여 깨달은 것이 ‘기독교와 불교의 진리가 다르지 않다는 것’이요. 김경재 목사는 ‘진리보다 행위’를 중요시하였습니다.

이런 것을 두고 ‘종교 혼합주의라’고 말을 합니다. 하나님과 우상이 일치할 수 없으며, 그리스도와 벨리알이 일치할 수 없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바울은 진리를 위해 순교를 각오하고 복음을 전하면서 폭력을 행사하지는 않았습니다. 참된 평화는 비진리와 타협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것입니다.

“그런즉 내 사랑하는 자들아 우상 숭배하는 일을 피하라... 대저 이방인의 제사하는 것은 귀신에게 하는 것이요 하나님께 제사하는 것이 아니니 나는 너희가 귀신과 교제하는 자 되기를 원하지 아니하노라 너희가 주의 잔과 귀신의 잔을 겸하여 마시지 못하고 주의 상과 귀신의 상에 겸하여 참여하지 못하리라”(14, 20-21).

 

2. 자유와 덕

“모든 것이 가하나 모든 것이 유익한 것이 아니요 모든 것이 가하나 모든 것이 덕을 세우는 것이 아니니 누구든지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말고 남의 유익을 구하라”(23-24). 기독교 정신의 또 한 핵심이 이 구절에 함축되어 있는 줄 압니다.

모두가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않고 남의 유익을 위하여 구한다면 우리가 추구하는 이상적인 세상이 만들어질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땅에 이룩되는 하나님의 나라입니다.

지난여름 우리 청년들이 땀 흘리고 돌아온 사역지에서 날아온 한 통의 편지를 소개합니다.

“할렐루야!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평강이 청년회 모든 분들께와 교우님들께 언제나 충만하길 기원합니다. 모든 것을 다 주고 훌쩍 떠나버렸습니다. 오래 오래 더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사람들과 일들이었습니다. 여러분은 아무 일도 아닌 것처럼 그렇게 떠나갔지만 남아있는 우리에게는 충격으로 다가왔고 떠난 후엔 참으로 이상했습니다. 오래 정들었던 사람이 떠난 것처럼 허탈했습니다. 마음에 작은 고동이 울린 감동이었습니다. 아! 이게 사랑이구나 생각했습니다. 예수님은 우리를 위해 당신의 모든 것을 다 주셨습니다. 그리고 십자가를 지시고 떠나가셨습니다. 우리는 그 사랑 앞에 통곡하고 울었습니다. 죄인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은 율법이 아니라 오직 사랑뿐임을 다시 한번 확신합니다.

사랑하는 청년회 여러분! 주님께 이렇게 기도해 봅시다.

‘주님! 그들이 무엇을 원합니까? 건강, 지혜, 주님을 닮은 고상한 인격, 부자입니까? 주님! 다 채워주십시오.’

1년 동안 사역자금을 모으느라 얼마나 힘들었겠어요. 그런데 그것을 한꺼번에 다 쏟아놓고 가셨습니다. 억수같이 쏟아지는 비와 함께...

하루쯤 쉬려고 계획했는데 계곡에서 발이나 담그고 가셨는지요?

그 교회 성도들을 보면 목사님을 알 수 있다던데, 유목사님, 오목사님, 부장집사님, 전도사님 참 감사합니다.

밥하시느라 고생하신 권사님, 집사님, 궂은 일 도맡아 하던 청년들, 현관공사 때문에 세 번씩이나 오셨던 장집사님, 특별히 이발, 미용 하셨던 자매님, 아프던 손과 목은 어떠하신지요? 이름들을 잘 몰라 미안합니다. 임00 회장님, 박00 팀장님, 모든 분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모두 다 건강하십시오. 정말 아름다운 사역이었습니다. 오래 오래 기억에 남을 것입니다. 우리 주님의 크신 은혜가 항상 충만하시길 기도합니다.”

강명애 사모 드림

이 편지는 우리에게 참 가치와 그림자 가치에 대해 생각하게 합니다. 어떤 것이 내게 있어 영원히 자랑할 수 있는 것이고 또 어떤 것이 그림자에 속한 것인지 분별하는 믿음을 가져야 하겠습니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하나님의 기뻐하시는 대로 순종하는 믿음을 가질 때 그 기도를 즐겨 응답해주신다는 것입니다. 세상에서 우리가 하나님께 기도할 수 있다는 이 자원보다 큰 보배가 없다는 사실을 알아야 하겠습니다. 오늘날 과학문명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지금 인터넷을 이용하면 무엇이든지 필요한 자료를 찾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문명이 발전한 세상이라 할지라도 이런 것은 물질적인 세계에 국한된 것입니다. 하지만 기도로 받는 복은 영 육간 우리의 모든 필요를 충족시켜 주심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우리는 누가복음 16장에 나오는 불의한 청지기의 비유를 잘 알고 있습니다. 하루는 주인의 재물을 허비한 일로 청지기의 직분을 박탈하려 했을 때 계약서를 위조한 청지기를 오히려 칭찬했습니다. 우리에게 주는 교훈이 무엇입니까? 주인의 것으로 사후를 대비했다는데 있습니다. 만물의 주인은 내가 아닌 조물주 하나님이심을 믿으셨다면 우리에게 주신 물질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도 깨달아야 하겠습니다.

문호 톨스토이는 “재물은 거름과 같아서 쌓여 있으면 악취가 나지만 뿌려지면 땅을 기름지게 한다”고 했습니다.

빌리 그래함 목사는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두 손을 주셨다. 하나는 받는 손이고, 하나는 주는 손이다.”라고 했습니다.

“나와 같이 모든 일에 모든 사람을 기쁘게 하여 나의 유익을 구하지 아니하고 많은 사람의 유익을 구하여 그들로 구원을 얻게 하라”(33절). .

“할 마음만 있으면 있는 대로 받으실 터이요 없는 것은 받지 아니하시리라”(고후8:12).

“선한 일을 행하고 선한 사업에 부하고 나눠주기를 좋아하며 동정하는 자가 되어... 장래에 자기를 위하여 좋은 터를 쌓아 참된 생명을 취하는 것”(딤전6:18-19)임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3. 나의 양심과 다른 사람의 양심

“무릇 시장에서 파는 것은 양심을 위하여 묻지 말고 먹으라 이는 땅과 거기 충만한 것이 주의 것임이니라 불신자 중 누가 너희를 청하매 너희가 가고자 하거든 너희 앞에 무엇이든지 차려놓은 것은 양심을 위하여 묻지 말고 먹으라”(25-27).

사실 무엇이든지 묻지 않고 먹을 수 있는 믿음이라면 이는 성숙한 믿음입니다. 음식은 음식일 뿐 입으로 들어가는 것이 죄가 될 이유가 없는 것입니다.

“만일 내가 감사함으로 참여하면 어찌하여 내가 감사하다 하는 것에 대하여 비방을 받으리요 그런즉 너희가 먹든지 마시든지 무엇을 하든지 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하라”(30-31).

다만 우상을 인정하면서 제물에 참여한다면 그것은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혹시 여기서 불신가족으로 인해 조상의 제사에 함께 참여하는 분들이 계시다면 그리스도를 위한 순교적인 믿음으로 가족 구원을 위해 기도해야 합니다.

또한 제사하는 것이 참된 효도가 아님을 알았다면 속히 극복하도록 기도하시기 바랍니다. 그런데 신앙이 성숙한 사람일지라도 내 믿음의 잣대가 아닌 다른 사람의 양심을 위해 주의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누가 너희에게 이것이 제물이라 말하거든 알게 한 자와 및 양심을 위하여 먹지 말라 내가 말한 양심은 너희의 것이 아니요 남의 것이니 어찌하여 내 자유가 남의 양심으로 말미암아 판단을 받으리요”(28-29). 무슨 말씀일까요?

내 신앙이 아무리 성숙하다 할지라도 자신의 신앙 잣대로 재지 말고 상대방의 신앙 잣대로 재어야 할 때가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아침 점심 저녁 하루에 세끼 식사를 합니다.

그런데 일상적으로는 가족과 함께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밖에서 손님을 접대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 때는 예의를 잃지 않고 먼저 상대방이 좋아하는 음식이 무엇인지 반드시 물어보아야 하는 것입니다.

만일 자기가 좋아하는 것만 시킨다면 이는 마치 이솝의 우화에 나오는 황새와 여우 격이 되고 말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한 가족일지라도 나이 많은 어른이나 병든 사람, 아이들이 있을 경우에도 상황에 따라 배려를 해야 합니다.

이와 같이 우리의 신앙도 마찬가지입니다. 내 신앙에는 아무런 거리낌이 없다고 하여 다른 사람도 다 나와 같이 생각하리라고 기대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오히려 정반대일 경우도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떤 분은 교회에서 앉는 자리를 두고 다툼을 일삼는 일도 있는 것 같습니다. 내가 양보하고 상대편을 위하는 미덕을 살릴 수 있는데... 또 부담 없이 주고받은 이야기이지만 실족하는 일들도 있을 수 있습니다. 누구를 막론하고 나의 믿음이 다른 사람에게 덕이 되고 그리스도의 향기가 되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모든 것이 가하나 모든 것이 유익한 것이 아니요 모든 것이 가하나 모든 것이 덕을 세우는 것이 아니니 누구든지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말고 남의 유익을 구하라’ 아 멘

 

 

Do not seek your own interests

1 Corinthians 10:14-33 Characters

 

Now we are suffering tremendous damage from Typhoon Rusa, the fifteenth typhoon that turned the whole country upside down. The pension for the disaster that you collected with all your heart last week was immediately remitted to the general assembly.

“God is faithful, who will not allow you to be tempted beyond what you are able, but with the temptation will also make the way of escape, that you may be able to bear it” (1 Corinthians 10:13).

Keep these words in your heart. I believe that it will take root in a deeper faith.

 

1. Idolatry and Worship

God cannot be seen with the eye. There are saints in the world who serve God, and there are people who worship idols. There are also religious generalists here who say that all religions are the same.

On August 29, in the auditorium of the Korean Council of Christian Churches, on the 1st anniversary of the 9/11 terrorist attacks in the United States, Hanshin University professor Kim Kyung-jae and American monk Hyeon-gak gave a lecture. ” was the content.

Hyeon-gak said, “To cling to my own beliefs and not to acknowledge the beliefs of others is itself religious violence. The ‘Kingdom of God’ that Jesus spoke of is the same as liberating mercy in Buddhism. Jesus said, “The truth will set you free.” But what the hell is the truth and how can I find it? As a Catholic, I wandered spiritually with such questions and read countless books. And finally, through meditation practice, I realiz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truth spoken in Christianity and the truth spoken in Buddhism.”

In line with that, Pastor Kim Kyung-jae said, “Why is violence hidden between religions, because of the exclusive self-righteousness that insists that only the sky that he saw with his brush is real, and that he is the only one who has seen all of the sky. It should be a 'political competition' to determine which religion serves more in the freedom, justice and peace service movement, rather than an 'orthodox competi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government has a better system of truth.”

Of course, as humans, we need reconciliation and order. But why do humans need religion? This is because humans have a spiritual world that cannot be reached by any ideology or law. Hyeon-gak, a member of the Catholic Church, did not realize the truth, so he entered Buddhism and realized that ‘the truth of Christianity and Buddhism is not different’. Pastor Kyung-jae Kim emphasized ‘deeds over truth’.

This is what he calls ‘religious syncretism’. God and idols cannot match, and Christ and Belial cannot match. Therefore, Paul was prepared for martyrdom for the sake of the truth and did not use violence while preaching the gospel. True peace cannot be achieved through untruth and compromise.

“Therefore, my beloved, avoid idolatry... For the sacrifices of the Gentiles are made to demons and not to God, and I do not want you to have fellowship with demons. You cannot drink from the cup, neither will you partake of the Lord’s table and the table of demons” (14: 20-21).

 

2. Freedom and Virtue

“All things are, but not all things are beneficial; all things are, but not all things are edifying. Let no one seek his own good, but the good of others” (23-24).

The spirit of Christianity and its code of practice are implied in this passage. If everyone seeks for the benefit of others rather than their own, the ideal world we seek will be created. That is God's kingdom on earth. Here is a letter from our young people who came back from the ministry last summer after sweating.

"Hallelujah!

I pray that the grace and peace of our Lord Jesus Christ will always be filled with all the youth members and alumni. I gave everything and walked away. People and things that will be remembered for a long, long, long time. You left as if nothing had happened, but it came as a shock to the rest of us, and after you left, it was really strange. I was disappointed as if someone I had loved for a long time had left. It was an emotion that made a small beating in my heart. ah! I thought this was love. Jesus gave His everything for us. And he carried the cross and went away. We wept and wept before that love. I am convinced once again that it is only love, not the law, that can change sinners.

Dear young people, Let's pray to the Lord like this.

'Lord! What do they want? Health, wisdom, noble character like the Lord, are you rich? Lord! Please fill it all out.’

How hard must it have been to raise funds for the ministry for a year? But he threw it all away at once. With the torrential rain...

You planned to rest for a day, but did you dip your feet in the valley?

I heard that you can recognize the pastor by looking at the members of that church. I am very grateful to Pastor Yu, Pastor Oh, Deaconess Deacon, and Evangelist.

Kwon, the butler, who had a hard time cooking, the young men who did the dirty work, the butler who came three time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entrance hall, the sister who did a haircut and hairdressing in particular, how was your sore hands and neck? Sorry I don't know the names. I would like to thank Chairman Lim 00, Team Manager Park 00, and everyone. Everyone be healthy. It was a really beautiful job. It will be remembered for a long time. I pray that the great grace of our Lord will always be filled with you.” Kang Myung-ae's mother-in-law

This letter makes us think about true values ​​and shadow values. We must have faith to discern what is something that I can be proud of forever and which belongs to the shadows. The important thing is that when we have the faith to obey God as He pleases, He is willing to answer that prayer. We need to know that there is no greater treasure in the world than this resource that we can pray to God. Today's scientific civilization is advancing beyond imagination. Now, with the Internet, you can find whatever you need. However, even in this advanced civilization, this is limited to the material world. However, please believe that the blessings we receive through prayer will satisfy all our needs, both spiritually and physically.

We know the parable of the unrighteous steward in Luke 16. One day, when he tried to deprive him of his position as a steward for wasting his master's wealth, he rather praised the steward for forging the contract. What is the lesson for us? It is said that it was prepared for the afterlife because it belongs to the owner. If we believe that God is the creator, not me, we need to realize how to use the materials that have been given to us.

The famous writer Tolstoy once said, “Wealth is like manure; when it is piled up, it stinks, but when it is sprinkled, it makes the earth fertile.”

Pastor Billy Graham said, “God has given us two hands. One is the receiving hand and the other is the giving hand.”

“Please, like me, in all things please all men, not my own, but the good of many, that they may be saved” (verse 33). .

“If you have the will, you will receive what you have, and not what you do not have” (2 Corinthians 8:12).

“To do good, to be rich in good works, to share and to be sympathetic... to lay a good foundation for oneself in the future, and to take part in the true life” (1 Timothy 6:18-19).

 

3. My conscience and the conscience of others

“Eat whatever is sold in the market without question for conscience, for the earth and its fulness are the Lord’s. If any unbeliever invites you and you want to go, eat whatever is set before you for conscience without asking” (25). -27).

In fact, a faith that can eat anything without asking is a mature faith. Food is food, but it is not a sin to enter into the mouth.

“If I participate with thanksgiving, why am I being slandered for saying thank you? So whether you eat or drink or whatever you do, do it all for the glory of God” (30-31).

However, if you participate in the sacrifice while acknowledging the idol, that is a problem. If there are people who participate in the sacrifices of their ancestors because of unbelieving families here, you must pray for the salvation of your family with martyrdom for Christ.

Also, if you know that sacrificing is not true filial piety, please pray for it to be overcome as soon as possible. However, even if you are a mature person, there are times when you need to be careful for the conscience of others rather than the standard of your own faith.

“If anyone says to you that this is a sacrifice, do not eat it for the sake of the one who has made it known, and for the sake of conscience; for the conscience I have spoken of is not yours, but others’.

What do you mean? No matter how mature my faith is, there are times when I have to look at the other person's faith instead of my own. We eat three meals a day, breakfast, lunch and dinner. By the way, we are usually with our family, but in some cases we can host guests outside. In such a case, the first thing to do is to ask the other person what their favorite food is without losing their manners.

If he did what he liked, it would be like the stork and the fox in Aesop's fables. Not only that, even if there are elderly adults, sick people, or children in the same family, we need to be considerate.

So is our faith. Just because I have no qualms about my faith, I should not expect others to think like me. Rather, the opposite may be the case.

Some people seem to be arguing over a seat at church. I should have the virtue of making concessions and serving the other side... Also, although it is a story that we exchanged casually, there may be occasions where we may stumble. Whoever it is, I must be careful that my faith be a virtue to others and a fragrance of Christ.

“All things are, but not all things are beneficial. All things are, but not all things are edifying. Let no one seek his own good, but the good of others.” Amen

 

 

나를 본받는 자 되라

고전 11:1-16

 

‘나를 본받는 자 되라’ 누구나 할 수 있는 말이 아닙니다. 그러나 우리도 이러한 믿음으로 살 수 있어야 합니다. 우리의 삶이 하나님 앞에서와 사람 앞에서 한 점 부끄러움이 없이 살아갈 수 있다면 그처럼 복된 일은 없을 것입니다. 노년에 사무엘은 백성 앞에서 한 말입니다.

“내가 뉘 소를 취하였느냐 뉘 나귀를 취하였느냐 누구를 속였느냐 누구를 압제하였느냐 내 눈을 흐리게 하는 뇌물을 뉘 손에서 취하였느냐 그리하였으면 내가 그것을 너희에게 갚으리라”고 하였을 때 백성들은 “아무것도 취한 것이 없나이다”(삼상12:3-4).

우리나라 지도자들 가운데서도 이런 인물이 나왔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마음이 듭니다. 또 지식을 전달하는 교사는 많은데 과연 인격을 존중받을 수 있는 교사가 얼마나 있는지 궁금합니다. 주님께서 삼 년 동안 제자들을 교육한 과정을 살펴보면 지식 교육으로 그친 것이 아니라 전인적인 교육이었습니다.

‘나를 본받는 자 되라’고 말할 수 있었던 바울의 믿음을 보십시오. 이는 결코 자기를 과시하기 위해서이거나 교만해서가 아닙니다.

“형제들아 나는 아직 내가 잡은 줄로 여기지 아니하고 오직 한 일 즉 뒤에 있는 것은 잊어버리고 앞에 있는 것을 잡으려고 푯대를 향하여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님이 위에서 부르신 부름의 상을 위하여 좇아가노라”(빌3:13-14).

이렇게 전진하는 믿음이 중요합니다. 또 바울이 사랑하는 믿음의 아들 디모데에게 당부하신 말씀입니다.

“이 모든 일에 전심전력하여 너의 진보를 모든 사람에게 나타나게 하라 네가 네 자신과 가르침을 삼가 이 일을 계속하라 이것을 행함으로 네 자신과 네게 듣는 자를 구원하리라”(딤전4:15-16).

안일과 나태, 방심은 자신에게뿐 아니라 누구에도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우리는 하루를 살아도 사명 의식을 가지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야 하겠습니다.

 

1. 바울의 칭찬

“너희가 모든 일에 나를 기억하고 또 내가 너희에게 전하여 준 대로 그 유전을 너희가 지키므로 너희를 칭찬하노라”(2절).

본문에서 바울이 무엇을 칭찬하고 있습니까?

1) 바울을 기억한 일입니다.

‘너희가 모든 일에 나를 기억하고’ 했습니다. 양이 목자를 등지고 세상과 가까이 한다는 것보다 더 가슴 아픈 일은 없을 줄 압니다. 우리는 아버지의 품을 떠난 탕자의 비유를 알고 있습니다.

“내가 주 안에서 크게 기뻐함은 너희가 나를 생각하던 것이 이제 다시 싹이 남이니 너희가 또한 이를 위하여 생각은 하였으나 기회가 없었느니라”(빌4:10).

여러해 전에 있었던 지옥희 집사님의 이야기입니다. 어느 날 일을 하다가 “속히 목사님을 불러 달라.”라는 말을 하고는 의식을 잃고 말문도 닫기고 말았습니다. 그때 병원 응급실에 가서 손을 얹고 기도하는 시간 환자가 정신이 돌아와 방언으로 기도하며 하나님께 영광 돌리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것을 보고 남편 강신조 집사님이 한 말입니다.

“목사님! 지집사는 목사님만 찾습니다.” 사실 주님을 사모하는 믿음이 없으면 목사를 찾을 이유가 없지요.

여러분은 새벽 예배 1부, 2부를 자유롭게 참예할 선택의 여지가 있지만 저는 그렇게 할 수가 없습니다. 모두가 기도하기를 쉬는 죄를 범하지 않도록 사명을 가지고 기도해야 하겠습니다. 선한 목자 되시는 주님의 심정을 헤아립시다.

“나는 선한 목자라 내가 내 양을 알고 양도 나를 아는 것이 아버지께서 나를 아시고 내가 아버지를 아는 것 같으니 나는 양을 위하여 목숨을 버리노라”(요10:14-15).

2) 유전을 지킨 일로 인해서였습니다.

‘또 내가 너희에게 전하여 준 대로 그 유전을 너희가 지키므로 너희를 칭찬하노라’ 물론 이것은 유대인들이 지킨 장로의 유전이 아니라 새로운 유전, 곧 그리스도 예수의 복음 안에서 지키는 유전을 뜻하는 것입니다. 기독교는 생명의 종교요 역사적인 종교입니다. 유교와 불교가 어느 때부터입니까? 교주의 탄생으로 말미암아서입니다. 그러나 기독교는 이천 년의 역사가 아니라 인류의 역사 이전부터임을 믿으셔야 합니다. 기독교의 진리는 창조의 근본과 또 영원의 문제를 함께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는 전 국민의 사분의 일이 기독교인이라 하지만 아직도 국가에서 어떠한 행사를 가질 때는 우상을 섬기는 의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 땅에서 우상을 섬기는 풍속이 속히 청산되고 하나님의 나라가 회복되도록 기도해야 하겠습니다. 중요한 것은 참된 경건은 의식에 있는 것이 아니라 능력에 있다는 사실입니다.

 

2. 창조의 질서

“그러나 나는 너희가 알기를 원하노니 각 남자의 머리는 그리스도요 여자의 머리는 남자요 그리스도의 머리는 하나님이시라”(3절).

하나님은 어지러움의 하나님이 아니요 질서의 하나님이십니다. 자연 세계나 인간사회 할 것 없이 조화와 질서가 있을 때 아름다운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육일 동안에 우주만물을 창조하신 역사를 살펴보면 이것이 곧 혼돈과 공허와 흑암에서 빛과 어둠, 윗물과 아랫물, 육지와 바다, 해와 달과 별, 동물과 인간을 조화롭게 창조하심으로 “보시기에 좋았더라” 하셨습니다. 저는 피카소의 그림을 감상할 줄 모릅니다. 어떤 그림은 제가 보기에는 마치 유치원 아이들이 그려놓은 것 같은데 천문학적인 가격이 매겨지는 것을 보면 그것을 아는 자의 눈에는 그만한 가치가 있어서인지 모르겠습니다. 여기서 바울이 말하고 있는 남녀 간의 질서가 무엇입니까? ‘여자의 머리는 남자요 남자의 머리는 그리스도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남자는 머리에 무엇을 쓰고 기도와 예언을 하는 것은 그리스도를 욕되게 하는 일이나 ‘여자가 쓰지 않고 기도와 예언을 하는 것은 그 머리를 욕되게 하는 것으로 반드시 써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남자가 여자에게서 난 것이 아니요 여자가 남자에게서 났으며 또 남자가 여자를 위하여 지음을 받지 아니하고 여자가 남자를 위하여 지음을 받은 것이니 이러므로 여자는 천사들을 인하여 권세 아래 있는 표를 그 머리에 둘지니라”(8-10) 하였습니다.

여기서 언급된 천사에 대해서는 구구한 해석이 있으나 가장 유력한 것은 우리의 예배를 지켜주시는 수호천사를 뜻하다는 것입니다. 또 여자가 머리에 쓰는 것에 대해 천주교에서는 지금까지 지켜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본문이 의미하고 있는 것은 남녀의 구별과 질서에 있는 것입니다.

“만일 여자가 긴 머리가 있으면 자기에게 영광이 되나니 긴 머리는 쓰는 것을 대신하여 주신 연고니라”(15절).

 

3. 창조의 목적

“그러나 주 안에서는 남자 없이 여자만 있지 않고 여자 없이 남자만 있지 아니하니라 여자가 남자에게서 난 것같이 남자도 여자로 말미암아 났으나 모든 것이 하나님에게서 났느니라”(11-12).

기억할 것은 남녀의 관계는 우열을 가리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는 남자는 강하고 여자는 약한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런데 어느 쪽이 더 오래 사는지 수명을 비교해 보십시오. 통계학상으로 보면 6-7년을 여자가 더 오래 삽니다. 뿐만 아니라 부부는 일반적으로 여자보다 남자가 4-5년 연상입니다. 그러고 보니 남자가 십 년을 빨리 죽는 다는 계산입니다. 여성도들에게 당부드립니다. 나보다 십 년 먼저 돌아가실 남자를 측은히 여기십시오. 또 남자들은 그런 줄도 모르고 여자를 함부로 대하지 마십시오. 부부는 서로가 아끼고 사랑하고 섬기는데서 행복을 누릴 수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저는 며칠 전 아침마당을 시청하였는데 장애를 가진 부인을 둔 젊은 부부가 나와서 이야기를 하는데 사랑은 “베푸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행복은 “책임이라”는 말을 했습니다.

옛날이야기입니다. 여덟 살 된 꼬마가 십 년 위의 색시를 맞아 장가를 갔는데 신랑노릇도 못하면서 색시를 여간 괴롭히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하루는 어른들이 집을 비운 시간을 틈타 신랑을 덜렁 들어 지붕 위에 던져버리고 말았습니다. 그때 밖에 나갔던 부모님이 돌아와 그 광경을 보고 깜짝 놀라 “얘, 너 왜 지붕에 올라갔느냐 떨어지면 어떻게 하려고?” 하고 걱정하자 사실대로 이야기를 하면 부인이 야단맞을 것 같아서 “색시야, 큰 호박을 딸까, 작은 호박을 딸까?” 하였더니 어머니는 보기가 너무도 불안했던지 “아무거나 따서 속히 내려오라”고 했는데 그날 밤 꼬마 신랑 하는 말 “색시는 오늘 내가 한마디만 뻥긋했으면 죽을 뻔했지?”했더니 그날부터 자기를 믿어준 꼬마 신랑이 고마워 잘 모시고 살았다는 이야기입니다.

“어리석은 자는 멀리서 행복을 찾지만 현명한 자는 발밑에서 행복을 키운다”(제임스 오펜하임)는 말이 있습니다.

지난 금요일 5여전도회에서 장애인들을 찾아 봉사하는 중에 많은 은혜를 받고 왔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진정한 행복이 무엇일까요? 나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과 함께 할 때 거기서 맛보는 보람일 것입니다. 가장 가까운 사람에게 필요한 사람이 되십시오. 그 가운데 자신이 누릴 복은 생수와 같아서 갈한 영혼을 해갈시켜 줄 것입니다. 그러나 궁극적인 목적은 오직 내 몸에서, 또 부부가 합심하여 그리스도 예수만을 영화롭게 하는 생활을 해야 합니다. 우리는 세상에 빛이요 소금입니다. 우리는 바울의 교훈을 따라 그의 믿음과 삶을 본받아 오늘도 그리스도 향기를 가득히 풍기는 성도들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성찬의 참된 의미

고전 11:17-34

교회마다 성찬 예식에서 많이 인용되는 성경은 바로 본문 말씀이 될 줄 압니다. 구약 시대 이스라엘 백성들은 매년 유월절 절기가 돌아오면 누룩 없는 떡과 쓴 나물, 그리고 양을 잡아서 절기를 지켰는데 여기에 희생된 양은 하나님의 어린 양 예수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것입니다. 이제 우리는 주님께서 친히 십자가에 못 박혀 돌아가셔서 영원하고 완전한 속죄의 제물이 되셨으므로 다시는 율법을 좇아 올리는 그림자 제사를 드릴 필요가 없어진 것입니다.

“저가 저 대제사장들이 먼저 자기 죄를 위하고 다음에 백성의 죄를 위하여 날마다 제사드리는 것과 같이할 필요가 없으니 이는 저가 단번에 자기를 드려 이루셨음이니라 율법은 약점을 가진 사람들을 제사장으로 세웠거니와 율법 후에 하신 맹세의 말씀은 영원히 온전케 되신 아들을 세우셨느니라”(히7:27-28).

 

1. 칭찬받지 못할 일

“내가 명하는 이 일에 너희를 칭찬하지 아니하나니 이는 그들의 모임이 유익이 되지 못하고 도리어 해로움이라”(17절).

여기서 우리는 칭찬받지 못할 일로 인한 부끄러움과 칭찬받는 일로 인한 복이 어떠함을 알고, 어떻게 살아야 마땅할지를 생각해 보아야 하겠습니다. 우리는 서로를 칭찬하는 일에 인색하지 않아야 하며 칭찬받을 일에 게을러서 안 될 것입니다. 이번에 2여전도회에서는 강릉에서 화재로 교회와 사택을 잃은 이동우 전도사님을 도와드렸고 권사회에서는 한 교회를 선정하여 도우려고 하다가 여기저기 도와야 할 교회가 많아서 임원들이 앞장서서 서로들 힘을 모아 세 교회를 돕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이것이 바로 오병이어의 역사로서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일인 줄 믿으시기 바랍니다.

본문에서 바울이 고린도 교인들의 모임에 대해 칭찬할 수 없었던 이유가 무엇일까요?

1) 분쟁입니다.

저는 오늘까지 화목한 가운데서 복을 주신 하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어떤 교회는 남전도회를 두지 않은 교회가 있는가 하면 당회를 조직하지 않는 교회도 있다고 합니다. 이유는 그러한 조직이 교회에 유익이 되지 않기 때문이라 합니다. 그러나 많은 부분에 있어 주님의 일을 하는데 공동체를 통해 얻어지는 힘과 정성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종이 한 장이면 아무런 힘을 받을 수 없으나 그것이 책이 되면 힘을 받게 됩니다. 이같이 선한 일 곧 하나님의 기뻐하시는 사역을 위해서는 모두 하나 된 가운데 모이기에 힘써야 합니다.

바울이 고린도 교인들의 모임에 대해서 칭찬할 수 없었던 이유는 분쟁으로 인해서였습니다.

“첫째는 너희가 교회에 모일 때에 너희 중에 분쟁이 있다 함을 듣고 대강 믿노니 너희 중에 편당이 있어야 너희 중에 옳다 인정함을 받은 자들이 나타나게 되리라”(18-19).

진리는 다수에 있는 것이 아니라 진리에 있음을 믿으셔야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유의 해야 할 것은 하나님께서 누구와 함께 하시는가 하는 것입니다. 역사에 빛을 남긴 위인들의 발자취를 보십시오. 하나님께서는 부정적인 보고를 하여 이스라엘 백성을 낙담시켰던 열 사람이 아니라 하나님의 약속을 믿고 의지한 여호수아와 갈렙을 통해 약속의 땅에 들어갈 수 있었고, 바알과 아세라 목상을 섬기는 팔백오십 명이 아니라 엘리야와 함께하시므로 엘리야를 통해 하늘에서 불이 내리게 되었던 것입니다.

금주 토요일 팔월 한가위 명절을 맞게 됩니다. 예년 같지 않아서 금년에는 더욱 우울하게 보내는 분들이 많으리라 생각됩니다. 일 년에 한 번 돌아오는 명절이라 가족들이 함께 모여서 덕담을 나누며 기쁨을 함께합니다. 그런데 그런 자리가 항상 기쁘고 즐겁기만 한 것은 아니라 분쟁이 생기기도 합니다. ‘가화 만사성’이라는 말과 같이 화목한 가정이 복을 받게 됩니다. 성도들은 우상숭배 하는 데 가담하지 말고 복음을 전해야 합니다.

 

2) 탐욕에 있었습니다.

“그런즉 너희가 함께 모여서 주의 만찬을 먹을 수 없으니 이는 먹을 때에 각각 자기의 만찬을 먼저 갖다 먹으므로 어떤 이는 시장하고 어떤 이는 취함이라”(20-21).

초대 교회는 주님께서 제자들과 유월절 절기를 함께 나누셨으므로 떡과 잔은 식사를 대신 했던 것입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성찬 예식에서 얼마나 배부르게 먹었느냐에 있는 것이 아니라 성찬의 의미를 알고 참여하는데 있는 것입니다.

“너희가 먹고 마실 집이 없느냐 너희가 하나님의 교회를 업신여기고 빈궁한 자들을 부끄럽게 하느냐 내가 너희에게 무슨 말을 하랴 너희를 칭찬하랴 이것으로 칭찬하지 않노라”(22절).

사람이 탐욕에 빠져들면 알지 못하고 죄를 짓기도 합니다. 고린도 교인들을 보십시오. 그들이 은혜를 받지 못해 그렇게 했다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에게 주신 하나님의 은혜를 인하여 내가 너희를 위하여 항상 하나님께 감사하노니 이는 너희가 그의 안에서 모든 일 곧 모든 구변과 모든 지식에 풍족하므로 그리스도의 증거가 너희 중에 견고케 되어 너희가 모든 은사에 부족함이 없이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나타나심을 기다림이라”(고전1:4-7).

은혜를 받은 자, 오랜 신앙 연조를 가진 자, 직분이 있는 자들일수록 더욱 경건 생활에 힘씀고 자신을 엄하게 다스려야 합니다.

 

2. 성찬의 의미

성찬은 그리스도의 살과 피를 기념하는 거룩한 예식입니다.

“내가 너희에게 전한 것은 주께 받은 것이니 곧 주 예수께서 잡히시던 밤에 떡을 가지사 축사하시고 떼어 가라사대 이것은 너희를 위하는 내 몸이니 이것을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식후에 또한 이와 같이 잔을 가지시고 가라사대 이 잔은 내 피로 세운 새언약이니 이것을 행하여 마실 때마다 나를 기념하라 하셨으니 너희가 이 떡을 먹으며 이 잔을 마실 때마다 주의 죽으심을 오실 때까지 전하는 것이니라”(23-26).

성찬에 대해서는 견해를 달리하는 학설이 있지만 지금 그것을 논할 시간이 없습니다. 분명한 것은 내가 먹는 그 떡이 나를 위해 죽으신 그리스도의 살을 기념하는 것이며, 내가 마시는 그 잔은 나를 위해 피 흘려 죽으신 그리스도의 피를 기념하는 것으로서 주님께서 오실 때까지 지켜야 한다는 예식입니다.

우리가 성찬을 통해 주님의 살과 피를 나누는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오병이어의 기적의 떡을 먹은 무리가 주님을 찾았을 때 무리를 보시고 하신 말씀입니다.

“썩는 양식을 위하여 일하지 말고 영생하도록 있는 양식을 위하여 하라 이 양식은 인자가 너희에게 주리니 인자는 아버지 하나님의 인치신 자니라”(요6:27).

“나는 하늘로서 내려온 산 떡이니 사람이 이 떡을 먹으면 영생하리라 나의 줄 떡은 곧 세상의 생명을 위한 내 살이로라”(요6:51).

무리들은 이 진리를 깨닫지 못해서 주님을 떠나고 심지어 제자들도 “이 말씀은 어렵도다 누가 들을 수 있느냐” 하였습니다.

“살리는 것은 영이니 육은 무익하니라 내가 너희에게 이른 말이 영이요 생명이라”(요6:60, 63).

이것이 우리가 깨달아야 할 중요한 진리입니다. 성찬의 참된 의미는 입으로 들어가는 식물에 있는 것이 아니라 성령과 생명에 있음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3. 성찬을 욕되게 하는 죄

1) 주의 몸과 피를 범하는 죄가 됩니다.

하나님께 용납될 수 없는 무서운 죄악은 성역을 세속화시키는 행위입니다. 그러므로 선악과를 먹은 아담과 하와가 에덴에서 축출되었고, 다른 불로 여호와 앞에 드렸던 아론의 두 아들 나답과 아비후가 성막에서 죽은 일이 있었습니다(민26:61).

“그러므로 누구든지 주의 떡이나 잔을 합당치 않게 먹고 마시는 자는 주의 몸과 피를 범하는 죄가 있느니라”(27절).

2) 자기의 죄를 먹고 마시는 죄가 됩니다.

아무리 주릴지라도 삼가야 할 것은 삼가야 합니다. 우리는 주님의 성찬을 욕되게 하는 죄를 범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유아세례를 받았을지라도 입교 문답을 하고 본인의 신앙을 고백한 한 후에 성찬에 참여할 수 있게 한 이유를 알아야 합니다.

“사람이 자기를 살피고 그 후에야 이 떡을 먹고 이 잔을 마실지니 주의 몸을 분변치 못하고 먹고 마시는 자는 자기의 죄를 먹고 마시는 것이니라”(28-29).

주의 성찬을 범한 자가 받은 징벌을 보십시오.

“이러므로 너희 중에 약한 자와 병든 자가 많고 잠자는 자도 적지 아니하니 우리가 우리를 살폈으면 판단을 받지 아니하려니와 우리가 판단을 받는 것은 주께 징계를 받는 것이니”(30-32).

주의 이름을 욕되게 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이제는 내가 산 것이 아니라 은혜로 사는 몸, 먹고 마시고 살아가는 모든 것이 하나님께 영광이 되어야 합니다.

“그런즉 내 형제들아 먹으러 모일 때에 서로 기다리라 만일 누구든지 시장하거든 집에서 먹을지니 이는 너희의 판단 받는 모임이 되지 않게 하려 함이라”(33-34). 아 멘

 

 

Become an imitator of me

1 Corinthians 11:1-16

 

‘Be an imitator of me’ is not something everyone can say. But we, too, must be able to live by this belief. If our lives could be lived without any shame before God and before people, there would be no such thing as such a blessing. In his old age Samuel spoke to the people.

“Which ox did I take, whose donkey did I take, whom I deceived, whom I oppressed, from whose hand did I take the bribe that blinded my eyes? None” (1 Samuel 12:3-4).

I wonder how great it would be if such a person appeared among the leaders of our country. Also, there are many teachers who pass on knowledge, but I wonder how many teachers can be respected for their personality. If we look at the course of the Lord's educating his disciples for three years, it was not just a knowledge education, but a holistic education.

Look at Paul's faith, who could say, 'Be an imitator of me.' This is never to show off or be proud.

“Brothers, I do not yet consider myself to have grasped; but one thing I do, forgetting what is behind, and grasping what is ahead, I press toward the goal for the reward of the above call of God in Christ Jesus” (Philippians 3:13-14). .

This forward-looking belief is important. This is the message that Paul commanded Timothy, the son of faith, whom Paul loved.

“Be wholehearted in all these things, so that your progress may be made visible to all; be careful with yourself and your teachings, and continue doing these things, for by doing these you will save yourself and those who hear you” (1 Timothy 4:15-16).

We must remember that complacency, indolence, and negligence do not benefit anyone, not only ourselves. Even if we live one day, we must give glory to God with a sense of mission.

 

1. Paul's Praise

“I commend you for remembering me in all things, and for keeping the tradition just as I passed it on to you” (verse 2).

What is Paul praising in the text?

1) I remember Paul.

He said, 'You remember me in all things.' There is nothing more heartbreaking than a sheep turning its back on its shepherd and being close to the world. We know the parable of the prodigal son who left his father's bosom.

“I rejoice greatly in the Lord, for what you thought about me now sprouts again, and you also thought about it, but there was no opportunity” (Philippians 4:10).

This is the story of Butler Hee Ji-hee from many years ago. One day while working, he said, “Call the pastor immediately.” He lost consciousness and stopped speaking. Then he went to the hospital emergency room and laid his hands on his hands and saw the praying hour patient come back to his senses and pray in tongues, glorifying God. Seeing this, her husband, Deacon Kang Shin-jo, said this.

"Pastor! The branch deacon is only looking for the pastor.” In fact, if you do not have faith to long for the Lord, there is no reason to seek a pastor.

You have the choice to freely attend the first and second morning worship services, but I can't. We must pray with a mission so that everyone does not commit the sin of ceasing to pray. Let's understand the heart of the Lord who is the Good Shepherd.

“I am the Good Shepherd; I know my sheep and my sheep know me, just as the Father knows me and I know the Father, so I lay down my life for the sheep” (John 10:14-15).

2) It was because of keeping the oil field.

“And I commend you for keeping the tradition as I have passed it on to you.” Of course, this is not the tradition of the elders kept by the Jews, but a new tradition, that is, the inheritance that is kept in the gospel of Christ Jesus. Christianity is the religion of life and the religion of history. When did Confucianism and Buddhism originate? It is because of the birth of the teacher. However, you must believe that Christianity is not 2,000 years of history, but begins before the history of mankind. This is because the truth of Christianity contains both the fundAmentals of creation and the problem of eternity. In our country, a quarter of the people are Christians, but we still have a ritual of worshiping idols when we have certain events in the country. We must pray that the custom of worshiping idols on this earth will be quickly cleared and the kingdom of God will be restored.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rue godliness is in power, not in consciousness.

 

2. Order of Creation

“But I want you to know that the head of every man is Christ, and the head of every woman is man, and the head of Christ is God” (verse 3).

God is not a God of chaos, He is a God of order. Both the natural world and human society are beautiful when there is harmony and order. If we look at the history of God's creation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in six days, it was "and it was good" by creating harmony between light and darkness, upper and lower waters, land and sea, sun and moon and stars, animals and humans out of chaos, emptiness, and darkness. You did. I don't know how to appreciate Picasso's paintings. Some paintings look to me as if they were drawn by kindergarten children, but I don't know if it is because they are worth it in the eyes of those who know them when they see the astronomical price. What is the order between men and women that Paul is talking about here? “The head of a woman is the man, and the head of the man is Christ.” Therefore, if a man prays or prophesies with something on his head, it is dishonoring to Christ.

“For man was not of woman, but woman of man, and man was not made for woman, but woman for man. Therefore the woman shall put on her head the sign of authority through angels.” (8-10) did.

There are many interpretations of the angel mentioned here, but the most influential is that it refers to the guardian angel who guards our worship. In addition, Catholicism has been keeping abreast of what a woman wears on her head. But what the text means is the distinction and order between men and women.

“If a woman has long hair, she is an honor to her, for she is given long hair in exchange for what she wears” (v. 15).

 

3. The purpose of creation

“But in the Lord there is neither man without woman, nor woman without man. As woman is of man, so man is of woman, and all things are of God” (11-12).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 man and a woman is not superior or inferior. In general, men are considered to be strong and women to be weak. But compare the lifespan to see which one lives longer. Statistically, women live 6-7 years longer. In addition, couples generally have men 4-5 years older than women. Come to think of it, it is calculated that men die ten years earlier. I urge women to do it. Have pity on a man who will die ten years before me. Also, men don't even know that, so don't treat women badly. Couples should never forget that happiness comes from caring for, loving, and serving each other. I was watching the morning yard a few days ago, and a young couple with a wife with a disability came out and talked to them. They defined love as “giving,” and said that happiness is “responsibility.”

It's an old story. An eight-year-old girl married her ten-year-old sexi, and she was not even bothering her as she could not even be a groom. So one day, while the adults were away from home, I picked up the groom and threw it on the roof. At that time, my parents, who had gone out, came back and were shocked to see the scene and said, “Son, why did you go up on the roof? If I tell the truth, I think her wife will be scolded. My mother was so anxious to see it, so she said, “Pick something and come down quickly.” That night, the little groom said, “If I spoke just one word today, would you have died?” The little groom thanked him for believing in him It is a story of living well.

There is a saying, “A fool seeks happiness from afar, but a wise man finds happiness at his feet” (James Oppenheim).

Last Friday, at the 5 Women's Evangelism Group, I heard that he had been receiving a lot of grace while volunteering for the disabled. What is true happiness? It will be rewarding to experience there when I am with someone who needs my help. Be the person the person closest to you needs. Among them, the blessing you will enjoy is like living water, which will quench your thirst. However, the ultimate goal is to live a life that only glorifies Christ Jesus in your body and as a married couple. We are the light and salt of the world. We hope that we will follow Paul's teachings and imitate his faith and life, so that we can become saints who are full of the fragrance of Christ today. Amen

 

 

성찬의 참된 의미

고전 11:17-34

교회마다 성찬 예식에서 많이 인용되는 성경은 바로 본문 말씀이 될 줄 압니다. 구약 시대 이스라엘 백성들은 매년 유월절 절기가 돌아오면 누룩 없는 떡과 쓴 나물, 그리고 양을 잡아서 절기를 지켰는데 여기에 희생된 양은 하나님의 어린 양 예수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것입니다. 이제 우리는 주님께서 친히 십자가에 못 박혀 돌아가셔서 영원하고 완전한 속죄의 제물이 되셨으므로 다시는 율법을 좇아 올리는 그림자 제사를 드릴 필요가 없어진 것입니다.

“저가 저 대제사장들이 먼저 자기 죄를 위하고 다음에 백성의 죄를 위하여 날마다 제사드리는 것과 같이할 필요가 없으니 이는 저가 단번에 자기를 드려 이루셨음이니라 율법은 약점을 가진 사람들을 제사장으로 세웠거니와 율법 후에 하신 맹세의 말씀은 영원히 온전케 되신 아들을 세우셨느니라”(히7:27-28).

 

1. 칭찬받지 못할 일

“내가 명하는 이 일에 너희를 칭찬하지 아니하나니 이는 그들의 모임이 유익이 되지 못하고 도리어 해로움이라”(17절).

여기서 우리는 칭찬받지 못할 일로 인한 부끄러움과 칭찬받는 일로 인한 복이 어떠함을 알고, 어떻게 살아야 마땅할지를 생각해 보아야 하겠습니다. 우리는 서로를 칭찬하는 일에 인색하지 않아야 하며 칭찬받을 일에 게을러서 안 될 것입니다. 이번에 2여전도회에서는 강릉에서 화재로 교회와 사택을 잃은 이동우 전도사님을 도와드렸고 권사회에서는 한 교회를 선정하여 도우려고 하다가 여기저기 도와야 할 교회가 많아서 임원들이 앞장서서 서로들 힘을 모아 세 교회를 돕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이것이 바로 오병이어의 역사로서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일인 줄 믿으시기 바랍니다.

본문에서 바울이 고린도 교인들의 모임에 대해 칭찬할 수 없었던 이유가 무엇일까요?

1) 분쟁입니다.

저는 오늘까지 화목한 가운데서 복을 주신 하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어떤 교회는 남전도회를 두지 않은 교회가 있는가 하면 당회를 조직하지 않는 교회도 있다고 합니다. 이유는 그러한 조직이 교회에 유익이 되지 않기 때문이라 합니다. 그러나 많은 부분에 있어 주님의 일을 하는데 공동체를 통해 얻어지는 힘과 정성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종이 한 장이면 아무런 힘을 받을 수 없으나 그것이 책이 되면 힘을 받게 됩니다. 이같이 선한 일 곧 하나님의 기뻐하시는 사역을 위해서는 모두 하나 된 가운데 모이기에 힘써야 합니다.

바울이 고린도 교인들의 모임에 대해서 칭찬할 수 없었던 이유는 분쟁으로 인해서였습니다.

“첫째는 너희가 교회에 모일 때에 너희 중에 분쟁이 있다 함을 듣고 대강 믿노니 너희 중에 편당이 있어야 너희 중에 옳다 인정함을 받은 자들이 나타나게 되리라”(18-19).

진리는 다수에 있는 것이 아니라 진리에 있음을 믿으셔야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유의 해야 할 것은 하나님께서 누구와 함께 하시는가 하는 것입니다. 역사에 빛을 남긴 위인들의 발자취를 보십시오. 하나님께서는 부정적인 보고를 하여 이스라엘 백성을 낙담시켰던 열 사람이 아니라 하나님의 약속을 믿고 의지한 여호수아와 갈렙을 통해 약속의 땅에 들어갈 수 있었고, 바알과 아세라 목상을 섬기는 팔백오십 명이 아니라 엘리야와 함께하시므로 엘리야를 통해 하늘에서 불이 내리게 되었던 것입니다.

금주 토요일 팔월 한가위 명절을 맞게 됩니다. 예년 같지 않아서 금년에는 더욱 우울하게 보내는 분들이 많으리라 생각됩니다. 일 년에 한 번 돌아오는 명절이라 가족들이 함께 모여서 덕담을 나누며 기쁨을 함께합니다. 그런데 그런 자리가 항상 기쁘고 즐겁기만 한 것은 아니라 분쟁이 생기기도 합니다. ‘가화 만사성’이라는 말과 같이 화목한 가정이 복을 받게 됩니다. 성도들은 우상숭배 하는 데 가담하지 말고 복음을 전해야 합니다.

 

2) 탐욕에 있었습니다.

“그런즉 너희가 함께 모여서 주의 만찬을 먹을 수 없으니 이는 먹을 때에 각각 자기의 만찬을 먼저 갖다 먹으므로 어떤 이는 시장하고 어떤 이는 취함이라”(20-21).

초대 교회는 주님께서 제자들과 유월절 절기를 함께 나누셨으므로 떡과 잔은 식사를 대신 했던 것입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성찬 예식에서 얼마나 배부르게 먹었느냐에 있는 것이 아니라 성찬의 의미를 알고 참여하는데 있는 것입니다.

“너희가 먹고 마실 집이 없느냐 너희가 하나님의 교회를 업신여기고 빈궁한 자들을 부끄럽게 하느냐 내가 너희에게 무슨 말을 하랴 너희를 칭찬하랴 이것으로 칭찬하지 않노라”(22절).

사람이 탐욕에 빠져들면 알지 못하고 죄를 짓기도 합니다. 고린도 교인들을 보십시오. 그들이 은혜를 받지 못해 그렇게 했다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에게 주신 하나님의 은혜를 인하여 내가 너희를 위하여 항상 하나님께 감사하노니 이는 너희가 그의 안에서 모든 일 곧 모든 구변과 모든 지식에 풍족하므로 그리스도의 증거가 너희 중에 견고케 되어 너희가 모든 은사에 부족함이 없이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나타나심을 기다림이라”(고전1:4-7).

은혜를 받은 자, 오랜 신앙 연조를 가진 자, 직분이 있는 자들일수록 더욱 경건 생활에 힘씀고 자신을 엄하게 다스려야 합니다.

 

2. 성찬의 의미

성찬은 그리스도의 살과 피를 기념하는 거룩한 예식입니다.

“내가 너희에게 전한 것은 주께 받은 것이니 곧 주 예수께서 잡히시던 밤에 떡을 가지사 축사하시고 떼어 가라사대 이것은 너희를 위하는 내 몸이니 이것을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식후에 또한 이와 같이 잔을 가지시고 가라사대 이 잔은 내 피로 세운 새언약이니 이것을 행하여 마실 때마다 나를 기념하라 하셨으니 너희가 이 떡을 먹으며 이 잔을 마실 때마다 주의 죽으심을 오실 때까지 전하는 것이니라”(23-26).

성찬에 대해서는 견해를 달리하는 학설이 있지만 지금 그것을 논할 시간이 없습니다. 분명한 것은 내가 먹는 그 떡이 나를 위해 죽으신 그리스도의 살을 기념하는 것이며, 내가 마시는 그 잔은 나를 위해 피 흘려 죽으신 그리스도의 피를 기념하는 것으로서 주님께서 오실 때까지 지켜야 한다는 예식입니다.

우리가 성찬을 통해 주님의 살과 피를 나누는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오병이어의 기적의 떡을 먹은 무리가 주님을 찾았을 때 무리를 보시고 하신 말씀입니다.

“썩는 양식을 위하여 일하지 말고 영생하도록 있는 양식을 위하여 하라 이 양식은 인자가 너희에게 주리니 인자는 아버지 하나님의 인치신 자니라”(요6:27).

“나는 하늘로서 내려온 산 떡이니 사람이 이 떡을 먹으면 영생하리라 나의 줄 떡은 곧 세상의 생명을 위한 내 살이로라”(요6:51).

무리들은 이 진리를 깨닫지 못해서 주님을 떠나고 심지어 제자들도 “이 말씀은 어렵도다 누가 들을 수 있느냐” 하였습니다.

“살리는 것은 영이니 육은 무익하니라 내가 너희에게 이른 말이 영이요 생명이라”(요6:60, 63).

이것이 우리가 깨달아야 할 중요한 진리입니다. 성찬의 참된 의미는 입으로 들어가는 식물에 있는 것이 아니라 성령과 생명에 있음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3. 성찬을 욕되게 하는 죄

1) 주의 몸과 피를 범하는 죄가 됩니다.

하나님께 용납될 수 없는 무서운 죄악은 성역을 세속화시키는 행위입니다. 그러므로 선악과를 먹은 아담과 하와가 에덴에서 축출되었고, 다른 불로 여호와 앞에 드렸던 아론의 두 아들 나답과 아비후가 성막에서 죽은 일이 있었습니다(민26:61).

“그러므로 누구든지 주의 떡이나 잔을 합당치 않게 먹고 마시는 자는 주의 몸과 피를 범하는 죄가 있느니라”(27절).

2) 자기의 죄를 먹고 마시는 죄가 됩니다.

아무리 주릴지라도 삼가야 할 것은 삼가야 합니다. 우리는 주님의 성찬을 욕되게 하는 죄를 범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유아세례를 받았을지라도 입교 문답을 하고 본인의 신앙을 고백한 한 후에 성찬에 참여할 수 있게 한 이유를 알아야 합니다.

“사람이 자기를 살피고 그 후에야 이 떡을 먹고 이 잔을 마실지니 주의 몸을 분변치 못하고 먹고 마시는 자는 자기의 죄를 먹고 마시는 것이니라”(28-29).

주의 성찬을 범한 자가 받은 징벌을 보십시오.

“이러므로 너희 중에 약한 자와 병든 자가 많고 잠자는 자도 적지 아니하니 우리가 우리를 살폈으면 판단을 받지 아니하려니와 우리가 판단을 받는 것은 주께 징계를 받는 것이니”(30-32).

주의 이름을 욕되게 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이제는 내가 산 것이 아니라 은혜로 사는 몸, 먹고 마시고 살아가는 모든 것이 하나님께 영광이 되어야 합니다.

“그런즉 내 형제들아 먹으러 모일 때에 서로 기다리라 만일 누구든지 시장하거든 집에서 먹을지니 이는 너희의 판단 받는 모임이 되지 않게 하려 함이라”(33-34). 아 멘

 

 

The True Meaning of the Sacrament

1 Corinthians 11:17-34

I know that the Bible that is quoted a lot in the sacrAment service in each church is the main text. In the Old TestAment times, the Israelites kept the feast by slaughtering unleavened bread, bitter herbs, and lambs every year when the Passover feast came. The lamb sacrificed here symbolizes the Lamb of God, Jesus Christ. Now, since the Lord Himself died on the cross and became the eternal and perfect atoning sacrifice, there is no need to offer the shadow sacrifice according to the law again.

“It is not necessary for him to do as those high priests sacrifice daily, first for their own sins and then for the sins of the people, for he did this by offering himself once for all. The word of the oath hath appointed a son made perfect forever” (Hebrews 7:27-28).

 

1. Something not to be praised

“I do not commend you for this thing which I am commanding you, for their assembly is not profitable, but harmful” (verse 17).

Here we have to think about how we should live, knowing what it is like to be ashamed of things that are not praised and what blessings come from being praised. We should not be stingy in praising each other, and we should not be lazy in receiving praise. This time, in the 2nd Women’s Evangelism Association, we helped Rev. Lee Dong-woo, who lost his church and house due to a fire in Gangneung, and Kwon Sae-ae was trying to select one church to help. I heard that it was. Please believe that this is the work that God is pleased with as the history of Obyeong-ear.

Why couldn't Paul praise the Corinthian congregation in the text?

1) Dispute.

I give thanks to God for blessing me in the midst of reconciliation up to this day. Some churches say that some churches do not have a Southern Evangelical Church, while others do not organize a session. The reason is that such an organization is not beneficial to the church. However, in many areas, the strength and devotion gained through the community are very important in doing the Lord's work. A single piece of paper will not receive any strength, but if it becomes a book, you will receive strength. For such a good work, that is, the work that pleases God, we must all strive to gather together as one.

The reason Paul could not commend the Corinthian congregation was because of a dispute.

“First, when you gather in the church, when you hear that there are strife among you, I roughly believe that there must be a partisanship among you so that those who are approved among you will appear” (18-19).

You must believe that the truth is not in the majority, but in the truth. Therefore, what we need to pay attention to is who God is with. See the footsteps of great men who left light in history. God was able to enter the Promised Land through Joshua and Caleb, who believed and relied on God’s promises, not the ten who discouraged the Israelites by reporting negative reports. Fire came down from heaven through

This Saturday, we will celebrate the Lunar New Year holiday in August. It's not like last year, so I think there will be many more depressed people this year. It is a holiday that comes once a year, so families get together to share blessings and share joy. However, such events are not always pleasant and enjoyable, and conflicts may arise. As the saying goes, ‘everything in harmony’, a harmonious family will be blessed. The saints should not engage in idolatry and preach the gospel.

 

2) It was greedy.

“Therefore, you cannot gather together to eat the Lord's Supper, because each one of you eats his own supper first, and some are hungry and some are drunk” (20-21).

In the early church, the Lord shared the Passover feast with His disciples, so bread and cup were substituted for meals. However, what is important is not how much you ate at the sacrAment ceremony, but what it means to know and participate in the sacrAment.

“Do you have no house to eat and drink? Do you despise the church of God and put the poor to shame? What shall I say to you?

When a person falls into greed, he or she commits sins without knowing it. Look at the Corinthians. It would be difficult to say that they did so without favor.

“I always thank God for you for the grace of God given to you in Christ Jesus, for in him you are rich in all things, every word and every knowledge, so that the testimony of Christ may be established among you, so that you can receive all gifts. waiting for the appearing of our Lord Jesus Christ” (1 Corinthians 1:4-7).

Those who have received grace, those who have a long history of faith, and those with positions of office, should strive to lead a godly life and govern themselves more strictly.

 

2. The Meaning of the Communion

The Lord's Supper is a holy celebration of the body and blood of Christ.

“What I have given you is from the Lord, that he took bread on the night that the Lord Jesus was being arrested, gave thanks, and broke it, saying, “This is my body for you; do this in remembrance of me.” is the new covenant in my blood, do this in remembrance of me whenever you drink it. Whenever you eat this bread and drink this cup, you proclaim the Lord's death until he comes” (23-26).

There are differing views on the sacrAment, but I do not have time to discuss them now. What is clear is that the bread I eat commemorates the flesh of Christ who died for me, and the cup I drink commemorates the blood of Christ who shed his blood for me and is a ceremony to be kept until the Lord comes.

It is important that we share the body and blood of the Lord through the sacrAment. These are the words that the crowd who ate the miracle bread of five fish saw the crowd when they sought the Lord and spoke.

“Do not work for food that perishes, but for food that endures to eternal life, which the Son of Man will give you, whom God the Father has sealed” (John 6:27).

“I am the living bread that came down from heaven; if anyone eats this bread, he will live forever. The bread I will give is my flesh for the life of the world” (John 6:51).

The crowds did not understand this truth, so they left the Lord, and even the disciples said, “These words are difficult; who can hear them?”

“It is the Spirit that gives life; the flesh is of no avail. The words I have spoken to you are spirit and are life” (John 6:60, 63).

This is an important truth we must realize. Please believe that the true meaning of the Eucharist is not in the food that goes into the mouth, but in the Spirit and life.

 

3. The sin of profaning the sacrament

1) It becomes a sin of transgressing the body and blood of the Lord.

A terrible sin unacceptable to God is the secularizing of sanctuary. Therefore, Adam and Eve, who ate the forbidden fruit, were expelled from Eden, and Aaron's two sons, Nadab and Abihu, who had sacrificed themselves with different fires before the Lord, died in the tabernacle (Numbers 26:61).

“Therefore, whoever eats or drinks the bread or the cup of the Lord is guilty of violating the body and blood of the Lord” (verse 27).

2) His own sin of eating and drinking becomes a sin.

No matter how hungry you are, you should refrain from what you should refrain from. We must not commit the sin of profaning the Lord's Supper. Even if you were baptized as an infant, you should know the reason why you were allowed to participate in the Lord's Supper after you answered the question and confessed your faith.

“A man shall examine himself, and then he shall eat this bread and drink this cup: for he who eats and drinks without knowing the body of the Lord is eating and drinking in his own sin” (28-29).

Look at the punishment that was given to those who broke the Lord's Supper.

“Therefore, many of you are weak and sick, and there are many who sleep. If we have looked at us, we will not be judged; but when we are judged, the Lord is chasing us” (30-32).

Be careful not to profane your name. It is no longer I who live, but the body that I live by grace, and everything that I eat, drink and live should give glory to God.

“Therefore, my brethren, wait for one another when you gather to eat. Amen

 

 

유월절과 성만찬

고전11:23-34, 마26:17-29

 

“무교절의 첫날에 제자들이 예수께 나아와서 이르되 유월절 잡수실 것을 우리가 어디서 예비하기를 원하시나이까 이르시되 성안 아무에게 가서 이르되 선생님 말씀이 내 때가 가까왔으니 내 제자들과 함께 유월절을 네 집에서 지키겠다 하시더라 하라 하신대 제자들이 예수의 시키신 대로 하여 유월절을 예비하였더라”(마26:17-19).

무교절 곧 유월절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맥추절, 수장절과 함께 매년 지키라 명하신 삼대 절기입니다. 다른 절기와 차이가 있다면 유월절은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에서 해방 받은 그날을 기념하여 누룩 넣지 않은 떡과 쓴 나물을 먹고 또 양을 잡아 칠일 동안 축제의 절기로 지켰던 것입니다. 유월절의 참된 의미는 주님의 살과 피를 기념하여 떡과 포도주를 나누는 것입니다. 여기서 우리가 기억할 것은 실체와 그림자의 관계입니다. 율법에 따르는 모든 의식은 그리스도에 대한 상징적인 진리를 증거하고 있는 것입니다.

“율법은 장차 오는 좋은 일의 그림자요 참 형상이 아니므로 해마다 늘 드리는 바 같은 제사로는 나아오는 자들을 언제든지 온전케 할 수 없느니라”(히10:1).

그러므로 어떠한 의식이든지 그리스도가 안 계신 의식으로 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1. 유월절 양으로 오신 주님

누구든지 세상에 태어나는 그날부터 죽음이라는 운명을 피해갈 수 없는 것입니다.

“한 번 죽는 것은 사람에게 정하신 것이요 그 후에는 심판이 있으리니”(히9:27).

물론 죽음에 관한한 다른 피조물도 동일합니다. 또 그날은 예고 없이 찾아옵니다. 이 죽음은 의사에게도, 돈이 많은 부자나 체력을 단련한 운동선수에게도, 권력이 있는 자들에게도 동일하게 찾아옵니다. 이렇게 불가피한 것이 죽음인데 사람이 사는 동안은 생에 대한 애착을 가지고 살아갑니다.

어떤 사형수의 이야기입니다. 형장으로 끌려가다가 계단에서 넘어졌는데 일어나며 하는 말이 “자칫했으면 죽을 뻔했다!”

생명은 귀중합니다. 유대인들이 말하는 의인의 이야기입니다.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이 제작한 “쉰들러 리스트”의 주인공 쉰들러는 나치가 점령한 2차 대전 당시 독일인으로서 일천이백 명의 유대인을 살려낸 사람입니다. 그는 부인 에밀리와 함께 아우슈비츠 수용소에 수감된 유대인 일천 명을 독일군 무기 제작공장에서 일을 시킨다는 명분으로 빼돌려 좋은 숙소와 영양가 높은 음식을 제공했습니다. 그렇게 하기까지 그는 자신의 전 재산을 쏟아부었고 또 목숨이 위태로운 고비도 넘겼습니다. 그 후 독일군이 연합군에게 밀리자 나치는 그 일천 명을 아우슈비츠로 돌려보내 가스실에서 학살하려 했지만 쉰들러 부부는 무기 공장에 더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다는 구실로 오히려 죽음을 기다리는 유대인 이백 명을 또 빼내어 보호하다가 1945년 소련군의 진주와 함께 전원을 도망시켜 살려내었다고 합니다. 어떤 자는 무고한 사람을 죽이는데 이렇게 생명을 살려내는 일을 했으니 의로운 일이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완전한 구원이 아니라 수명을 연장시켰을 뿐입니다.

기억할 것은 내게 닥칠 죽음이 언제일지, 또 어떻게 그날을 맞게 될지 아무도 알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날을 대비해야 합니다.

“지혜자의 마음은 초상집에 있으되 우매자의 마음은 연락하는 집에 있느니라”(전7:4).

다만 동일한 죽음일지라도 오늘을 사는 삶의 모습에 따라서 영원한 어둠에 떨어질 자가 있고, 빛으로 남을 자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천 년 전 골고다 언덕에 세워진 세 개의 십자가의 죽음이 인류에게 주는 교훈입니다.

1) 그리스도 대속의 죽음

“그가 찔림은 우리의 허물을 인함이요 그가 상함은 우리의 죄악을 인함이라 그가 징계를 받음으로 우리가 평화를 누리고 그가 채찍에 맞음으로 우리가 나음을 입었도다”(사53:5).

2) 그리스도의 대속으로 구원받은 죽음

사람이 사는 동안 어느 땐들 중요하지 않은 때가 있겠습니까마는 그중에도 더욱 중요한 순간은 임종일 것입니다. 숨질 때 믿음을 잃지 않도록 기도해야 합니다. 또 죽음을 앞두고도 구원받을 기회가 있다는 사실을 믿으셔야 합니다. 골고다 언덕에 있는 세 십자가 중 가운데는 그리스도의 십자가요. 양편에는 강도의 십자가입니다. 한편 강도는 죽는 순간에 그리스도를 영접하여 구원을 받았습니다.

3) 영원한 죽음

한편 강도는 주님께서 피 흘리실 때 가장 가까운 곳에서 목도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는 그리스도의 대속을 믿지 않았을 뿐 아니라 도리어 죽어 가는 순간에도 주님을 희롱하므로 구원 받을 기회를 영원히 잃고 말았습니다.

그리스도와 무관한 삶을 살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어떠한 경우도 그리스도 없는 삶은 무의미하고, 그리스도 없는 죽음은 소망이 없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합니다.

 

2. 배신자와 나눈 성찬

“저물 때에 예수께서 열두 제자와 함께 앉으셨더니 그들이 먹을 때에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 중에 한 사람이 나를 팔리라 하시니 그들이 심히 근심하여 각각 여짜오되 주여 내니이까 대답하여 이르시되 나와 함께 그릇에 손을 넣는 그가 나를 팔리라 인자는 자기에게 대하여 기록된 대로 가거니와 인자를 파는 그 사람에게는 화가 있으리로다 그 사람은 차라리 나지 아니하였더면 제게 좋을 뻔하였느니라 예수를 파는 유다가 대답하여 이르되 랍비여 내니이까 대답하시되 네가 말하였도다 하시니라”(마26:20-25)

이것이 유다가 회개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였으나 유다는 이미 양심에 화인을 맞았으므로 아무런 가책도, 죄의식도 없었습니다. 주님께서 말씀하신 대로 자기가 하는 것을 자기가 알지 못하는 것은 이미 마귀의 노예로 전락되었기 때문입니다. 마귀의 구원을 운운하지 않은 것 같이 가룟 유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러한 배신자에게는 성찬이 어떠한 의미나 효험도 없으며 변화도 없는 것입니다.

3. 성찬의 참된 의미

“그들이 먹을 때에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제자들을 주시며 이르시되 받아 먹으라 이것이 내 몸이니라 하시고 또 잔을 가지사 사례하시고 그들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너희가 다 이것을 마시라 이것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마26:26-28).

‘먹으라’ ‘마시라’ 이 성찬은 오병이어로 오천 명을 배불린 육신의 양식과는 의미를 달리하고 있는 것입니다.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가 나를 찾는 것은 표적을 본 까닭이 아니요 떡을 먹고 배부른 까닭이로다 썩는 양식을 위하여 일하지 말고 영생하도록 있는 양식을 위하여 하라 이 양식은 인자가 너희에게 주리니 인자는 아버지 하나님의 인치신 자니라”(요6:26-27).

성찬은 그리스도의 살과 피를 믿음으로 나누는 신령한 양식입니다. 성찬은 눈으로 볼 수 있는 진리요 입으로 먹을 수 있는 은혜의 양식입니다. 우리는 그리스도 대속의 은총을 성찬을 통해 받게 되므로 이 성찬에 참여하는 자가 복이 있음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내가 곧 생명의 떡이니 내게 오는 자는 결코 주리지 아니할 터이요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리라”(요6:35).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인자의 살을 먹지 아니하고 인자의 피를 마시지 아니하면 너희 속에 생명이 없느니라 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자는 영생을 가졌고 마지막 날에 내가 그를 다시 살리리니 내 살은 참된 양식이요 내 피는 참된 음료로다”(요6:53-55).

이 성찬을 통해 나는 주 안에 거하고 그리스도께서 내 안에 계시게 됨을 믿으셔야 합니다. 이는 성찬을 통해 영적인 삶을 누리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고린도 교회는 배불리기 위해 성찬에 참여하는 자들이 있었습니다. 그러한 자는 그리스도의 살과 피를 욕되게 하는 자들이었습니다.

“너희가 먹고 마실 집이 없느냐 너희가 하나님의 교회를 업신여기고 빈궁한 자들을 부끄럽게 하느냐 내가 너희에게 무슨 말을 하랴 너희를 칭찬하랴 이것으로 칭찬하지 않노라”(고전11:22).

“그런즉 내 형제들아 먹으러 모일 때에 서로 기다리라 만일 누구든지 시장하거든 집에서 먹을지니 이는 너희의 판단 받는 모임이 되지 않게 하려 함이라”(고전11:33-34).

주의 떡이나 잔을 합당치 않게 먹고 마시는 일로 주의 몸과 피를 범하는 죄를 범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사람이 자기를 살피고 그 후에야 이 떡을 먹고 이 잔을 마실지니 주의 몸을 분변치 못하고 먹고 마시는 자는 자기의 죄를 먹고 마시는 것이니라”(고전11:28-29).

이제는 내가 산 것이 아니라 내 안에 그리스도로 사는 몸이 되었으면 오늘을 어떻게 살아야 마땅한지 생각하고 주님의 뜻을 이룩하고 영원한 영광에 이르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Passover and Holy Communion

1 Corinthians 11:23-34, Matthew 26:17-29

 

“On the first day of the Feast of Unleavened Bread, the disciples came to Jesus and said to him, “Where do you want us to prepare the Passover meal?” He said to him, “Go to someone in the city and say, ‘Teacher has said that my time is near; I will keep the Passover at your house with my disciples. And the disciples did as Jesus had commanded, and prepared the Passover” (Matthew 26:17-19).

The Feast of Unleavened Bread, or Passover, is the three major festivals that the Israelites were commanded to observe every year along with the Feast of Harvest and Ingathering. Unlike other festivals, the Passover was to commemorate the day the people of Israel were liberated from Egypt, ate unleavened bread and bitter herbs, and slaughtered sheep and kept it as a festival for seven days. The true meaning of the Passover is the sharing of bread and wine in remembrance of the flesh and blood of the Lord. What we need to remember her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ubstance and shadow. Every ordinance according to the law bears witness to the symbolic truth about Christ.

“Because the law is a shadow of the good things to come, and not the true image, it is impossible to perfect them at any time by the annual sacrifices that are always offered” (Hebrews 10:1).

Therefore, we must not forget that any ordinance can cease to be an ordinance in the absence of Christ.

 

1. The Lord who came as the Passover Lamb

No one can escape the fate of death from the day they are born.

“It is appointed for man to die once, and after that comes judgment” (Hebrews 9:27).

Of course, the same is true for other creatures when it comes to death. And that day comes without notice. This death comes equally to doctors, to the wealthy and to the physically-trained athletes, and to those in power alike. Death is such an inevitable thing, and as long as a person lives, he lives with attachment to his life.

This is the story of some death row inmate. As he was being dragged to his prison, he fell down the stairs, and he got up and said, “I would have died if I had done it!”

Life is precious. This is the story of the righteous, according to the Jews. Schindler, the protagonist in Steven Spielberg's "Schindler's List," was a German during the Nazi-occupied World War II who saved 1,200 Jews. He and his wife, Emily, diverted 1,000 Jews imprisoned in Auschwitz to work in a German weapons factory, providing them with good accommodation and nutritious food. In doing so, he had poured out all of his fortune and had even crossed the hurdle that put his life at risk. After the Germans were pushed back by the Allies, the Nazis sent the 1,000 back to Auschwitz to slaughter in the gas chambers, but the Schindlers took out and protected another two hundred Jews who were waiting to die on the pretext that the weapons factory needed more labor. It is said that all of them escaped together with Jinju of the Soviet army and survived. Some people kill innocent people, but they saved lives in this way, so it is a righteous thing to do. However, this is not a complete salvation, but only prolongs life.

The thing to remember is that no one knows when or how I will face my death. Therefore, we must prepare for that day.

“The heart of the wise is in a house of images, but the heart of a fool is in a house of communication” (Ecclesiastes 7:4).

However, even in the same death, there are those who will fall into eternal darkness and those who will remain as light, depending on the way of life we ​​live today.

The death of the three crosses erected on the hill of Golgotha ​​2,000 years ago is a lesson for mankind.

1) Christ's atoning death

“He was pierced for our transgressions, he was bruised for our iniquities; the punishment that brought us peace; and by his wounds we are healed” (Isaiah 53:5).

2) Death saved through the atonement of Christ

There are times in a person's life when they are not important, but the most important moment among them will be at the end of the day. We must pray so that we do not lose faith when we die. You must also believe in the fact that there is an opportunity to be saved even before death. Among the three crosses on Golgotha ​​Hill is the cross of Christ. On both sides are crosses of robbers. Meanwhile, the thief received Christ at the moment of his death and was saved.

3) eternal death

Meanwhile, the robber witnessed the Lord's blood in the nearest place. However, he not only did not believe in the atonement of Christ, but instead mocked the Lord even at the moment of his death, so he lost his chance of being saved forever.

Be careful not to lead a life apart from Christ. In any case, we must realize that life without Christ is meaningless, and death without Christ is hopeless.

 

2. Communion with the traitor

“It was evening while Jesus was sitting with the twelve, and while they were eating, he said to them, “Truly, I say to you, one of you will betray me.” They were very sad and said to each one, “Lord, is it me?” He answered, “Is it me, Lord?” He who puts in will betray me. The Son of Man goes as it is written about him, but woe to the man who betrays the Son of Man. It would have been better for him if he had not been born. Judas, who betrayed Jesus, answered and said, Rabbi, am I me? “You have spoken.” (Matthew 26:20-25)

This was Judas' last chance to repent, but he had no remorse or guilt because his conscience had already been burned. As the Lord said, he does not know what he is doing because he has already fallen into slavery to the devil. Just as they did not talk about the salvation of the devil, so it is with Judas Iscariot. For these traitors, the sacrAment has no meaning, no efficacy, and no change.

3. The True Meaning of the Eucharist

“As they were eating, Jesus took bread, blessed it, broke it, and gave it to his disciples, saying, “Take and eat; this is my body.” And he took the cup, gave thanks, and gave it to them, saying, “Drink it, all of you. It is my blood of the covenant, which is shed for you” (Matthew 26:26-28).

'Eat' and 'Drink' This sacrAment has a different meaning from the food of the flesh that satisfies 5,000 people in the word 'Obyeong'.

“Truly, truly, I say to you, you seek me, not because you saw signs, but because you ate the loaves and were satisfied. He is the one sealed by God” (John 6:26-27).

The Lord's Supper is the spiritual food of sharing the body and blood of Christ through faith. The Lord's Supper is the truth we can see with our eyes and the food of grace that we can eat with our mouths. We receive the grace of Christ's atonement through the sacrAment, so please believe that those who participate in this sacrAment are blessed.

“I am the bread of life; whoever comes to me will never hunger, and whoever believes in me will never thirst” (John 6:35).

“Truly, truly, I say to you, unless you eat the flesh of the Son of Man and drink his blood, you have no life in you. He who eats my flesh and drinks my blood has eternal life, and I will raise him up on the last day. True food, and my blood is true drink” (John 6:53-55).

I must believe that through this sacrAment I abide in the Lord and Christ dwells in me. This means that we can enjoy a spiritual life through the sacrAment. In the Corinthian church, there were those who took part in the Lord's Supper to be satisfied. Such were those who dishonored the flesh and blood of Christ.

“Do you have no house to eat and drink? Do you despise the church of God and put to shame the needy? What shall I say to you?

“Therefore, my brethren, wait for one another when you gather to eat.

We must be careful not to commit the sin of violating the body and blood of the Lord by eating and drinking the Lord's bread or cup unworthily.

“A man shall examine himself, and then he shall eat of this bread and drink of this cup: for he who eats and drinks without discerning the body of the Lord is eating and drinking in his own sins” (1 Corinthians 11:28-29).

Now that I have become a body that lives as Christ in me, rather than I live, I pray for the Lord's will to be accomplished and eternal glory. Amen

 

 

유월절과 성만찬

고전 11:23-34,마 26:17-29

 

“무교절의 첫 날에 제자들이 예수께 나아와서 이르되 유월절 잡수실 것을 우리가 어디서 예비하기를 원하시나이까 이르시되 성안 아무에게 가서 이르되 선생님 말씀이 내 때가 가까왔으니 내 제자들과 함께 유월절을 네 집에서 지키겠다 하시더라 하라 하신대 제자들이 예수의 시키신 대로 하여 유월절을 예비하였더라”(마26:17-19).

무교절 곧 유월절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맥추절, 수장절과 함께 매년 지키라 명하신 삼대 절기입니다. 다른 절기와 차이가 있다면 유월절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애굽에서 해방 받은 그날을 기념하여 누룩을 넣지 않은 떡과 쓴 나물을 먹고 또 양을 잡아 칠일 동안 축제의 절기로 지켰던 것입니다. 유월절의 참된 의미는 주님의 살과 피를 기념하여 떡과 포도주를 나누는 것입니다. 여기서 우리가 기억할 것은 실체와 그림자의 차이입니다. 율법에 따르는 모든 의식은 그리스도에 대한 상징적인 진리를 증거하고 있는 것입니다.

“율법은 장차 오는 좋은 일의 그림자요 참 형상이 아니므로 해마다 늘 드리는 바 같은 제사로는 나아오는 자들을 언제든지 온전케 할 수 없느니라”(히10:1).

그러므로 어떠한 의식에서든지 그리스도 안 계신 의식은 형식으로 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1. 유월절 양으로 오신 주님

누구든지 세상에 태어나면부터 죽음이라는 예정된 운명을 피해갈 수 없는 것입니다.

“한 번 죽는 것은 사람에게 정하신 것이요 그 후에는 심판이 있으리니”(히9:27).

물론 죽음에 관한한 다른 피조물도 동일하며 또 예고 없이 찾아옵니다. 이 죽음은 병을 다스리는 의사에게도, 돈이 많은 부자나 체력을 자랑하는 운동선수에게도, 또 높은 지위를 자랑하는 권력자들에게도 동일하게 찾아옵니다. 이렇게 불가피한 것이 죽음일지라도 사람이 사는 동안은 생명에 대한 애착심을 가지고 살아갑니다.

어떤 사형수의 이야기입니다. 형장으로 끌려가다가 계단에서 넘어졌는데 일어나며 하는 말 “자칫했으면 죽을 뻔했다!”

이렇게 생명은 귀중합니다. 유대인들이 말하는 의인의 이야기입니다.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이 제작한 “쉰들러 리스트”의 주인공 쉰들러는 나치가 점령한 2차 대전 당시 독일인으로서 일천 이백 명의 유대인을 살려낸 사람입니다. 그는 부인 에밀리와 함께 아우슈비츠 수용소에 수감된 유대인 일천 명을 독일군 무기 제작공장에서 일 시킨다는 명분으로 빼돌려 좋은 숙소와 영양가 높은 음식을 제공했습니다. 그렇게 하기까지 그는 자신의 전 재산을 쏟아 부었고 또 목숨이 위태로운 고비도 넘겼습니다. 그 후 독일군이 연합군에게 밀리자 나치는 그 일천 명을 아우슈비츠로 돌려보내 가스실에서 학살하려 했지만 쉰들러 부부는 무기 공장에 더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다는 구실로 오히려 죽음을 기다리는 유대인 이백 명을 더 빼내어 보호하다가 1945년 소련군의 진주와 함께 전원을 도망시켜 살려내었다고 합니다. 어떤 자는 무고한 사람을 죽이는데 이렇게 생명을 살려내는 일을 했으니 의로운 일이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완전한 구원이 아니라 수명을 얼마동안 연장시켰을 뿐입니다.

기억할 것은 내게 닥칠 죽음이 언제일지, 또 어떻게 그 날을 맞게 될지 아무도 알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 날을 대비해야 합니다.

“지혜자의 마음은 초상집에 있으되 우매자의 마음은 연락하는 집에 있느니라”(전7:4).

다만 동일한 죽음일지라도 오늘의 삶의 모습에 따라서 영원한 어둠에 떨어질 자가 있고, 빛으로 남을 자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천년 전 골고다 언덕에 세워진 세 개의 십자가가 인류에게 주는 교훈입니다.

1) 그리스도의 대속의 죽음

“그가 찔림은 우리의 허물을 인함이요 그가 상함은 우리의 죄악을 인함이라 그가 징계를 받음으로 우리가 평화를 누리고 그가 채찍에 맞음으로 우리가 나음을 입었도다”(사53:5).

2) 구원 받은 죽음

사람이 사는 동안 어느 땐들 중요하지 않은 때가 있겠습니까마는 그 중에도 더욱 중요한 순간은 임종을 맞을 때입니다. 숨질 때 믿음을 잃지 않도록 기도해야 합니다. 또 죽음을 앞에 놓고도 구원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믿으셔야 합니다. 골고다에는 세 십자가가 있었습니다. 가운데는 그리스도의 십자가요. 양편에는 강도의 십자가입니다. 우편 강도는 죽는 순간에 그리스도를 영접하여 구원을 받았습니다.

3) 영원한 죽음

좌편 강도는 주님께서 피 흘리실 때 가장 가까운 곳에서 목도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는 그리스도의 대속을 믿지 않았을 뿐 아니라 도리어 죽어 가는 순간에도 주님을 희롱하므로 구원 받을 기회를 영원히 잃고 말았습니다.

그리스도와 무관한 삶을 살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어떠한 경우도 그리스도 없는 삶은 무의미하고, 그리스도 없는 죽음은 소망이 없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합니다.

 

2. 배신자와 나눈 성찬

“저물 때에 예수께서 열두 제자와 함께 앉으셨더니 그들이 먹을 때에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 중에 한 사람이 나를 팔리라 하시니 그들이 심히 근심하여 각각 여짜오되 주여 내니이까 대답하여 이르시되 나와 함께 그릇에 손을 넣는 그가 나를 팔리라 인자는 자기에게 대하여 기록된 대로 가거니와 인자를 파는 그 사람에게는 화가 있으리로다 그 사람은 차라리 나지 아니하였더면 제게 좋을 뻔하였느니라 예수를 파는 유다가 대답하여 이르되 랍비여 내니이까 대답하시되 네가 말하였도다 하시니라”(마26:20-25)

이것이 유다가 회개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였으나 유다는 이미 양심에 화인을 맞았으므로 양심에 가책도, 죄의식도 없었습니다. 주님의 말씀대로 자기가 하는 것을 자기가 알지 못하는 것은 이미 마귀의 노예로 전락되었기 때문입니다. 성경에는 마귀에 대해 구원을 운운하지 않은 것과 같이 가룟 유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러한 배신자에게는 주님의 살과 피를 나누는 그 성찬이 어떠한 의미나 효험도 없으며 심령의 변화도 일어나지 못하는 것입니다.

3. 성찬의 참된 의미

“그들이 먹을 때에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제자들을 주시며 이르시되 받아 먹으라 이것이 내 몸이니라 하시고 또 잔을 가지사 사례하시고 그들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너희가 다 이것을 마시라 이것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마26:26-28).

‘먹으라’ ‘마시라’ 이 성찬은 오병이어로 오천 명을 배불린 육신의 양식과는 의미를 달리하고 있는 것입니다.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가 나를 찾는 것은 표적을 본 까닭이 아니요 떡을 먹고 배부른 까닭이로다 썩는 양식을 위하여 일하지 말고 영생하도록 있는 양식을 위하여 하라 이 양식은 인자가 너희에게 주리니 인자는 아버지 하나님의 인치신 자니라”(요6:26-27).

성찬은 그리스도의 살과 피를 믿음으로 나누는 영적인 양식입니다. 또 성찬은 눈으로 볼 수 있는 진리요 입으로 먹을 수 있는 은혜의 양식입니다. 우리는 그리스도 대속의 은총을 성찬을 통해 받게 되므로 이 성찬에 참여하는 자가 복이 있음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내가 곧 생명의 떡이니 내게 오는 자는 결코 주리지 아니할 터이요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리라”(요6:35).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인자의 살을 먹지 아니하고 인자의 피를 마시지 아니하면 너희 속에 생명이 없느니라 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자는 영생을 가졌고 마지막 날에 내가 그를 다시 살리리니 내 살은 참된 양식이요 내 피는 참된 음료로다”(요6:53-55).

이 성찬을 통해 나는 주 안에 거하고 그리스도께서는 내 안에 거하게 됨을 믿으셔야 합니다. 이는 성찬을 통해 내가 세상에 있으면서도 영적인 삶을 누리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고린도 교회는 배불리기 위해 성찬에 참여하는 자들이 있었습니다. 그러한 자는 그리스도의 살과 피를 욕되게 하는 자들입니다.

“너희가 먹고 마실 집이 없느냐 너희가 하나님의 교회를 업신여기고 빈궁한 자들을 부끄럽게 하느냐 내가 너희에게 무슨 말을 하랴 너희를 칭찬하랴 이것으로 칭찬하지 않노라”(고전11:22).

“그런즉 내 형제들아 먹으러 모일 때에 서로 기다리라 만일 누구든지 시장하거든 집에서 먹을지니 이는 너희의 판단 받는 모임이 되지 않게 하려 함이라”(고전11:33-34).

주의 떡이나 잔을 합당치 않게 먹고 마시는 일로 주의 몸과 피를 범하는 죄를 범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겠습니다.

“사람이 자기를 살피고 그 후에야 이 떡을 먹고 이 잔을 마실지니 주의 몸을 분변치 못하고 먹고 마시는 자는 자기의 죄를 먹고 마시는 것이니라”(고전11:28-29).

성도 여러분!

이제는 내가 산 것이 아니라 내 안에 그리스도로 사는 몸이 되었으면 오늘을 어떻게 살아야 마땅한지 알아서 주님의 뜻을 이룩하고 영원한 영광에 이르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Passover and Holy Communion

1 Corinthians 11:23-34, Matthew 26:17-29

 

“On the first day of the Feast of Unleavened Bread, the disciples came to Jesus and said to him, “Where do you want us to prepare the Passover meal?” He said to him, “Go to someone in the city and say, ‘Teacher has said that my time is near; I will keep the Passover at your house with my disciples. And the disciples did as Jesus had commanded, and prepared the Passover” (Matthew 26:17-19).

The Feast of Unleavened Bread, or Passover, is the three major festivals that the Israelites were commanded to observe every year along with the Feast of Harvest and Ingathering. Unlike other festivals, the Passover was to commemorate the day the people of Israel were liberated from Egypt, ate unleavened bread and bitter herbs, and slaughtered sheep and kept it as a festival for seven days. The true meaning of the Passover is the sharing of bread and wine in remembrance of the flesh and blood of the Lord. What we need to remember her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ubstance and shadow. Every ordinance according to the law bears witness to the symbolic truth about Christ.

“Because the law is a shadow of the good things to come, and not the true image, it is impossible to perfect them at any time by the annual sacrifices that are always offered” (Hebrews 10:1).

Therefore, we must not forget that any ordinance can cease to be an ordinance in the absence of Christ.

 

1. The Lord who came as the Passover Lamb

No one can escape the fate of death from the day they are born.

“It is appointed for man to die once, and after that comes judgment” (Hebrews 9:27).

Of course, the same is true for other creatures when it comes to death. And that day comes without notice. This death comes equally to doctors, to the wealthy and to the physically-trained athletes, and to those in power alike. Death is such an inevitable thing, and as long as a person lives, he lives with attachment to his life.

This is the story of some death row inmate. As he was being dragged to his prison, he fell down the stairs, and he got up and said, “I would have died if I had done it!”

Life is precious. This is the story of the righteous, according to the Jews. Schindler, the protagonist in Steven Spielberg's "Schindler's List," was a German during the Nazi-occupied World War II who saved 1,200 Jews. He and his wife, Emily, diverted 1,000 Jews imprisoned in Auschwitz to work in a German weapons factory, providing them with good accommodation and nutritious food. In doing so, he had poured out all of his fortune and had even crossed the hurdle that put his life at risk. After the Germans were pushed back by the Allies, the Nazis sent the 1,000 back to Auschwitz to slaughter in the gas chambers, but the Schindlers took out and protected another two hundred Jews who were waiting to die on the pretext that the weapons factory needed more labor. It is said that all of them escaped together with Jinju of the Soviet army and survived. Some people kill innocent people, but they saved lives in this way, so it is a righteous thing to do. However, this is not a complete salvation, but only prolongs life.

The thing to remember is that no one knows when or how I will face my death. Therefore, we must prepare for that day.

“The heart of the wise is in a house of images, but the heart of a fool is in a house of communication” (Ecclesiastes 7:4).

However, even in the same death, there are those who will fall into eternal darkness and those who will remain as light, depending on the way of life we ​​live today.

The death of the three crosses erected on the hill of Golgotha ​​2,000 years ago is a lesson for mankind.

1) Christ's atoning death

“He was pierced for our transgressions, he was bruised for our iniquities; the punishment that brought us peace; and by his wounds we are healed” (Isaiah 53:5).

2) Death saved through the atonement of Christ

There are times in a person's life when they are not important, but the most important moment among them will be at the end of the day. We must pray so that we do not lose faith when we die. You must also believe in the fact that there is an opportunity to be saved even before death. Among the three crosses on Golgotha ​​Hill is the cross of Christ. On both sides are crosses of robbers. Meanwhile, the thief received Christ at the moment of his death and was saved.

3) eternal death

Meanwhile, the robber witnessed the Lord's blood in the nearest place. However, he not only did not believe in the atonement of Christ, but instead mocked the Lord even at the moment of his death, so he lost his chance of being saved forever.

Be careful not to lead a life apart from Christ. In any case, we must realize that life without Christ is meaningless, and death without Christ is hopeless.

 

2. Communion with the traitor

“It was evening while Jesus was sitting with the twelve, and while they were eating, he said to them, “Truly, I say to you, one of you will betray me.” They were very sad and said to each one, “Lord, is it me?” He answered, “Is it me, Lord?” He who puts in will betray me. The Son of Man goes as it is written about him, but woe to the man who betrays the Son of Man. It would have been better for him if he had not been born. Judas, who betrayed Jesus, answered and said, Rabbi, am I me? “You have spoken.” (Matthew 26:20-25)

This was Judas' last chance to repent, but he had no remorse or guilt because his conscience had already been burned. As the Lord said, he does not know what he is doing because he has already fallen into slavery to the devil. Just as they did not talk about the salvation of the devil, so it is with Judas Iscariot. For these traitors, the sacrAment has no meaning, no efficacy, and no change.

3. The True Meaning of the Eucharist

“As they were eating, Jesus took bread, blessed it, broke it, and gave it to his disciples, saying, “Take and eat; this is my body.” And he took the cup, gave thanks, and gave it to them, saying, “Drink it, all of you. It is my blood of the covenant, which is shed for you” (Matthew 26:26-28).

'Eat' and 'Drink' This sacrAment has a different meaning from the food of the flesh that satisfies 5,000 people in the word 'Obyeong'.

“Truly, truly, I say to you, you seek me, not because you saw signs, but because you ate the loaves and were satisfied. He is the one sealed by God” (John 6:26-27).

The Lord's Supper is the spiritual food of sharing the body and blood of Christ through faith. The Lord's Supper is the truth we can see with our eyes and the food of grace that we can eat with our mouths. We receive the grace of Christ's atonement through the sacrAment, so please believe that those who participate in this sacrAment are blessed.

“I am the bread of life; whoever comes to me will never hunger, and whoever believes in me will never thirst” (John 6:35).

“Truly, truly, I say to you, unless you eat the flesh of the Son of Man and drink his blood, you have no life in you. He who eats my flesh and drinks my blood has eternal life, and I will raise him up on the last day. True food, and my blood is true drink” (John 6:53-55).

I must believe that through this sacrAment I abide in the Lord and Christ dwells in me. This means that we can enjoy a spiritual life through the sacrAment. In the Corinthian church, there were those who took part in the Lord's Supper to be satisfied. Such were those who dishonored the flesh and blood of Christ.

“Do you have no house to eat and drink? Do you despise the church of God and put to shame the needy? What shall I say to you?

“Therefore, my brethren, wait for one another when you gather to eat.

We must be careful not to commit the sin of violating the body and blood of the Lord by eating and drinking the Lord's bread or cup unworthily.

“A man shall examine himself, and then he shall eat of this bread and drink of this cup: for he who eats and drinks without discerning the body of the Lord is eating and drinking in his own sins” (1 Corinthians 11:28-29).

Now that I have become a body that lives as Christ in me, rather than I live, I pray for the Lord's will to be accomplished and eternal glory. Amen

 

 

 

다양한 은사

고전 12:1-11

 

어느 교회를 막론하고 지상에 있는 교회는 많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고린도전서 팔 장에서부터 다루고 있는 몇 가지 문제입니다.

1) 우상의 제물

2) 여자가 머리에 쓰는 수건

3) 성찬에 관한 문제.

이제 본문에서는 성령의 은사를 논하고 있습니다. 기억할 것은 성령의 은사는 종교적인 의식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입니다. 또한 이것은 인간의 욕심에 따라 받을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베드로와 요한이 사마리아에 내려가서 기도할 때 성령 받는 것을 보고 마술사 시몬은 성령을 돈으로 살 수 있는 줄 생각하였습니다.

“시몬이 사도들의 안수로 성령 받는 것을 보고 돈을 드려 이 권능을 내게도 주어 누구에게 든지 내가 안수하는 사람은 성령을 받게 하여 주소서 하자 베드로가 이르되 네가 하나님의 선물을 돈 주고 살줄로 생각하였으니 네 은과 네가 함께 망할지어다”(행8:18-20).

 

1. 신령한 자

“형제들아 신령한 것에 대하여는 내가 너희의 알지 못하기를 원하지 아니하노니”(1절).

신령한 자는 성령으로 거듭난 자를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이것을 육신에 속한 자와 대조하면 더욱 분명해질 것입니다.

“육신을 좇는 자는 육신의 일을, 영을 좇는 자는 영의 일을 생각하나니 육신의 생각은 사망이요 영의 생각은 생명과 평안이니라 육신의 생각은 하나님과 원수가 되나니 이는 하나님의 법에 굴복치 아니할 뿐 아니라 할 수도 없음이라”(롬8:5-6).

영에 속한 자는 영의 일을 기뻐합니다. 두 팔이 없고 한 다리마저 짧게 태어난 선천성 장애아 레나 마리아의 이야기입니다.

“할아버지가 읽어 주신 성경 이야기를 통해서 저는 예수님이야말로 제 인생의 최고의 선물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 선물로 인해 지금의 제가 있게 된 것이니까요. 예수 그리스도 자체가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최고의 선물이라는 것을 사람들은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 이 비밀이 제가 부르는 성가와 캐롤을 통해 조금이라도 전해지기를 기도합니다.”

바울과 같이 ‘내 몸에서 그리스도만이 존귀하게 되기를 원하는’ 이렇게 복되고 아름다운 삶을 육신에 속한 자면 그렇게 살아갈 수 없는 것입니다. 어둠에 속한 자는 이 구원의 진리를 깨닫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육신에 있는 자들은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수 없느니라”(롬8:8).

메시아를 배척하는 유대인을 향해 주님께서 하신 말씀입니다.

“어찌하여 내 말을 깨닫지 못하느냐 이는 내 말을 들을 줄 알지 못함이로다 너희는 너희 아비 마귀에게서 났으니 너희 아비의 욕심을 너희도 행하고자 하느니라 저는 처음부터 살인한 자요 진리가 그 속에 없으므로 진리에 서지 못하고 거짓을 말할 때마다 제 것으로 말하나니 이는 저가 거짓말쟁이요 거짓의 아비가 되었음이니라”(요8:43-44).

인간에게 있어서 진리가 믿어지지 않는 것처럼 큰 불행은 없을 것입니다. 그런 사람은 소망이 없습니다. 이성 없는 짐승은 본능대로 사는 것을 잘못이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인간은 잘못 살면 인간적인 대우를 받을 수 없을 뿐 아니라, 또 사후에 심판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어둠에 매여 종살이 하는 것을 보십시오.

“너희도 알거니와 너희가 이방인으로 있을 때에 말 못하는 우상에게로 끄는 그대로 끌려갔느니라”(2절).

 

2. 직분과 사명

“은사는 여러 가지나 성령은 같고 직임은 여러 가지나 주는 같으며 또 역사는 여러 가지나 모든 것을 모든 사람 가운데서 역사하시는 하나님은 같으니 각 사람에게 성령의 나타남을 주심은 유익하게 하려 하심이라”(4-7).

무슨 말씀일까요? 내게 맡긴 직분과 사명은 한 분이신 성삼위 하나님께서 주셨다는 것이요, 이는 또한 동일하신 하나님의 뜻을 이루시기 위함이라는 것입니다. 사무엘이 사울에게 기름을 부어 이스라엘의 왕을 삼았으나 사울이 제사에 월권하고 또 하나님의 명령을 불순종한 일로 버림을 받았습니다. 기억하십시오. 기름은 사무엘이 부었을지라도 세운 분은 하나님이시라는 것입니다. 또 ‘각 사람에게 성령의 나타남을 주심은 유익하게 하려 하심이라’ 이 유익은 우리에게 사명과 직분을 맡겨주신 하나님의 영광을 뜻하는 것입니다.

사명의식을 망각하지 마십시오. 하나님께서 역사하지 않으시면 나는 무익한 죄인이라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우리는 어떠한 직분을 받았던지 하나님의 기대에 어긋나지 않도록 살아갈 수 있기를 소원합니다.

 

3. 성령과 은사

1) 어떤 이에게는 성령으로 말미암아 지혜의 말씀,

지혜는 은사 중에서도 귀중한 은사로서 이 은사에는 부수적인 복도 따르게 됩니다. 솔로몬이 하나님께 지혜를 구한 일로 그가 구하지 않은 것까지 받았다는 사실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후히 주시고 꾸짖지 아니하시는 하나님께 지혜를 구하십시오.

“너희 중에 누구든지 지혜가 부족하거든 모든 사람에게 후히 주시고 꾸짖지 아니하시는 하나님께 구하라 그리하면 주시리라”(야1:5).

서양격언에 이런 말이 있습니다.

“If you want to feel rich, just count all the things you have that money can't buy.”

“만약 부유함을 느끼고 싶다면 가진 것 중에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을 모두 세워 보아라.” 지혜는 소리 높여 외치고 있습니다.

“나를 사랑하는 자들이 나의 사랑을 입으며 나를 간절히 찾는 자가 나를 만날 것이니라 부귀가 내게 있고 장구한 재물과 의도 그러하니라 내 열매는 금이나 정금보다 나으며 내 소득은 천은보다 나으니라”(잠8:17-19).

2) 어떤 이에게는 같은 성령을 따라 지식의 말씀을,

이 지식은 믿음의 뿌리입니다. 우리의 믿음이 진리 위에 바로 서지 못하면 창수가 나고 대풍이 나면 모래 위에 지은 집과 같이 무너질 것입니다.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이 지식의 근본이어늘 미련한 자는 지혜와 훈계를 멸시하느니라”(잠1:7).

지혜는 다스리는 자에게 필요한 은사라면 지식은 가르치는 자에게 필요한 은사라 할 수 있습니다.

3) 다른 이에게는 같은 성령으로 믿음을,

성도들 중에 혹 “나는 아무런 은사를 받지 못했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믿어지는 믿음이 하나님의 선물임을 알아야 합니다.

“성령으로 아니고는 누구든지 예수를 주시라 할 수 없느니라”(고전12:3).

“믿음이 온 후로는 우리가 몽학 선생 아래 있지 아니하도다”(갈3:25).

4) 어떤 이에게는 한 성령으로 병 고치는 은사.

병 고치는 은사는 방언과 함께 외적으로 볼 수 있는 은사입니다. 며칠 전에 어느 집사님이 치아 치료를 받은 후 얼굴에 통증이 와서 일 년이 넘도록 병원 치료를 받았는데 아무런 진전이 없어서 기도 받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린 일이 있었습니다. 의사는 고칠 수 없는 병이 있을지라도 하나님께서는 능치 못하심이 없음을 믿으셔야 합니다. 주님의 마음을 움직이도록 기도하십시오.

“주여 원하시면 저를 깨끗게 하실 수 있나이다”(마8:2).

“사랑하시는 자가 병들었나이다”(요11:3).

“말씀만 하옵소서...그러면 내 하인이 낫겠삽나이다”(마8:8).

모두가 주님의 마음을 움직인 간구입니다.

5) 어떤 이에게는 능력 행함을,

모세를 통해 홍해를 육지같이 건널 수 있게 하신 하나님, 엘리야와 엘리사를 통해 큰 기적과 권능의 역사를 일으키신 하나님께서 오늘도 생명과 구원 사역을 위해 역사하심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6) 어떤 이에게는 예언함을,

인간의 눈으로는 오늘의 현상을 볼 수 있으나 영적인 눈으로는 장차 일어날 일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정치인들이나 과학자들이 말하는 비전이나 꿈과는 다른 것입니다. 또 사람이 보는 것은 상상의 세계이지만 영의 눈은 하나님의 안목으로 미래와 영원을 통찰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선지자가 예언한 말씀은 일점일획도 어김이 없는 진리입니다.

7) 어떤 이에게는 영들 분별함을,

진리의 영과 거짓된 영을 구별하는 잣대는 성경입니다. 성경을 벗어난 것이라면 어떠한 말에도 미혹되지 않아야 합니다. 주의해야 할 것은 마귀도 성경을 가지고 시험하기 때문에 영을 분별하는 은혜를 받도록 기도해야 합니다.

8) 다른 이에게는 각종 방언 말함을,

식별하기 쉬운 은사입니다. 그러나 방언의 은사를 받은 사람은 교회에서 덕을 잃지 않도록 주의하고 항상 기도에 힘써야 합니다.

9) 방언 통역하는 은사

방언하는 분은 통역의 은사를 사모하십시오. 또 초대교회 방언 은사를 보면 각국에서 모여든 사람들이 모두 알아들을 수 있도록 하는 방언이 있었는가 하면 하나님만이 알 수 있는 방언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통역의 은사를 받으면 사람들이 알아듣게 함으로 교회에 덕을 세우고 다 함께 아멘 할 수 있습니다. 기억하십시오. 모든 은사는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교회에 덕을 세우며 또 생명과 구원 사역에 열매 맺도록 주님께서 허락하신 선물입니다. 우리 모두 성령의 열매 맺는 일에 더욱 충성을 다짐하는 성도들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Variety of gifts

1 Corinthians 12:1-11

 

No matter which church, the church on the earth has many problems. These are some of the issues that are being addressed starting from chapter eight of 1 Corinthians.

1) Sacrifice to idols

2) A towel worn by a woman on her head

3) Problems with the Eucharist.

Now in this text we are discussing the gifts of the Holy Spirit. Remember, the gifts of the Holy Spirit are more important than religious ceremonies. Also, this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human greed.

When Peter and John went down to Samaria to pray and saw that they were receiving the Holy Spirit, Simon the magician thought that money could buy the Holy Spirit.

“When Simon saw that he was receiving the Holy Spirit by the laying on of hands of the apostles, give money to give me this power as well, that whomever I lay my hands on may receive the Holy Spirit.” Peter said to him, “I thought you would buy the gift of God with money. You shall perish together” (Acts 8:18-20).

 

1. A spiritual person

“Brothers, I do not want you to be ignorant of spiritual things” (verse 1).

A spiritual person means one who has been born again by the Holy Spirit. Therefore, it will be clearer if we contrast this with the carnal.

“Those who are after the flesh set their minds on the things of the flesh, and those who follow the Spirit set their minds on the things of the Spirit. The mind set on the flesh is death, but the mind set on the Spirit is life and peace. Not only can it not work, it cannot be done” (Romans 8:5-6).

Those of the spirit rejoice in the things of the spirit. This is the story of Lena Maria, a congenital disability who was born with no arms and even one short leg.

“Through the Bible story his grandfather read to me, I came to know that Jesus is the greatest gift of my life. Because of that gift, I am who I am today. How much do people know that Jesus Christ Himself is the greatest gift God has given us? I pray that this secret will be conveyed in some way through my hymns and carols.”

Like Paul, “I want only Christ to be exalted in my body.” Those who belong to the flesh cannot live such a blessed and beautiful life. It is because those who belong to darkness do not understand this truth of salvation.

“Those who are in the flesh cannot please God” (Romans 8:8).

These are the words of the Lord to the Jews who rejected the Messiah.

“Why do you not understand my words, for you do not know how to listen to me. You are of your father the devil, and you want to do the desires of your father. He was a murderer from the beginning, and he does not stand in the truth, because there is no truth in him. And whenever he speaks a lie, he speaks his own, for he is a liar and the father of lies” (John 8:43-44).

There will be no great misfortune for man as the truth is unbelievable. Such a person has no hope. An irrational beast does not say that it is wrong to live by instinct. However, if humans live wrongly, not only cannot receive humane treatment, but they will also be judged after death. See slavery in darkness.

“You know that when you were a Gentile, you were led as you were led to speechless idols” (verse 2).

 

2. Position and mission

“There are varieties of gifts, but the same Spirit, and there are varieties of offices, but the same Lord; and there are varieties of works, but the same God, who works all things in everyone, so that the manifestation of the Holy Spirit is given to each one for their good” (4-7). .

What do you mean? The office and mission entrusted to me is given to me by the one Holy Trinity, and this is also to accomplish the will of the same God. Samuel anointed Saul to be king over Israel, but Saul overpowered the sacrifices and was rejected for disobeying God's command. Remember. The oil was anointed by Samuel, but it was God who established it. Also, “to each one the manifestation of the Holy Spirit is given for profit.” This benefit refers to the glory of God who has entrusted us with the mission and office.

Don't forget your sense of mission. If God does not work, we must remember that I am a useless sinner. We want to be able to live in a way that does not go against God's expectations, no matter what kind of office we have been given.

 

3. Holy Spirit and Gifts

1) To some, through the Holy Spirit, the Word of Wisdom,

Wisdom is one of the most precious of the gifts, and it is accompanied by an attendant corridor. We know that when Solomon asked God for wisdom, he received even what he did not ask for. Seek wisdom from God, who gives generously and without reproach.

“If any of you lacks wisdom, let him ask of God, who gives generously to all without finding fault, and it will be given to him” (James 1:5).

There is a saying in the Western proverb:

“If you want to feel rich, just count all the things you have that money can't buy.”

“If you want to feel rich, build everything that money cannot buy.” Wisdom is shouting out loud.

“I am loved by those who love me, and those who seek me diligently will find me. Riches and riches are with me, and long wealth and intentions. My fruit is better than gold or fine gold, and my income is better than a thousand silver” (Proverbs 8:17). -19).

2) To some, according to the same Spirit, the word of knowledge;

This knowledge is the root of faith. If our faith does not stand upright on the truth, it will crumble like a house built on sand when floods and strong winds come.

“The fear of the Lord is the beginning of knowledge, but fools despise wisdom and instruction” (Proverbs 1:7).

Wisdom is a gift needed by those who rule, and knowledge is a gift needed by those who teach.

3) Faith in others by the same Spirit,

Some of the saints may think, “I have not received any gifts.” We must know that believing is a gift from God.

“No one can say that Jesus is Lord except by the Holy Spirit” (1 Corinthians 12:3).

“After the faith came, we are no longer under a tutor” (Galatians 3:25).

4) To some, the gift of healing by one Spirit.

The gift of healing is a gift that can be seen outwardly along with tongues. A few days ago, after a certain deacon received dental treatment, his face became painful and he was hospitalized for over a year, but there was no progress, so he prayed and gave glory to God. A doctor must believe that even if there is an incurable disease, there is nothing that God cannot do. Pray to move the heart of the Lord.

“Lord, if you will, you can make me clean” (Matthew 8:2).

“The one you love is sick” (John 11:3).

“Speak only to me...and my servant will be healed” (Matthew 8:8).

All of them are petitions that moved the heart of the Lord.

5) To some the works of power,

Please believe that the God who made it possible to cross the Red Sea as if it were dry land through Moses, and the God who caused great miracles and works of power through Elijah and Elisha, is still working today for the work of life and salvation.

6) Prophesy to some,

Human eyes can see today's phenomena, but spiritual eyes can see what will happen in the future. This is different from the visions and dreams of politicians and scientists. Also, what humans see is an imaginary world, but the eyes of the spirit can see the future and eternity through the eyes of God. Therefore, the words prophesied by the Prophet are the truth without breaking any jot or tittle.

7) To some, discernment of spirits,

The standard that distinguishes the spirit of truth from the spirit of falsehood is the Bible. If it is outside the Bible, you must not be deceived by any words. We must be careful, because even the devil tests us with the Bible, so we must pray so that we can receive the grace to discern spirits.

8) To speak in various tongues to others;

It is a gift that is easy to identify. However, those who have received the gift of speaking in tongues should be careful not to lose their virtue in the church and should always focus on prayer.

9) The gift of interpreting in tongues

Those who speak in tongues should seek the gift of interpretation. Also, if we look at the gift of tongues in the early church, there were some tongues that all people gathered from all over the world could understand, and there were some that only God could understand. However, if we receive the gift of interpretation, we can build up the church and say Amen together by making people understand. Remember. All gifts are gifts given by the Lord to glorify God, to build up the church, and to bear fruit in the work of life and salvation. I pray that all of us will become believers who promise to be more faithful in bearing the fruit of the Holy Spirit. Amen

 

 

지체의 임무와 위치

고전 12:12-31

 

우리는 하나님의 오묘를 담고 있는 육체를 지니고 이 자리에 나왔습니다. 모든 피조물 중에 인간만이 하나님의 형상을 닮은 특별한 존재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가 깨닫지 못하므로 의미 없이 생을 낭비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인체를 해부하는 의학도는 알 수 있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육체를 자랑하는 것은 무의미할 뿐입니다. 우리에게 깨닫는 눈과 귀가 열려질 때 자신의 모습을 바로 알 뿐 아니라 또 주님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깨닫게 될 줄 믿습니다.

“주께서 내 내장을 지으시며 나의 모태에서 나를 만드셨나이다 내가 주께 감사하옴은 나를 지으심이 심히 기묘하심이라 주께서 하시는 일이 기이함을 내 영혼이 잘 아나이다”(시139:13-14).

 

1. 지체와 몸의 관계

“몸은 하나인데 많은 지체가 있고 몸의 지체가 많으나 한 몸임과 같이 그리스도도 그러하니라”(12절).

우리가 한 몸에 다양한 지체가 있다는 것을 모르고 살아가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바울은 이렇게 다양한 지체를 통해 진리의 교훈을 하고 있습니다.

‘몸의 지체가 많으나 한 몸임과 같이 그리스도도 그러하니라’ 이로 말미암아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는 이스라엘과 이방이 하나가 된 것입니다.

“우리가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유자나 다 한 성령으로 세례를 받아 한 몸이 되었고 또 다 한 성령을 마시게 하셨느니라”(13절).

인간은 나면서부터 한 몸에 수많은 지체와 장부를 지니고 태어나는데 그 중 하나라도 잃으면 생명을 유지할 수 없는 지체가 있는가 하면 없어도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지체도 있습니다. 분명한 것은 어느 지체를 막론하고 몸을 떠나면 지체는 살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를 등지면 살아갈 수 없다는 사실을 알고 겸손한 마음으로 자신의 위치를 이탈하지 않아야 할 것입니다.

“나는 포도나무요 너희는 가지니 저가 내 안에, 내가 저 안에 있으면 이 사람은 과실을 많이 맺나니 나를 떠나서는 너희가 아무 것도 할 수 없음이라”(요15:5).

 

2. 지체의 조화

“몸은 한 지체뿐 아니요 여럿이니”(14절).

여러 지체가 한 몸을 이루고 있다는 데서 몇 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1) 지체마다 고유의 임무가 있다는 것입니다.

축구 선수는 11명으로 한 팀을 이루는데, 효과적인 경기를 위해 선수 각자의 위치와 역할이 있습니다. 모두가 승리를 목적으로 뛰게 되지만 그렇다고 공격수만 있는 것이 아니라 수비수도 있고 또 골키퍼도 있는 것같이 지체의 임무도 마찬가지입니다.

“만일 발이 이르되 나는 손이 아니니 몸에 붙지 아니하였다 할지라도 이로 인하여 몸에 붙지 아니한 것이 아니요 또 귀가 이르되 나는 눈이 아니니 몸에 붙지 아니하였다 할지라도 이로 인하여 몸에 붙지 아니한 것이 아니니 만일 온몸이 눈이면 듣는 곳은 어디며 온몸이 듣는 곳이면 냄새 맡는 곳은 어디뇨”(15-17).

인체의 신비는 말로 다 할 수 없습니다. 이목구비를 누가 이렇게 이상적으로 만들었습니까? 하나님입니다. 만일 얼굴 중앙에 우뚝한 코를 항문 근처에 두었다면 어떻게 될까요? 향기롭지 못한 냄새로 인해 하루도 밝은 기분으로 살 수가 없을 것입니다. 눈이나 입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기억할 것은 그 위치와 임무에 따라 책임이 있다는 사실입니다. 11년 만에 밝혀진 개구리 소년들의 유골을 두고 경찰에서 재조사를 펼치는 것은 그것이 경찰이 해야 할 임무이기 때문입니다.

2) 다른 지체를 귀한 줄 알아야 합니다.

다리가 하는 일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팔이 그 일을 대신할 수 있습니까? 그럴 수 없습니다. 다리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오직 팔이 할 수 있는 다양한 임무를 기운이 있다고 다리가 대신 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눈이 손더러 내가 너를 쓸데없다 하거나 또한 머리가 발더러 내가 너를 쓸데없다 하거나 하지 못하리라”(21절).

성도가 시험에 들면 교회 밖에 있는 불신자들이 미워지는 것이 아니라 함께 신앙생활하고 나를 위해 기도해주는 구역 식구가 미워지기도 합니다. 심해지면 그런 사람 보기 싫어 교회 오기도 힘들어 지지요. 죄는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나를 힘들게 한 사람이 도리어 은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그러나 미워해도 멀리할 수 없는 관계가 가족이지요. 신혼부부들 보면 너무도 아름답습니다. 그런데 그 아름다움을 언제까지나 간직할 수가 없기에 아쉬움이 많습니다. 에덴의 행복을 보십시오.

“여호와 하나님이 아담을 깊이 잠들게 하시니 잠들매 그가... 그 갈빗대로 여자를 만드시고 그를 아담에게로 이끌어 오시니 아담이 가로되 이는 내 뼈 중의 뼈요 살 중의 살이라 이것을 남자에게서 취하였은즉 여자라 칭하리라 하니라 이러므로 남자가 부모를 떠나 그 아내와 연합하여 둘이 한 몸을 이룰지로다”(창2:21-24).

한 몸같이 일생을 사랑하며 살아야 할 부부가 남남으로 돌아서는 경우가 얼마나 많습니까? 이는 마치 한 몸을 절반씩 나눠가지는 격이라 할 것입니다. 누구를 막론하고 행복을 불행으로 전락시키는 것은 막아야 합니다. 외롭고 고달픈 나그네 길을 서로 이해하고 위로하며 살아야 합니다. 진정한 행복은 그리스도의 사랑 가운데서 누리게 됨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3) 지음을 받은 그대로를 족한 줄 알아야 합니다.

“하나님이 그 원하시는 대로 지체를 각각 몸에 두셨으니”(18절).

인간의 구조는 최초의 설계자 되시는 하나님께서 이렇게 지으셨다는 말씀입니다. 한 마디로 최고의 걸작품입니다. 그런데 어디에 부족함이 있어서 인간의 손을 빌려 남자는 여자로, 여자는 남자로 성전환을 하는가 하면 주름진 피부를 제거하는 수술을 하다 보니 배꼽이 가슴에까지 올라갔다는 웃지 못할 이야기도 있습니다.

미얀마 여인들은 황새 같이 목이 길어야 미인으로 간주하여 목을 억지로 늘리기 위해 구리를 용수철 같이 목에 감고 살아갑니다. 뿐만 아니라 아프리카에 사는 원주민들 중에는 여인이 귀에다 구멍을 뚫고 고리를 걸고 다니는 것을 멋으로 생각하는가 하면 또 어떤 부족들은 추장의 입술에 구멍을 내어 접시만한 것을 끼우고 또 코에도 구멍을 내어 맹수들의 송곳니를 꿰고 다니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어떻습니까? 청소년들은 구멍 난 청바지에 머리를 염색하는 것을 멋으로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아직 백발이 되어 보지 않았기에 흑발이 좋은 줄 모르지요. 하나님의 작품을 손상하지 맙시다. 자신이 바로 둘도 없는 하나님의 걸작품이라는 사실을 알았다면 주님의 영광을 위해 자긍심을 가지고 오늘을 살아야 할 것입니다.

4) 공평하게 하시는 하나님

“이뿐 아니라 몸의 더 약하게 보이는 지체가 도리어 요긴하고 우리가 몸의 덜 귀히 여기는 그것들을 더욱 귀한 것들로 입혀 주며 우리의 아름답지 못한 지체는 더욱 아름다운 것을 얻고 우리의 아름다운 지체는 요구할 것이 없으니 오직 하나님이 몸을 고르게 하여 부족한 지체에게 존귀를 더하사 몸 가운데서 분쟁이 없고 오직 여러 지체가 서로 같이하여 돌아보게 하셨으니”(22-25).

제가 어릴 때는 안경을 멋으로 쓰는 사람이 있었는가 하면 멋을 더 내기 위해 이를 뽑고 금니를 하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살다 보니 저도 안경을 쓰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누구도 양말을 멋으로 신는 분은 없을 줄 압니다. 손님이 오기 전에 양말을 신는 것은 맨발이 추해 보이기 때문이지요. 의복도 마찬가지입니다. 혹 다른 사람에 비해 여유 있는 사람이 있습니까? 자랑하지 마십시오. 권세나 지식도 마찬가지입니다. 오히려 육체로 자랑할 것이 없는 사람에게 더 귀한 믿음의 보화를 주신다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에게 속한 지체입니다.

“만일 한 지체가 고통을 받으면 모든 지체도 함께 고통을 받고 한 지체가 영광을 얻으면 모든 지체도 함께 즐거워하나니 너희는 그리스도의 몸이요 지체의 각 부분이라”(26-27).

중요한 것은 우리가 그리스도에게서 이탈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요 또 지체의 위치에 따라 본연의 임무에 충성하여 주님을 기쁘게 해야 한다는 말씀입니다. 뿐만 아니라 다른 지체와 화목해야 합니다.

“다 사도겠느냐 다 선지자겠느냐 다 교사겠느냐 다 능력을 행하는 자겠느냐 다 병 고치는 은사를 가진 자겠느냐 다 방언을 말하는 자겠느냐 다 통역하는 자겠느냐 너희는 더욱 큰 은사를 사모하라 내가 또한 제일 좋은 길을 너희에게 보이리라”(29-31).

우리 모두 주님께서 예비해 두신 제일 좋은 길, 더 큰 은사를 사모하고 기도합시다. 이상적인 교회는 다양한 성도들이 화목한 가운데서 본연의 임무를 따라 주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교회입니다. 우리 모두 이 영광의 대열에서 충성하는 성도들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The role and location of the body

1 Corinthians 12:12-31

 

We came to this place with a body that contains the mysteries of God. Of all creation, only human beings are special beings that resemble the image of God. But the problem is that we are wasting our lives meaninglessly because we don't realize it. But can a medical student know how to dissect the human body? It's not like that. Therefore, boasting about your body is meaningless. We believe that when our eyes and ears are opened, we will not only know who we are, but also what kind of relationship we have with the Lord.

“You formed my innards, and in my womb you made me. I thank You, for Your creation is exceedingly marvelous; My soul knows the wonders of Your works” (Psalm 139:13-14).

 

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the body

“As the body is one and has many members, and as the body has many members, yet it is one body, so is Christ” (verse 12).

There will be no one living without knowing that we have various members in one body. However, Paul is teaching the truth through these various members.

“As the members of the body are many, yet are one body, so is Christ.” Through this, Israel and the Gentiles became one in Christ Jesus.

“By one Spirit we were all baptized into one body, whether Jew or Greek, slave or free, and we were all made to drink of one Spirit” (verse 13).

Humans are born with numerous members and books in one body from birth, and if any one of them is lost, some members cannot sustain life, while others can sustain life without them. What is clear is that no matter what part of the body, the part cannot live if it leaves the body. Therefore, knowing that we cannot live if we turn our backs on the body of Christ, the church, we should not deviate from our position with a humble heart.

“I am the vine and you are the branches; if he in me and I in him, this man bears much fruit, for apart from me you can do nothing” (John 15:5).

 

2. Harmony of body parts

“The body is not one member, but many” (verse 14).

We can think of several things from the fact that several members make up one body.

1) Each member has its own mission.

Soccer players form a team of 11 players, each with their own location and role to play effectively. Everyone plays for the purpose of winning, but just as there are not only strikers but also defenders and goalkeepers, so is the task of the members.

“If the foot says, “I am not the hand, and I am not of the body,” then it is not because of this that it is not of the body. Where is the hearing, and where the whole body hears, where is the smell” (15-17).

The mysteries of the human body are beyond words. Who made this feature so ideal? God. What would happen if you had a tall nose in the center of your face near your anus? You won't be able to live in a bright mood for a day because of the unscented smell. The same goes for the eyes and mouth. Remember, you are responsible for your location and mission. The police re-investigate the remains of the frog boys revealed after 11 years because that's the police's job.

2) You must know that other members are precious.

If you don't like what your legs are doing, can your arms do it for you? You can't. The same goes for legs. Legs cannot take over the various tasks that only the arms can do.

“The eye will not say to the hand, ‘I have no need of you,’ or the head, to the foot, ‘I do not need you’” (verse 21).

When a member is put to the test, he does not hate the unbelievers outside the church, but also hates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who live in faith together and pray for me. If it gets worse, I don't want to see such a person, so it becomes difficult to come to church. Hate sin, but be careful not to hate people. I must not forget that the person who made me hard can become a benefactor on the contrary.

But even if you hate it, the relationship you can't get away from is family. The newlyweds look so beautiful. However, there are many regrets because we cannot keep that beauty forever. See the happiness of Eden.

“The Lord God put Adam into a deep sleep, and he slept… and he made a woman from his ribs and brought her to Adam, and Adam said, ‘This is bone of my bones and flesh of my flesh; For this reason a man will leave his father and mother and be united to his wife, and the two will become one flesh” (Genesis 2:21-24).

How often do couples who are supposed to love and live as one body turn into men and women? It would be like dividing a body in half. We must stop anyone from turning happiness into unhappiness. We need to understand and comfort each other in the lonely and painful journey. Please believe that true happiness is found in the love of Christ.

3) You must be satisfied with the way you were created.

“God has placed each member in the body as he willed” (verse 18).

It is said that God, who is the first designer, created the human structure in this way. In a word, it's a masterpiece. However, there is a lack of something, and there is a funny story that a man is transformed into a woman and a woman into a man with the help of a human hand, and the navel went up to the chest due to the operation to remove the wrinkled skin.

Myanmar women are considered beautiful when they have a long neck like a stork. Not only that, some indigenous peoples of Africa consider it fashionable to see women wearing rings with holes in their ears, while other tribes make holes in the chief's lips the size of a plate, and also make holes in the nose for the fangs of wild beasts. There are people who stalk the .

How about your country? Teenagers seem to find it cool to dye their hair in jeans with a hole in them. I haven't turned white hair yet, so I don't know if black hair is good. Let us not damage the work of God. If you know that you are the masterpiece of God that is second to none, you should live today with pride for the glory of the Lord.

4) The God of Fairness

“Not only that, but the weaker, seemingly parts of the body are rather useful, and we clothe them with more precious things in the body, which we value less. He evens the body and adds honor to the members who lack it, so that there is no division in the body, but the members look after one another” (22-25).

When I was a kid, some people wore glasses for fashion, while others pulled out their teeth to make them look more stylish. But as I lived my life, I also started to wear glasses. But no one knows that no one wears socks stylishly. Putting on socks before guests come is because bare feet look ugly. The same goes for clothing. Is there anyone who has more room than others? Don't brag. The same is true of power and knowledge. Rather, we need to know that the more precious treasure of faith is given to those who have nothing to boast about in the flesh. We are members of Christ.

“If one member suffers, all the members suffer together; and if one member is glorified, all the members rejoice together, for you are the body of Christ, and each part of it” (26-27).

The important thing is that we must not deviate from Christ, an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our members, we must be faithful to our mission and please the Lord. In addition, we must be at peace with other members of the body.

“Are all apostles? Are all prophets? Are all teachers? Are all works of miracles? Do all have the gift of healing? Do all speak in tongues? Are all interpreters? Desire for the greater gift. will be seen” (29-31).

Let's all long for and pray for the best way the Lord has prepared, the greater gift. An ideal church is a church that reveals the glory of the Lord according to its mission amid the harmony of various members. We pray that all of us will become faithful saints in this rank of glory. Amen

 

 

절대적인 가치

고전 13:1-3

 

바울은 십이 장에서 성령의 은사를 논한 후에 “너희는 더욱 큰 은사를 사모하라 내가 또한 제일 좋은 길을 너희에게 보이리라” 하였습니다. 더욱 큰 은사와 제일 좋은 길은 동일하게 사랑을 의미합니다. 고린도전서 십삼 장에 대해 학자들이 말한 것을 소개합니다.

“이 장은 모든 세대를 통하여 교회의 특별한 찬양의 대상이 되어왔다” (Farrar).

“이는 바울의 저작 중에서 가장 위대하고 가장 힘 있고 또 가장 심오한 것이다”(Harnack).

“이 유명한 장은 그리스도인의 생활에 대한 바울의 기록 중에 최고봉이다”(Craig).

“사랑은 교회에서 능력의 첩경이다”(Findlay).

본문은 이 사랑에 대한 서론으로 어떠한 은사와 행위도 사랑을 제하면 영적인 가치 곧 진리의 가치를 잃게 된다는 말씀입니다.

 

1. 사람의 방언과 천사의 말

“내가 사람의 방언과 천사의 말을 할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소리 나는 구리와 울리는 꽹과리가 되고”(1절).

‘사람의 방언’에 대해서는 오순절 사건으로 세계 여러 나라에서 모여든 사람들이 다 자기의 방언으로 말하는 것을 듣고 기이하게 생각했던 것을 의미하는 것인지(행2:5-8), 아니면 알아들을 수 없는 방언인지에 대해서도 양론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어서 나오는 ‘천사의 말’과 대조가 되므로 사람이 알아들을 수 있는 방언으로 보는 것이 유력하다 하겠습니다. 방언의 은사는 기도하는 사람에게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그러나 여기서 사랑을 제하면 그 의미를 잃게 된다는 말씀입니다. 그러므로 방언이 소리 나는 구리와 울리는 꽹과리가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겠습니다.

 

2. 예언하는 능과 산을 옮길만한 믿음

“내가 예언하는 능이 있어 모든 비밀과 모든 지식을 알고 또 산을 옮길만한 모든 믿음이 있을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내가 아무 것도 아니요”(2절).

역시 사랑이 없으면 이 모든 것도 아무런 가치를 인정받을 수 없다는 말씀입니다.

본문에 언급된 이 은사 중에 어느 것 한 가지인들 귀하지 않은 것이 없습니다. 또 은사는 누구든지 원한다고 해서 받을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1) 예언하는 능

예언의 은사는 선지자의 영을 받아야 하는 것입니다. 사울이 다윗을 체포하기 위해 사자들을 라마나욧으로 보냈을 때 그들이 예언을 했는가 하면 심지어 사울도 벌거벗은 채 하루 종일 예언한 일이 있었습니다(삼상19:20-24). 예언의 은사는 지체 중에서 눈과 같은 역할입니다.

“나는 알파와 오메가요 처음과 나중이요 시작과 끝이라”(계22:13).

이는 우주의 기원과 영원의 세계를 한눈에 보시는 전능의 의미가 담겨있다는 말씀입니다. 모세가 이 눈을 받았을 때 시내산에서 하나님의 창조의 역사와 족장들의 역사를 보고 기록할 수 있었습니다. 또 다니엘은 금 신상의 비밀을 알게 되었습니다. 주님께서는 우리의 은밀한 것을 다 보고 계십니다. 아시아 일곱 교회를 향한 주님의 말씀입니다.

“내가 네 행위와 수고와 네 인내를 알고...”(계2:2),

“내가 네 환난과 궁핍을 아노니”(계2:9),

“네가 어디 사는 것을 내가 아노니”(계2:13),

“내가 네 사업과 사랑과 믿음과 섬김과 인내를 아노니”(계2:19),

“내가 네 행위를 아노니”(계3:1, 15).

주님께서는 불꽃 같은 눈으로 우리의 과거, 현재, 미래를 한눈에 보고 계신다는 말씀입니다. 이것이 영적인 안목입니다. 우리도 이러한 영의 눈을 가질 수 있도록 기도해야 하겠습니다. 그러나 더 귀중한 사랑을 잃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2) 산을 옮길만한 믿음

주님께서 간질 든 소년을 고친 일로 인해 제자들이 조용히 물었습니다.

“우리는 어찌하여 쫓아내지 못하였나이까”

“너희 믿음이 적은 연고니라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가 만일 믿음이 한 겨자씨만큼만 있으면 이 산을 명하여 여기서 저기로 옮기라 하여도 옮길 것이요 또 너희가 못할 것이 없으리라”(마17:19-20).

만일 오늘 어떤 사람이 ‘내가 예수의 이름으로 명하노니 독도는 울릉도로 옮길지어다’라고 하여 그대로 되었다면 기상천외한 일로 온 세계가 놀라게 될 것입니다. 그런데 주님 안에서는 겨자씨만한 믿음으로도 이런 일이 가능하리라 하셨습니다. 다만 겨자씨로 비유된 이 믿음은 인간의 능력이 아닌 하나님의 능력을 의미한다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말씀으로 오대양 육대주를 창조하셨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산을 옮길만한 믿음이 있을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것입니다.

 

3. 구제의 은혜

“내가 내게 있는 모든 것으로 구제하고 또 내 몸을 불사르게 내어 줄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내게 아무 유익이 없느니라”(3절).

구제의 은사를 받은 자는 덕을 세우는 것이 무엇보다 귀중합니다. 이러한 구제는 은사를 받지 않고는 열매가 맺어질 수 없기 때문입니다. 록펠러 재단이라면 세계에서 모르는 사람이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록펠러씨는 처음부터 그렇게 큰 부자였던 것이 아니었고, 또 그렇게 좋은 일 할 믿음도 없었던 사람이었습니다. 그런데 그가 오십사 세 젊은 나이에 불치의 병으로 죽어갈 때 하나님께 서원하고 기도하기를 “하나님께서 내게 주시는 물질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겠습니다. 한 번 더 기회를 주옵소서.”라고 하였습니다. 그 후 구십삼 세까지 살면서 세상을 떠나는 그 날까지 주님의 이름으로 교회와 교육 사업, 또 사회사업을 위해 수많은 일을 하게 되었습니다. 록펠러 재단에서 지급한 장학금으로 공부한 학생 일만 명 중에 노벨 수상자가 육십 명이 나왔다고 합니다.

그러나 주의해야 할 것은 구제가 물질로 그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How we give is more important than how much we give."

우리가 어떤 식으로 주느냐 하는 것이 우리가 얼마나 많이 주느냐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는 말입니다.

우리 모두 사명을 가지고 기도해야 합니다. 얼마 전 터키에 나가 있는 장혜경 선교사에게서 전화가 왔습니다. 그곳에서 새벽예배를 드리기 시작했는데 터키인도 함께 드린다고 하였습니다. 우리가 사명을 가질 때에 역사가 일어난다는 사실을 믿으셔야 합니다. 그러나 그리스도 없는 구제가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하루는 어릴 때부터 계명을 지켜온 청년이 주님을 찾아와서 물었습니다

“선생님이여 내가 무슨 선한 일을 하여야 영생을 얻으리이까”

“어찌하여 선한 일을 내게 묻느냐 선한 이는 오직 한 분이시니라...네가 온전하고자 할진대 가서 네 소유를 팔아 가난한 자들을 주라 그리하면 하늘에서 보화가 네게 있으리라 그리고 와서 나를 좇으라 하시니 그 청년이 재물이 많으므로 이 말씀을 듣고 근심하며 가니라”(마19:16-22).

단순하게 생각한다면 ‘부자 청년이 자기의 재산을 팔아 가난한 자들에게 나눠줄 수 있었다면 그가 구원을 받았을 텐데’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는 재산이 많으므로 그것을 지키기 위해 주님을 등졌다고 했습니다. 그리스도 없는 구제가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그것은 옅은 동정에 그칠 뿐이지만 복음을 앞세운 손길에는 구원의 열매가 맺어질 줄 믿으시기 바랍니다.

“은과 금은 내게 없거니와 내게 있는 것으로 네게 주노니 곧 나사렛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걸으라”(행3:6)

그때 복음의 능력은 성전 미문에서 구걸하던 앉은뱅이로 하여금 일어나 걷고 뛰면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하였습니다. ‘또 내 몸을 불사르게 내어 줄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내게 아무 유익이 없느니라’(3절). 이는 많은 생각에 잠기게 하는 말씀입니다.

사실 세상에는 그리스도의 사랑이 아닐지라도 생명을 불사르는데 던지는 사람을 볼 수 있습니다. 오늘도 이라크와 팔레스타인에는 폭탄을 품고 죽음으로 뛰어드는 자들이 그치지 않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들에게는 사랑 대신 증오심이 불타고 있을 뿐입니다.

“아버지여 그들을 사하여 주옵소서 자기의 하는 것을 알지 못함이니이다”(눅23:34).

기도하신 그리스도의 사랑이 그들의 가슴 속에 자리 잡고 있었다면 그럴 수는 없을 것입니다. 우리나라도 사회의 정의를 부르짖으며 희생도 불사한 젊은이들이 얼마나 많았습니까? 가슴 아픈 일이지만 그리스도 밖에서라면 누구도 그 희생을 보상받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위해서 살고, 위해서 목숨을 걸어야 할 절대적 가치는 독생자를 보내신 하나님의 사랑이요, 나를 위해 십자가에서 고난을 받으시고 돌아가신 그리스도의 사랑입니다. 이 사랑을 잃으면 어떠한 희생도 유익이 없다는 사실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사랑은 여기 있으니 우리가 하나님을 사랑한 것이 아니요 오직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사 우리 죄를 위하여 화목제로 그 아들을 보내셨음이니라”(요일서4:10).

“어느 때나 하나님을 본 사람이 없으되 만일 우리가 서로 사랑하면 하나님이 우리 안에 거하시고 그의 사랑이 우리 안에 온전히 이루느니라”(요일서4:12).

그리스도 없는 사랑을 논하지 말고 사랑이 결여된 은사라면 자랑하지 맙시다. 우리 모두 사랑의 사슬에 매인 바 되어 주님의 영광을 온 땅에 펼치는 성도들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Absolute value

1 Corinthians 13:1-3

 

After discussing the gifts of the Holy Spirit in Chapter Twelve, Paul said, “Desire yourselves for greater gifts, and I will show you the best way.” A greater gift and the best way mean love equally. Here is what scholars have to say about 1 Corinthians thirteen.

“This chapter has been the object of special praise of the Church through all generations” (Farrar).

“This is the greatest, most powerful, and most profound of Paul’s writings” (Harnack).

“This famous chapter is the culmination of Paul's account of the Christian life” (Craig).

“Love is the gateway to power in the church” (Findlay).

The text is an introduction to this love, saying that if you exclude love from any gifts and actions, you will lose the spiritual value, that is, the value of the truth.

 

1. The tongues of men and the words of angels

“If I speak in the tongues of men and of angels, but without love, I become a sounding copper and a ringing horn” (verse 1).

As for 'tongues of men', it is questionable whether it means that people from all over the world gathered around the world on the Day of Pentecost were talking in their own tongues and thought it strangely (Acts 2:5-8), or was it an incomprehensible tongue? There are also cons. However, since it contrasts with the ‘words of angels’ that follow, it is likely to be viewed as a dialect that people can understand. The gift of tongues is of paramount importance to the one who prays. However, if you remove love here, it loses its meaning. Therefore, we must be careful that tongues do not become the sounding copper and the ringing kkwaenggwari.

 

2. The power to prophesy and the faith to move mountains

“I have the power to prophesy, knowing all mysteries and all knowledge, and having all faith that can move mountains, but without love I am nothing” (verse 2).

It is also said that without love, none of these things can have any value.

None of these gifts mentioned in the text are invaluable. Also, gifts are not available to anyone who wants them.

1) The ability to prophesy

The gift of prophecy is to receive the Spirit of the prophet. When Saul sent messengers to Ramanaioth to arrest David, they prophesied, and even Saul was naked and prophesied all day (1 Samuel 19:20-24). The gift of prophecy is like an eye among the members.

“I am the Alpha and the Omega, the first and the last, the beginning and the end” (Revelation 22:13).

This is a saying that contains the meaning of omnipotence, who sees the origin of the universe and the world of eternity at a glance. When Moses received these eyes, he was able to see and write the history of God's creation and the history of the patriarchs on Mount Sinai. Also, Daniel learned the secret of the golden image. The Lord sees all our secrets. These are the words of the Lord to the seven churches in Asia.

“I know your works and your toil and your perseverance…” (Revelation 2:2),

“I know your affliction and need” (Revelation 2:9),

“I know where you live” (Revelation 2:13),

“I know your work, and your love, your faith, your service, and your patience” (Revelation 2:19),

“I know your works” (Revelation 3:1, 15).

It means that the Lord sees our past, present, and future at a glance with eyes like sparks. This is the spiritual perspective. We should pray so that we too can have these kind of spiritual eyes. But be careful not to lose the more precious love.

2) Faith that can move mountains

Because the Lord had healed a boy with epilepsy, his disciples asked quietly.

“Why couldn’t we drive them out?”

“Because of your little faith, I tell you the truth, if you have faith as small as a mustard seed, you will say to this mountain, ‘Move from here to there,’ and it will move, and nothing will be impossible for you” (Matthew 17:19-20).

If someone today said, “In the name of Jesus, I command you to move Dokdo to Ulleungdo,” and it happened, the whole world would be surprised by an extraordinary event. But in the Lord, even with faith the size of a mustard seed, these things are possible. However, this faith, likened to a mustard seed, refers to the power of God, not human power. God created the five oceans and six continents with the word. But even if you have the faith to move mountains like this, without love, it means nothing.

 

3. Grace of Salvation

“If I give with all that I have and if I give my body to be burned, without love it is of no avail to me” (verse 3).

Building up those who have received the gift of salvation is more valuable than anything else. This is because salvation cannot bear fruit without receiving the gift. If it was the Rockefeller Foundation, there would be no one in the world who did not know it. But Mr. Rockefeller wasn't that wealthy from the beginning, and he didn't have the faith to do such good things. However, when he was dying of an incurable disease at the young age of fifty-four, he made a vow to God and prayed, “I will glorify God with the material God gives me. Please give me one more chance.” After that, I lived up to the age of 93, and until the day I died, I did a lot of work for the church, education, and social work in the name of the Lord. It is said that out of 10,000 students who studied with scholarships from the Rockefeller Foundation, 60 were awarded Nobel Prizes.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relief should not be limited to material things.

“How we give is more important than how much we give.”

How we give is more important than how much we give.

We should all pray with a mission. Not long ago, I got a call from Missionary Hye-Kyung Jang, who was in Turkey. We started having a morning worship service there, and they said that the Turks would also do it. We must believe that history happens when we have a mission. But we must be careful that we do not become alms without Christ.

One day, a young man who has kept the commandments since childhood came to the Lord and asked

“Teacher, what good must I do to inherit eternal life?”

“Why do you ask me for a good thing? There is only one good one…If you want to be perfect, go and sell your possessions and give to the poor, and you will have treasure in heaven. When they heard these words, because there were many, they went away” (Matthew 19:16-22).

Simply put, you could say, 'If a rich young man could sell his property and give it to the poor, he would have been saved.' But he said he had a lot of wealth, so he turned his back on the Lord to keep it. What does salvation without Christ mean? It is only a slight sympathy, but please believe that the fruits of salvation will be produced by putting the gospel in front of you.

“Silver and gold I do not have, but what I have I give I give in the name of Jesus Christ of Nazareth, walk” (Acts 3:6).

At that time, the power of the gospel made the crippled man who was begging at the beautiful gate of the temple stand up and walk and jump to glorify God. “And even if I give my body to be burned, without love it is of no use to me” (verse 3). This is a very thought-provoking statement.

In fact, in the world, even if it is not the love of Christ, you can see people throwing their lives into the fire. Even today, in Iraq and Palestine, people carrying bombs and jumping to death do not stop. But instead of love, hatred is burning in them.

“Father, forgive them, for he does not know what he is doing” (Luke 23:34).

It would not be possible if the prayer of Christ's love had been entrenched in their hearts. How many young people were there in our country, who were willing to make sacrifices while crying out for social justice? It is heartbreaking, but no one outside of Christ can repay that sacrifice. The absolute value to live for and risk your life for is the love of God who sent his only begotten Son, and the love of Christ who suffered and died on the cross for me. Please remember that no sacrifice will be of any benefit if this love is lost.

“Herein is love, not that we loved God, but that God loved us and sent his Son as the propitiation for our sins” (1 John 4:10).

“No one has ever seen God; but if we love one another, God abides in us and his love is perfected in us” (1 John 4:12).

Let us not discuss love without Christ, and let us not boast of a gift that lacks love. I pray that all of us will be bound by the chains of love and become saints who spread the glory of the Lord throughout the earth. Amen

 

 

제일은 사랑

고전13:4-6

 

사랑은 모든 은사의 모체입니다. 그러므로 어떠한 행위도 사랑을 결여하면 무익하게 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오른손에 일곱별을 붙잡고 일곱 금촛대 사이에 다니시는 주님께서 에베소 교회에 지적한 말씀입니다.

“내가 네 행위와 수고와 네 인내를 알고 또 악한 자들을 용납지 아니한 것과 자칭 사도라 하되 아닌 자들을 시험하여 그 거짓된 것을 네가 드러낸 것과 또 네가 참고 내 이름을 위하여 견디고 게으르지 아니한 것을 아노라 그러나 너를 책망할 것이 있나니 너의 처음 사랑을 버렸느니라 그러므로 어디서 떨어진 것을 생각하고 회개하여 처음 행위를 가지라 만일 그리하지 아니하고 회개치 아니하면 내가 네게 임하여 네 촛대를 그 자리에서 옮기리라”(계2:2-5).

본문에서 언급하고 있는 이 사랑은 하나님의 사랑 곧 아가페의 사랑입니다. 성경에는 그리스도와 성도의 관계를 부부로 비유하는 것은 남녀가 함께 가정을 이루는 것을 행복으로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그리스도 밖에서의 만남은 영원한 행복이 아니라 모두가 그림자일 뿐입니다. 이로 인해 이제는 계약 결혼을 하는 자들이 있는가 하면 주거 형태도 혼자 살아가는 원룸이 늘어난다고 합니다. 그러나 그리스도 밖에서는 어떤 형태의 삶도 행복의 욕구를 채울 수 없는 것입니다.

 

1. 소극적인 사랑

이것은 성별이나 성격에 따른 차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자동차에 가속 페달과 정지 페달, 두 장치가 함께 필요한 것과 같이 사랑에 있어서도 동일니다.

1) 사랑은 오래 참고

중세 시대 “성 빈세트의 물을 마셔라”는 말이 있었는데, 유래는 부부 싸움이 그칠 날이 없어 수도원을 찾아온 사람에게 해결책으로 수도사는 수도원의 물을 한 병 떠 주면서 “남편이 술을 마시고 들어올 때마다 이 물을 머금고 삼키지는 마시오” 라고 하여 한 번, 두 번 그러다가 화목케 되어 전설로 내려오게 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좋아서 만난 사람이 살다 보면 미워지는 일들은 얼마든지 있습니다.

어떤 분은 “그래도 사랑해야 한다.” 하니 “아무리 사랑하려고 해도 사랑스러운 데가 있어야지요.” 푸념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문제는 자신을 모르고 살아가는데 있다고 할 것입니다. 부부는 어떤 경우에도 자기를 기준으로 삼아서는 안 될 것은 어느 쪽도 완전한 사람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Never try to make anyone like yourself - you know, and God knows, that one of you is enough"

“절대로 다른 사람을 당신과 같이 만들려 하지 말라 당신도 알고 하나님도 알듯이 당신 같은 사람은 하나면 족하다”는 말입니다.

현숙한 아내, 근면한 남편으로 주님을 모신 가정이라면 주님께서 복 내려 주실 줄 믿습니다.

2) 사랑은 온유하며

모두가 고향을 그리워하는 이유는 어머니의 사랑에 대한 그리움이 있기 때문입니다. 가정은 사랑의 보금자리입니다. 우리는 어디에 있든지 가정이 귀한 줄 알아야 합니다.

“사랑은 온유하며 투기하는 자가 되지 아니하며”(4절).

사랑을 잃어버리지 않도록 하십시오. 사랑은 행복을, 투기는 불행을 준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너는 나를 인 같이 마음에 품고 도장 같이 팔에 두라 사랑은 죽음 같이 강하고 투기는 음부 같이 잔혹하며 불 같이 일어나니 그 기세가 여호와의 불과 같으니라”(아8:6).

3) 사랑은 자랑하지 아니하며 교만하지 아니하며

평생을 함께 살아가는 배우자에게 기쁨을 주지 못하는 자가 다른 사람에게 신뢰받을 줄 생각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부부지간에 서로 존중하는 마음을 가지고 살아갈 때 그 가정은 끊임없이 발전하는 가정이 될 것입니다.

4) 무례히 행치 아니하며

사람은 가까울수록 예의를 지켜야 합니다. 요즘 젊은 사람들의 언어 예절을 보면 부부인지 오누이인지 분간하기 어렵습니다. 더욱 가부장적 문화에 젖어있는 남자들은 특히 언어폭력에 주의해야 합니다.

“남편 된 자들아 이와 같이 지식을 따라 너희 아내와 동거하고 저는 더 연약한 그릇이요 또 생명의 은혜를 유업으로 함께 받을 자로 알아 귀히 여기라 이는 너희 기도가 막히지 아니하게 하려 함이라”(벧전3:7).

‘지식을 따라 너희 아내와 동거하고’ 라는 이 말씀에 유의하여 아내에 대한 바른 이해가 있어야 할 것입니다. 아내 또한 하나님께서 짝지어 주신 남편을 존중하여 기쁘게 해야 합니다.

“무례히 행치 아니하며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아니하며 성내지 아니하며 악한 것을 생각하지 아니하며 불의를 기뻐하지 아니하며”(5-6).

진실한 사랑은 상대편을 먼저 배려할 줄 아는 데서 찾아야 할 것입니다. 또 불화가 있을지라도 마귀로 틈을 타지 못하도록 속히 풀어야 합니다.

“분을 내어도 죄를 짓지 말며 해가 지도록 분을 품지 말고 마귀에게 틈을 주지 말라”(엡4:26-27).

 

2. 적극적인 사랑

하나님의 사랑은 적극적인 사랑이요 선험적인 사랑입니다.

“진리와 함께 기뻐하고”(6절)

사랑하기에 삼가야 할 것은 마땅히 삼가야 하지만 진실한 사랑은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지녀야 합니다.

‘진리와 함께 기뻐하고’ 이는 우리가 살아가는 동안 그리스도의 기쁨을 나의 기쁨으로 삼아야 한다는 말씀입니다. 에덴동산에 불행이 찾아온 원인과 다윗의 왕가에 덮친 불행을 기억해야 합니다. 세상과 가까이하지 마십시오.

“간음하는 여자들이여 세상과 벗된 것이 하나님과 원수임을 알지 못하느뇨 그런즉 누구든지 세상과 벗이 되고자 하는 자는 스스로 하나님과 원수 되게 하는 것이니라 너희가 하나님이 우리 속에 거하게 하신 성령이 시기하기까지 사모한다 함을 헛된 줄로 생각하느뇨”(약4:4-5).

행복을 위해서 포도원을 허는 마귀의 유혹을 물리쳐야 합니다(아2:15).

“너는 네 우물에서 물을 마시며 네 샘에서 흐르는 물을 마시라 어찌하여 네 샘물을 집 밖으로 넘치게 하며 네 도랑물을 거리로 흘러가게 하겠느냐 그 물이 네게만 있게 하고 타인과 더불어 그것을 나누지 말라 네 샘으로 복되게 하라 네가 젊어서 취한 아내를 즐거워하라”(잠5:15-18).

 

3. 온전하게 하는 은혜

“사랑은 언제까지든지 떨어지지 아니하나 예언도 폐하고 방언도 그치고 지식도 폐하리라”(8절).

우리가 육체로 있는 동안은 예언과 방언뿐만 아니라 모든 은사가 중요합니다. 그러나 육체를 떠나 천국에 들어가면 이러한 은사가 필요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오직 천국에는 사랑만이 영원함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다만 어릴 때는 단단한 음식이 아닌 모유가 필요하듯 우리가 세상에 있는 동안에는 다양한 은사가 필요합니다.

“우리가 부분적으로 알고 부분적으로 예언하니 온전한 것이 올 때에는 부분적으로 하던 것이 폐하리라 내가 어렸을 때에는 말하는 것이 어린아이와 같고 생각하는 것이 어린아이와 같다가 장성한 사람이 되어서는 어린아이의 일을 버렸노라”(9-11).

아직도 옛사람의 생활 습관에 빠져있지는 않습니까? 우리는 그리스도의 온전한 분량에 이르도록 성장해야 합니다. 나무는 자라야 열매를 맺고 믿음은 성장해야 성령의 열매를 맺을 수 있습니다. 아이는 본능을 따르지만 장성한 사람은 이성으로 판단함과 같이 우리의 믿음도 어린아이로 있을 때는 아이의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하지만 장성하면 하나님의 뜻을 분변하고 따르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자신의 신앙이 얼마나 성장했는지 진단해 보아야 하겠습니다. 신앙 연조와 직분은 성장의 척도가 되지 못한다는 사실을 기억하십시오. 저는 어제 유명을 달리한 이상훈 성도 입관 예배를 드리면서 고인의 사진을 보고 저런 때도 있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나그네와 행인 같은 삶, 우리가 걷고 있는 고달픈 이 여정이 얼마나 남았는지 측정해 보십시오. 진리가 아니라면 빠져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저는 아버지를 미래의 거울로 생각하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지금은 청각이 약해서 대화를 하는데도 지장을 받고 있습니다. 며칠 전에 있었던 일입니다. 마침 부산 아시안 게임에 송종석 선수가 205kg을 번쩍 들어 금메달을 따는 것을 보고 “아버지 지금 들어올린 저 역도가 쌀이 두 가마 반이 넘는 무게입니다.” 했더니 “누가 죽었다고?” 하며 엉뚱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전도자의 말입니다. “너는 청년의 때 곧 곤고한 날이 이르기 전, 나는 아무 낙이 없다고 할 해가 가깝기 전에 너의 창조자를 기억하라”(전12:1).

“우리가 이제는 거울로 보는 것같이 희미하나 그때에는 얼굴과 얼굴을 대하여 볼 것이요 이제는 내가 부분적으로 아나 그때에는 주께서 나를 아신 것같이 내가 온전히 알리라 그런즉 믿음, 소망, 사랑, 이 세 가지는 항상 있을 것인데 그중에 제일은 사랑이라”(12-13).

아 멘

 

 

Best is love

1 Corinthians 13:4-6

 

Love is the mother of all gifts. Therefore, we must not forget that any action will be useless if it lacks love. These are the words the Lord pointed out to the church in Ephesus, holding the seven stars in his right hand and walking between the seven golden candlesticks.

“I know your deeds and your toil and your perseverance, and that you have not tolerated evildoers, that you have revealed their lies by testing those who claim to be apostles but are not; You have left your first love. Therefore, remember where you fell, repent and do the first works. If you do not do so and do not repent, I will come to you and remove your lampstand from its place” (Rev 2:2-5).

This love mentioned in the text is the love of God, the love of agape. The Bible compar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 and the saints as a married couple because it is considered happiness for a man and a woman to establish a family together. But meeting outside of Christ is not eternal happiness, but everyone is just a shadow. As a result, it is said that some people are getting married by contract, and the number of one-room apartments living alone is increasing. But outside of Christ, no form of life can satisfy the desire for happiness.

 

1. Passive love

This does not imply differences based on gender or personality. Just as a car needs an accelerator and a stop pedal, it's the same in love.

1) Love is patient

In the Middle Ages, there was a saying, “Drink the water of St. Vinset,” but the origin is that the couple’s fight never stops. Do not swallow this water every time.” This is the story of once or twice, and then reconciled and became a legend.

There are many things in life that people you like and meet will hate.

Some say, “You still have to love.” Hani said, “No matter how much you try to love, there must be something lovely.” There are people who complain. I would say that the problem lies in living without knowing yourself. A couple should never, under any circumstances, use themselves as a standard, because neither of them is perfect.

“Never try to make anyone like yourself - you know, and God knows, that one of you is enough”

“Never try to make other people like you. As you and God know, one person like you is enough.”

I believe that the Lord will bless a family that has the Lord as a virtuous wife and hardworking husband.

2) Love is gentle

The reason everyone misses their hometown is because they miss their mother's love. Home is the nest of love. We need to know that our homes are precious wherever we are.

“Love is gentle and does not envy” (verse 4).

Don't lose love. We must not forget that love brings happiness and speculation brings unhappiness.

“Take me in your heart like a seal, put me on your arms like a seal; love is strong as death, envy is cruel as hell, it rises like fire, and its spirit is like the fire of the LORD” (Song of Solomon 8:6).

3) Love does not boast, it is not arrogant,

A person who cannot bring joy to his lifelong partner should not expect to be trusted by others. When husband and wife live with mutual respect, the family will become a family that is constantly developing.

4) Not being rude

The closer a person gets, the more polite they should be. Looking at the language etiquette of young people these days, it is difficult to tell whether they are a married couple or a brother-in-law. Men who are immersed in a more patriarchal culture should be especially wary of verbal abuse.

“Husbands, in the same way, live together with your wives according to knowledge, knowing that he is a weaker vessel and as an heir with the grace of life, honor it, so that your prayers may not be hindered” (1 Peter 3:7).

You should have a proper understanding of her wife by heeding this saying ‘according to her knowledge you shall dwell with your wives’. Her wife must also honor and please her God-matched husband.

“It is not rude, does not seek its own, is not provoked, thinks no evil, does not rejoice in iniquity” (5-6).

True love should be found in knowing how to care for the other person first. Also, even if there is a conflict, it must be resolved quickly so that the devil does not take advantage of it.

“Be angry, but do not sin; do not let the sun go down on your anger, and do not give opportunity to the devil” (Ephesians 4:26-27).

 

2. Active love

God's love is active love and a priori love.

“Rejoice in the truth” (verse 6)

What should be refrained from in love should be refrained from, but true love requires an active and positive attitude.

“Rejoice with the truth” means that we should make the joy of Christ our joy as we live. We must remember the cause of misfortune in the Garden of Eden and the misfortune that fell upon David's royal family. Don't get close to the world.

“Women who commit adultery, do you not know that friendship with the world is enmity with God? Therefore, whoever wishes to be friends with the world makes himself enmity with God. do you think it is vain” (James 4:4-5).

For happiness, we must resist the devil's temptation to destroy the vineyard (Song 2:15).

“Drink from your well, and drink the water that flows from your spring. Why should you let your spring overflow out of the house, and make your ditch run into the street? Let it be yours alone, and do not share it with others. Bless you, and rejoice in the wife of your youth” (Proverbs 5:15-18).

 

3. Perfecting Grace

“Love never fails, but prophecy will pass away, tongues will cease, knowledge will pass away” (verse 8).

While we are in the flesh, all the gifts are important, not just prophecy and tongues. But do we need these gifts when we leave the body and enter heaven? It's not like that. Please believe that only love is eternal in heaven. But just as we need breast milk, not solid food, when we are young, we need various gifts while we are in the world.

“For we know in part and prophesy in part; when the perfect comes, the partial will be destroyed.” (9) -11).

Aren't you still immersed in the lifestyle of the old people? We must grow to the full measure of Christ. A tree must grow to bear fruit, and faith must grow to bear the fruit of the Holy Spirit. Just as a child follows instinct, but a mature person judges by reason, our faith does not deviate from the child's thoughts when we are children, but when we grow up, we can discern and follow God's will.

We need to assess how much our faith has grown. Remember that faith years and positions are not a measure of growth. I saw a picture of the deceased while attending the funeral service for Saint Sang-hoon Lee, who passed away yesterday, and thought that there was a time like that.

Life as a stranger and a passerby, measure how far we are left on this arduous journey. If it is not the truth, we must be careful not to fall into it.

I live my life thinking of his father as a mirror of the future. Now, my hearing is weak, so it's difficult for me to talk. It happened a few days ago. At the Asian Games in Busan, Song Jong-seok lifted 205 kg to win a gold medal and said, “Father, that weightlifter that I lifted now weighs more than two and a half bags of rice.” I said, "Who's dead?" and gave an erratic reaction.

The preacher's words. “Remember your Creator in the days of your youth, before the days of trouble come, and before the year draws near, when you will say that I have no pleasure in you” (Ecclesiastes 12:1).

“Now we see as dimly as in a mirror, but then we will see face to face; now I know in part, then I will know fully, as the Lord knows me. The greatest is love” (12-13).

Amen

 

 

깨달은 다섯 마디

고전 14:1-19

 

‘울며 태어나서 잠깐 웃음 짓다가 눈물짓고 떠나는 것이 인생이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저는 어제 현태 군과 선아 양의 결혼식을 마친 다음, 원자력 병원으로 가서 박기훈 성도의 마지막 임종 예배를 드린 일이 있었습니다. 마침 고인이 살았을 때 시신을 기증하기로 했기에 시신은 즉시 가톨릭 병원에서 인수해 가게 되었습니다. 며칠 전만 하여도 “목사님, 이제는 목사님 시키는 대로 순종하며 살겠습니다.” 약속 했는데... 이것이 인생입니다.

기회를 잃고 후회하는 사람이 되지 맙시다. 무엇을 위해서 오늘을 살아가고 있습니까?

“내일 일을 너희가 알지 못하는도다 너희 생명이 무엇이뇨 너희는 잠깐 보이다가 없어지는 안개니라”(약4:14).

"The greatest use of life is to spend it for something that will outland it."

“인생을 가장 보람 있게 사는 방법은 영원히 지속될 것을 위하여 그것을 사용하는 것이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우리는 허무한 것에 매여 종살이하지 말고 하나님 섬기는 일에 앞장서는 성도가 되어야 하겠습니다.

본문 말씀은 십이 장에 이어 다시 신령한 은사 곧 방언과 예언에 있어서 교회의 덕을 논하고 있습니다. 저의 간절한 바람이 있다면 모든 성도가 방언의 은사를 받았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오순절 다락방에 성령이 임했을 때 예루살렘을 떠나지 아니하고 주님의 분부대로 기도하던 성도들을 보십시오.

“그들이 다 성령의 충만함을 받고 성령이 말하게 하심을 따라 다른 방언으로 말하기를 시작하니라”(행2:4).

오늘도 주님의 약속을 믿고 기도에 힘쓰면 은혜가 충만해지고 은혜가 충만하면 모든 은사가 충만하게 될 줄 믿습니다.

 

1. 사랑을 따라 구하라.

“사랑을 따라 구하라 신령한 것을 사모하되 특별히 예언을 하려고 하라”(1절).

사랑은 은사의 모체입니다. 교회가 부흥되는 생명의 원동력이 무엇일까요? 물론 물질이 필요합니다. 저는 우리 성도들이 오늘은 십만 원, 이십만 원의 십일조일지라도 오래지 않아 삼십 배, 육십 배, 백 배의 복을 받게 되기를 소원합니다. 그런데 이보다 더 귀한 재산은 우리의 믿음입니다. 마게도냐 교회가 받은 은혜를 보십시오.

“형제들아 하나님께서 마게도냐 교회들에게 주신 은혜를 우리가 너희에게 알게 하노니 환난의 많은 시련 가운데서 그들 넘치는 기쁨과 극한 가난이 그들로 풍성한 연보를 넘치도록 하게 하였느니라”(고후8:1-2).

오늘 이러한 은혜를 우리도 힘입도록 기도하는 성도들이 되어야 하겠습니다. ‘교회 성장학회’에서 말하고 있는 성장하는 교회의 여덟 가지 원칙입니다.

1) 평신도를 사역자로 세우는 교회

2) 은사 중심으로 사역하는 교회

3) 뜨거운 영성을 소유한 교회

4) 다양한 조직들이 제 기능을 다하는 교회

5) 준비된 예배, 영감이 넘치는 교회

6) 소그룹을 통해 치유가 일어나는 교회

7) 불신자들이 필요로 하는 부분을 충족시키며 자연스럽게 전도하는 교회

8) 교인관계에 사랑이 넘쳐서 가고 싶어 하는 교회

이러한 요소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우리가 할 일은 기도입니다. 저는 이 강단에서 전하는 최후의 순간까지 가장 강조해야 할 것이 있다면 기도라고 생각합니다. 주님께서 제자들에게 마지막으로 분부하신 말씀입니다.

“예루살렘을 떠나지 말고 내게 들은 바 아버지의 약속하신 것을 기다리라”(행1:4).

그때 열한 제자들을 비롯하여 모인 자들이 마음을 같이하여 전혀 기도에 힘썼다(행1:13-14)고 하였습니다. 전도가 중요하고 봉사가 중요합니다. 그러나 기도가 없이는 성령의 역사가 일어날 수 없는 것입니다.

“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행1:8).

이십 세기 세계적으로 부흥의 불길을 일으킨 전도자 빌리 그래함 목사를 통해 일어난 이야기입니다. 미국 부시 대통령도 그분을 만나기까지는 술을 먹고 방탕의 길을 걸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사십일 세에 변화 받고 지금은 미국의 대통령이 되었습니다.

중요한 것은 전도의 열매는 이 가지에서 또 다른 가지로 뻗어나간다는 사실입니다. 하루는 뉴욕에서 빌리 그래함 목사가 전도 집회를 하는데 동부에서 크게 사업을 하는 필립이라는 사람이 은혜를 받고 새사람이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인생관이 변하고 물질관이 변했습니다. 그 말을 듣고 그를 찾은 사람이 있었는데 그가 바로 닉슨 미국 전 대통령의 친구이자 보좌관이던 챨스 콜슨이었습니다.

그는 그 당시 Water gate 사건으로 궁지에 몰려 있었는데 니고데모 같이 밤에 찾아가서 “네가 변화 받은 비결을 내게도 알려 줄 수 없겠느냐” 하여 그가 은혜받은 간증을 한 다음 손을 붙잡고 기도하는 순간인데 자기에게 강력한 에너지가 흘러드는 것을 체험하고 그 길로 뛰쳐나가 자동차 안에서 얼마나 울었는지 마치 물속을 헤매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고 했습니다. 은혜의 역사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습니다. 그 후 그는 법정 재판에서 칠 개월 형을 받고 감옥에 있는 동안 얼마나 열심히 전도했는지 교도소 안에서 놀라운 변화의 역사가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그는 출감된 후 ‘거듭난 사람’ 이라는 책을 비롯하여 수많은 간증집을 출간하고 전국망을 가진 방송에도 진행을 맡아 죄수들을 위해 헌신하는 일로 템플턴 상을 받았습니다. 이것이 쓰라린 과정을 통해 맛보게 된 은혜의 열매입니다. 사랑을 따라 기도하십시오. 주님께서 나를 도구로 들어 쓰시면 능치 못할 일이 없음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2. 예언과 방언

이는 동일한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분명한 것은 모든 은사를 각각 지체의 기능에 따라 내려 주신다는 것입니다. 다만 어떠한 은사든지 교회에 덕을 세우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방언을 말하는 자는 사람에게 하지 아니하고 하나님께 하나니 이는 알아듣는 자가 없고 그 영으로 비밀을 말함이니라 그러나 예언하는 자는 사람에게 말하여 덕을 세우며 권면하며 안위하는 것이요 방언을 말하는 자는 자기의 덕을 세우고 예언하는 자는 교회의 덕을 세우나니 나는 너희가 다 방언 말하기를 원하나 특별히 예언하기를 원하노라 방언을 말하는 자가 만일 교회에 덕을 세우기 위하여 통역하지 아니하면 예언하는 자만 못하리라”(2-5).

여기서 바울은 방언이 절제를 필요로 하는 것은 교회에서 방언으로 공중기도를 올릴 때는 성도들이 아멘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런즉 형제들아 내가 너희에게 나아가서 방언을 말하고 계시나 지식이나 예언이나 가르치는 것이나 말하지 아니하면 너희에게 무엇이 유익하리요... 만일 나팔이 분명치 못한 소리를 내면 누가 전쟁을 예비하리요 이와 같이 너희도 혀로서 알아듣기 쉬운 말을 하지 아니하면 그 말하는 것을 어찌 알리요 이는 허공에다 말하는 것이라”(6,8-9).

혹자는 바울이 은사의 차등을 말하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바울이 방언에 대해 하신 말씀입니다.

“내가 너희 모든 사람보다 방언을 더 말하므로 하나님께 감사하노라”(18절).

“내가 만일 방언으로 기도하면 나의 영이 기도하거니와 나의 마음은 열매를 맺히지 못하리라 그러면 어떻게 할꼬 내가 영으로 기도하고 또 마음으로 기도하며 내가 영으로 찬미하고 또 마음으로 찬미하리라 그렇지 아니하면 네가 영으로 축복할 때 무식한 처지에 있는 자가 네가 무슨 말을 하는지 알지 못하고 네 감사에 어찌 아멘하리요”(14-16).

 

3. 깨달은 다섯 마디

미국에서 있었던 일로서 목사가 유명 배우와 주고받은 이야기입니다.“당신은 꾸며서 하는 말인데 어쩌면 그렇게 사람을 그렇게 웃기고 울릴 수 있지요?”

“예, 나는 거짓을 진리 같이 말하고 당신은 진리를 진리가 아닌 것같이 말하는데 있소.” 라고 했다고 합니다. 진리는 깨달은 자가 소유할 수 있는 보배입니다. 아무리 값진 보배일지라도 그 가치를 알지 못하면 소용이 없는 것입니다.

“교회에서 네가 남을 가르치기 위하여 깨달은 마음으로 다섯 마디 말을 하는 것이 일만 마디 방언으로 말하는 것보다 나으니라”(19절).

여기서 언급하는 방언은 육에 속한 언어가 아니라 영에 속한 언어가 분명합니다. 그러나 알아듣지 못하는 일만 마디보다 자신이 깨달은 다섯 마디가 남을 가르치는데 더 효과가 있다는 말씀입니다.

“믿는 자들에게는 이런 표적이 따르리니 곧 그들이 내 이름으로 귀신을 쫓아내며 새 방언을 말하며”(막16:17).

새 방언은 역시 영에 속한 언어입니다. 주님께서 복음을 전하실 때 알아들을 수 없는 다른 방언으로 전하지 않았는데 유대인들이 알아듣지 못한 이유가 어디에 있었습니까? 영에 속한 언어 곧 방언이기 때문입니다. 영에 속한 말씀은 영의 귀가 열려야 알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듣는 귀와 보는 눈과 깨닫는 지각을 가진 자가 복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십자가의 도를 일깨워 주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시기 바랍니다. .

“Salvation is a free, but it's not yours until you receive it."

“구원은 거저 받는 선물이다. 그러나 그것을 받기 전에는 당신 것이 아니다”는 말입니다. 뿐만 아니라 거듭난 체험이 없는 자라면 복음의 열매를 맺기 어려울 것입니다.

어려운 복음, 또 믿음의 증거가 없는 복음을 전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우리도 물동이를 버려두고 동네에 들어가서 복음을 외쳤던 제이 수가성 여인이 되어야 하겠습니다.

“내가 행한 모든 일을 내게 행한 사람을 와서 보라 이는 그리스도가 아니냐”

“내가 행한 모든 것을 그가 내게 말하였다”(요4:29, 39).

우리 모두 이 진리를 굳게 붙들고 만민에게 증언하는 믿음의 성도들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Five words I realized

1 Corinthians 14:1-19

 

I think, 'Life is about being born crying, laughing for a while and then leaving with tears'. After finishing the wedding of Hyun-tae and Seon-ah yesterday, I went to the nuclear power hospital and held the last death service of Saint Park Ki-hoon. When the deceased was still alive, it was decided to donate the body, so the body was immediately taken over by a Catholic hospital. Just a few days ago, “Pastor, I will now obey the pastor’s orders and live my life.” I promised... this is life.

Let's not be the person who loses the opportunity and regrets it. What are you living today for?

“You do not know what will happen tomorrow. What is your life? You are a mist that appears for a moment and then vanishes” (James 4:14).

"The greatest use of life is to spend it for something that will outland it."

There is a saying, “The most rewarding way to live life is to use it for something that will last forever.” We should not be slaves to vain things, but rather become saints who take the lead in serving God.

Following the twelfth chapter, the text discusses the virtues of the church in spiritual gifts, that is, tongues and prophecy. If there is one earnest wish, I want all the saints to receive the gift of speaking in tongues. Look at the saints who did not leave Jerusalem and prayed as the Lord commanded when the Holy Spirit came upon the upper room on the day of Pentecost.

“And they were all filled with the Holy Spirit and began to speak with other tongues as the Spirit gave them utterance” (Acts 2:4).

Even today, if we believe in the Lord's promises and work hard in prayer, we will be filled with grace, and if we are full of grace, we will be filled with all the gifts.

 

1. Seek after love.

“Ask after love, longing for spiritual things, especially to prophesy” (verse 1).

Love is the mother of gifts. What i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revival of the church? Of course you need material. I hope that our members will receive a 30-fold, sixty-fold, and a hundred-fold blessing in the near future, even if they pay a tithe of 100,000 won or 200,000 won today. But more precious than this is our faith. Look at the grace the Macedonian church has received.

“We make known to you, brethren, the grace that God has given to the churches of Macedonia, that in the midst of many trials of tribulation, their overflowing joy and extreme poverty made them rich in generosity” (2 Corinthians 8:1-2).

Today, we must become the saints who pray so that we can receive this grace as well. These are the eight principles of a growing church that are being talked about by the Church Growth Society.

1) A church that raises the laity as ministers

2) A church that works through the gifts

3) A church with a fervent spirituality

4) A church in which various organizations fulfill their functions

5) Prepared worship, a church full of inspiration

6) A church where healing occurs through small groups

7) A church that meets the needs of unbelievers and naturally evangelizes

8) A church you want to go to because your relationship is overflowing with love

In order to fulfill these factors, all we have to do is pray. I think the most important thing to emphasize until the very last moment delivered from this pulpit is prayer. These are the last words of the Lord to his disciples.

“Do not leave Jerusalem, but wait for the promise of the Father, which you have heard from me” (Acts 1:4).

At that time, it is said that the eleven disciples and others who had gathered together devoted themselves to prayer (Acts 1:13-14). Evangelism is important and service is important. However, the work of the Holy Spirit cannot happen without prayer.

“But you will receive power when the Holy Spirit comes on you; and you will be my witnesses in Jerusalem, and in all Judea and Samaria, and to the ends of the earth” (Acts 1:8).

It is the story of the Rev. Billy Graham, an evangelist who sparked a flame of revival around the world in the 20th century. It is said that President Bush of the United States also drank and walked the path of debauchery until he met him. By the way, he changed at the age of forty-one and is now 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fruits of evangelism extend from one branch to another. One day, Pastor Billy Graham held an evangelism meeting in New York, and a man named Philip, who runs a big business in the East, received grace and became a new person. Because of this, my view of life has changed and my view of materialism has changed. Hearing these words, someone found him, and he was Charles Colson, a friend and aide to former US President Nixon.

At that time, he was in a predicAment due to the Water gate incident. He went to visit him at night with Nicodemus and said, “Can you also tell me the secret of your transformation?” He gave a gracious testimony and then held hands and prayed. He said that he experienced the flow and ran out onto the road and cried so much in the car that he felt as if he was lost in the water. The work of grace did not stop there. After that, he was sentenced to seven months in a court of law and how hard he preached while in prison. A remarkable change of work took place in the prison. After he was released from prison, he published numerous testimonies, including a book called 'The Born Again', and hosted a national broadcast, receiving the Templeton Award for his dedication to prisoners. This is the fruit of grace that we have tasted through the bitter process. Pray according to love. If the Lord uses me as a tool, please believe that nothing is impossible.

 

2. Prophecy and Tongues

This is the same grace of God. What is clear is that all gifts are bestowed on each member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each member. However, care must be taken to edify the church with any gift.

“He who speaks in a tongue does not speak to men, but to God; for no one understands, but the Spirit speaks mysteries. But he who prophesies speaks to men for edification, exhortation, and comfort; and he who speaks in a tongue edifies himself and prophesies. He who speaks in a tongue builds up the church, and I want all of you to speak in tongues, but I especially want to prophesy. If a speaker does not interpret for the edification of the church, he will not be as good as a prophecy” (2-5).

Here, Paul said that speaking in tongues requires moderation because the saints cannot say Amen when public prayers are held in tongues in the church.

“Therefore, brethren, what profit is it to you, if I come to you and speak in tongues, but do not speak knowledge, prophecy, or teaching? If he does not speak plain words, how can he know what he is saying, which speaks into empty space” (6:8-9).

Some think that Paul is referring to the difference in gifts, but he is not. This is what Paul was saying about tongues.

“I thank God that I speak in tongues more than all of you” (verse 18).

“If I pray in a tongue, my spirit prays, but my heart is unfruitful. What shall I do then? I will pray with the spirit, and I will pray with the heart, and I will sing with the spirit and with the heart. How can someone who is in a ignorant situation do not know what you are talking about and say Amen to your thanks?” (14-16).

 

3. Five words I realized

This is a story that happened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pastor exchanged it with a famous actor. “You are making up your own words, but maybe you can make people laugh and cry like that?”

“Yes, I speak lies as truth and you speak truth as untruth.” said that. Truth is a treasure that can be possessed by those who have realized it. No matter how precious a treasure is, it is of no use if you do not know its value.

“It is better for you to speak five words with an understanding heart than ten thousand words in a tongue to teach others in the church” (verse 19).

It is clear that the tongues mentioned here are not natural languages, but spiritual languages. However, it is said that the five words that one understands are more effective in teaching others than the ten thousand words that one does not understand.

“And these signs shall accompany those who believe, in my name they will cast out demons, and they will speak with new tongues” (Mark 16:17).

The new tongue is also a language of the spirit. When the Lord preached the gospel, he did not preach it in another tongue that could not be understood, so what was the reason why the Jews did not understand it? Because it is a language belonging to the spirit, that is, a tongue. Words belonging to the spirit can only be known when the ears of the spirit are opened.

Therefore, it is said, “Blessed are those who have ears to hear, eyes to see, and understanding to understand.”

Please give glory to God who awakened the way of the cross. .

“Salvation is a free, but it's not yours until you receive it.”

“Salvation is a free gift. But until you receive it, it is not yours.” Moreover, it will be difficult for those who have not been born again to bear the fruits of the gospel.

We must not preach the difficult gospel and the gospel without evidence of faith. We, too, should become the J. Suga-sung women who left their water jars behind and went into the neighborhood and preached the gospel.

“Come and see the man who has done all that I have done, is this not the Christ?”

“He told me all I had done” (John 4:29, 39).

I pray that all of us will hold fast to this truth and become believers of faith who testify to all people. Amen

 

 

 

질서의 하나님

고전 14:20-33

 

“쉬지 말고 기도하라”(살전5:17). 당부하신 바울은 방언으로 기도하는 시간이 많았습니다.

“내가 너희 모든 사람보다 방언을 더 말하므로 하나님께 감사하노라”(18절).

“그러나 교회에서 네가 남을 가르치기 위하여 깨달은 마음으로 다섯 마디 말을 하는 것이 일만 마디 방언으로 말하는 것보다 나으니라”(19절).

본문에서 언급하고자 하는 것은 교회 안에서의 질서에 관한 말씀입니다.

 

1. 지혜에는 장성한 사람

“형제들아 지혜에는 아이가 되지 말고 악에는 어린아이가 되라 지혜에 장성한 사람이 되라”(20절).

인간은 연령에 따라 성장이 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사람이 바른 도리를 따라 살며 옳은 길을 가야하는 성숙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하나님으로부터 임하는 지혜와 지식의 은혜를 받아야 합니다. 거기서 진리와 비진리, 선과 악을 깨달을 수 있고 육신에 속한 것과 영에 속한 것을 분별하므로 인간다운 삶을 살아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여호와를 아는 지혜와 지식의 은혜가 더욱 충만하기를 소원합니다.

 

2. 악에는 어린아이

이것은 죄에 물들지 않은 순수한 믿음과 자기를 낮추는 겸손을 의미합니다. 사람은 모두 하나님의 거룩하신 형상을 따라 지음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형상을 잃어버리고 이성 없는 짐승과 다름없이 완악한 모습을 드러내기도 합니다. 하루는 제자들이 주님께 “천국에서는 누가 크니이까”하고 물었을 때 주님께서 하신 말씀입니다.

“어린아이를 불러 그들 가운데 세우시고 ...너희가 돌이켜 어린 아이들과 같이 되지 아니하면 결단코 천국에 들어가지 못하리라 그러므로 누구든지 이 어린아이와 같이 자기를 낮추는 그이가 천국에서 큰 자니라”(마18:1-4).

하나님께서는 어린아이와 같이 마음을 비우고 자신을 낮추는 자를 존귀하게 하신다는 사실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그러므로 죄에는 물들지 않고 악에는 어린아이가 되어야 합니다.

 

3. 방언과 예언

“방언은 믿는 자들을 위하지 않고 믿지 아니하는 자들을 위하는 표적이나 예언은 믿지 아니하는 자들을 위하지 않고 믿는 자들을 위함이니”(22절).

같은 성령으로 받는 은사이지만 사람마다 다르며 또 사역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그 중에 치유의 은사는 병든 자를 고치기 위해 주신 선물이므로 이 은사를 받은 자는 주님의 이름으로 병을 고칠 수 있는 것입니다. 이같이 방언의 은사는 영적인 기도로 하나님과의 영적인 교제를 이루게 됩니다. 오순절 날 성령이 임하신 일로 사도들과 성도들이 방언하는 것을 보고 무리가 보인 반응입니다.

“그때에 경건한 유대인이 천하 각국으로부터 와서 예루살렘에 우거하더니 이 소리가 나매 큰 무리가 모여 각각 자기의 방언으로 제자들의 말하는 것을 듣고 소동하여 다 놀라 기이히 여겨 이르되 보라 이 말하는 사람이 다 갈릴리 사람이 아니냐 우리가 우리 각 사람의 난 곳 방언으로 듣게 되는 것이 어찜이뇨”(행2:5-8).

“율법에 기록된 바 주께서 이르시되 내가 다른 방언하는 자와 다른 입술로 이 백성에게 말할지라도 그들이 오히려 듣지 아니하리라”(21절).

“믿음은 하나님의 선물”(엡2:8)입니다. 오늘 우리에게 이 믿음 주신 것을 감사하시기 바랍니다. 방언에 비해 예언은 믿는 자들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덕을 세우는 은사입니다.

“다 예언을 하면 믿지 아니하는 자들이나 무식한 자들이 들어와서 모든 사람에게 책망을 들으며 모든 사람에게 판단을 받고 그 마음의 숨은 일이 드러나게 되므로 엎드리어 하나님께 경배하며 하나님이 참으로 너희 가운데 계시다 전파하리라”(24-25).

선지자 나단의 책망을 통해 은밀한 중에 범죄한 다윗이 회개하였고, “오늘밤 닭이 울기 전에 네가 나를 세 번 부인하리라”는 주님의 말씀이 있었기에 베드로가 닭의 울음소리를 듣고 슬피 울며 회개하였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은 살아있어 심원 골수 관절을 찔러 쪼갠다.”고 하였습니다. 말씀이 살아있는 교회가 산 교회요, 말씀에 반응하는 심령이 살아있는 믿음입니다.

 

4. 은사와 질서

“그런즉 형제들아 어찌할꼬 너희가 모일 때에 각각 찬송시도 있으며 가르치는 말씀도 있으며 계시도 있으며 방언도 있으며 통역함도 있나니 모든 것을 덕을 세우기 위하여 하라”(26절).

은사를 받은 분들은 특히 주의해야 할 말씀입니다. 하나님은 어지러움의 하나님이 아니라 질서의 하나님이십니다. 엘리야가 승천하는 순간까지 따르기를 멈추지 않았던 엘리사가 승천 직전에 엘리사와 주고받은 말입니다.

“나를 네게서 데려감을 당하기 전에 내가 네게 어떻게 할지를 구하라”

“당신의 성령이 하시는 역사가 갑절이나 내게 있게 하소서”(왕하2:9).

“네가 어려운 것을 구하는도다 그러나 나를 네게서 데려가시는 것을 네가 보면 그 일이 네게 이루어지려니와 그렇지 아니하면 이루어지지 아니하리라”(왕하2:10).

여호수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하나님께서 모세가 살아 있는 동안에는 누구에게도 모세를 능가하는 영감을 주시지 않으시고 모세에게 도전하는 자들을 용납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어떤 은사일지라도 교회에서 덕을 세우지 못하면 그것은 하나님의 영광을 가리며 교회에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만일 누가 방언으로 말하거든 두 사람이나 다불과 세 사람이 차서를 따라 하고 한 사람이 통역할 것이요 만일 통역하는 자가 없거든 교회에서는 잠잠하고 자기와 및 하나님께 말할 것이요 예언하는 자는 둘이나 셋이나 말하고 다른 이들은 분변할 것이요 만일 곁에 앉은 다른 이에게 계시가 있거든 먼저 하던 자는 잠잠할지니라”(27-30).

또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어떠한 은사든지 은사 받은 사람이 절제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특별하신 뜻이 계실 때에는 혈육과 의논하지 말고 성령의 열매를 맺도록 해야 합니다. 성령을 소멸하지 마십시오. 또 근심시키는 일이 있어서도 안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항상 은혜 충만, 능력 충만, 은사 충만을 위해 기도해야 합니다.

 

5. 교회 안에서 여자의 위치

“모든 성도의 교회에서 함과 같이 여자는 교회에서 잠잠하라 그들의 말하는 것을 허락함이 없나니 율법에 이른 것같이 오직 복종할 것이요 만일 무엇을 배우려거든 집에서 자기 남편에게 물을지니 여자가 교회에서 말하는 것은 부끄러운 것임이라 하나님의 말씀이 너희에게로부터 난 것이냐 또는 너희에게만 임한 것이냐”(34-36).

이 말씀은 바울이 남자이므로 가부장적인 편견을 가지고 여자를 비하하기 위한 의도로 말한 것이 아닙니다. 남녀를 상하 개념이 아니라 질서의 개념으로 보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역사를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교훈은 유명한 인물의 배후에는 두 여인이 있는데 어머니와 아내입니다.

시력장애를 가진 강영우 박사의 가장 큰 은인은 아내의 헌신적인 사랑이었습니다. 그가 중학교 일 학년 때에 시력을 잃고 이 년 동안 시력을 찾기 위해 하나님께 몸부림치며 기도했지만 회복이 되지 않자 점자 글을 익혀서 5년이 지난 후에 다시 중학교 과정에 들어갔는데, 그때 마침 자기에게 등록금을 후원해 주기 위해 찾아온 다섯 여대생들이 있었는데 그중 친절한 한 여대생이 아내가 되었다고 했습니다.

그 당시 그분은 부잣집의 고명딸로 숙명여대에 다니고 있었으며, 자신은 시력장애를 가진 중학생이었으므로 부부될 생각을 품을 수가 없지요. 그런데 시간이 지날수록 사랑이 깊어 부모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결혼하여 오늘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한 여인의 헌신적인 사랑으로 인해 강영우 박사는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인물이 되었고, 그 아들들 또한 훌륭하게 자라 큰아들은 아버지의 눈을 밝히겠다는 꿈을 품고 하버드대학에서도 가장 들어가기 힘든 의과대학에서 공부하여 안과 박사가 되었고, 작은아들 부부는 세계적인 명문대학에서 법학을 공부하여 미국 국회에서 최연소 법률 연구위원으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법률 고문으로 일하고 있다고 합니다.

가장 불행했던 사람이 한 여인으로 말미암아 이처럼 놀라운 변화를 가져오게 된 사례입니다. 주님께서 부활하신 영광스런 몸을 누구에게 제일 먼저 보였습니까? 옥합을 깨뜨린 여인이었습니다.

저는 하나님께서 1부, 2부 새벽예배를 허락하신 은혜를 감사를 드립니다. 과연 깨어 있는 기도는 생명의 원동력이 됨을 믿습니다. 믿음이 타성에 빠져들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하루에 세 번 이상 “새벽을 깨우소서”라는 기도를 잊지 말고 드려야 할 것입니다. 기도로 헌신하는 분들이 큰 일꾼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장로님들을 위해 많이 기도해주시고 또 안수집사님들을 위해서 기도 많이 해주십시오. 우리 모두 브리스길라와 아굴라 부부와 같이 생명록에서 빛을 발하는 성도들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God of order

1 Corinthians 14:20-33

 

“Pray without ceasing” (1 Thessalonians 5:17). Paul had a lot of time to pray in tongues.

“I thank God that I speak in tongues more than all of you” (verse 18).

“But in the church it is better for you to speak five words with an understanding heart, than ten thousand words in a tongue, in order to teach others” (verse 19).

What I would like to mention in this text is a word about order in the church.

 

1. A mature person in wisdom

“Brothers, do not be children in wisdom, but children in evil; become mature in wisdom” (verse 20).

Humans should grow with age. However, he must receive the grace of wisdom and knowledge that comes from God in order for a person to become a mature person who must live the right way and go on the right path. There, he can realize truth and untruth, good and evil, and distinguish between what is physical and what is spirit, so that he can live a life like a human being. Therefore, we wish that the grace of wisdom and knowledge of the Lord may abound more abundantly.

 

2. Evil is a child

This means pure faith unstained by sin and humble humility. Although all human beings are made in God's holy image, they lose the image of God and sometimes show a hardened appearance just like an irrational beast. These are the words of the Lord one day when the disciples asked the Lord, “Who is the greatest in the kingdom of heaven?”

“Call little children, and put them among them…unless you turn and become like little children, you will never enter the kingdom of heaven. Therefore whoever humbles himself like this little child is the greatest in the kingdom of heaven” (Matthew 18:1) -4).

Please believe that God honors those who humble themselves and empty their hearts like little children. Therefore, you must become unstained by sin and a child in evil.

 

3. Tongues and Prophecy

“Tengues are signs, not for believers, but for unbelievers, but prophecy is not for unbelievers, but for believers” (verse 22).

Although they are gifts from the same Spirit, each person is different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ministry. Among them, the gift of healing is a gift given to heal the sick, so those who receive this gift can heal in the name of the Lord. In this way, the gift of tongues establishes spiritual communion with God through spiritual prayer. It was the reaction of the crowd when they saw the apostles and saints speaking in tongues as the Holy Spirit came on the day of Pentecost.

“At that time devout Jews from all the nations of the world were living in Jerusalem. When this sound was heard, a great crowd gathered together and heard the disciples speaking in their own tongues, and they were in a commotion. Why is it that we hear each of us in the language of our birth?” (Acts 2:5-8).

“It is written in the law, saying, ‘If I speak to this people with other tongues and with different lips, they will not listen’” (verse 21).

“Faith is the gift of God” (Ephesians 2:8). Thank you for giving us this faith today. Compared to tongues, prophecy is a gift that edifies everyone, not just those who believe.

“When all prophesy, unbelievers and ignorant people will come in, and they will be rebuked by all, judged by all, and the secrets of their hearts will be revealed, so they will fall down and worship God, and proclaim that God really is among you.” (24-25).

David, who sinned secretly through the rebuke of the prophet Nathan, repented, and because the Lord had said, “Before the rooster crows tonight, you will deny me three times.”

“The word of God is alive, piercing and dividing the deep marrow joints.” A living church is a living church, and a living faith that responds to the Word.

 

4. Gifts and Order

“What then, brethren, when you come together, each one has a hymn, a teaching, a revelation, a tongue, and an interpretation; do all things for the edification” (verse 26).

Those who have received gifts should be especially careful. God is not a God of chaos, He is a God of order. Elisha, who did not stop following until the moment Elijah ascended to heaven, exchanged words with Elisha just before his ascension.

“Ask what I will do with you before you take me away”

“Let the work of your Spirit be in me twice” (2 Kings 2:9).

“You ask for a difficult thing, but when you see me taken away from you, it will be done for you, but otherwise it will not be done” (2 Kings 2:10).

So is Joshua. As long as Moses was alive, God did not inspire anyone to surpass Moses, and he did not tolerate those who challenged Moses.

If any gift is not edified in the church, it obscures the glory of God and can cause side effects in the church.

“If anyone speaks in a tongue, two or three or three shall follow, and one shall interpret. These will judge, and if there is a revelation to another sitting by, let him who spoke first be silent” (27-30).

Also, we must not forget that any gift can be controlled by a person who has received it. However, when God has a special will, we should not discuss it with flesh and blood, but let it bear the fruit of the Spirit. Do not quench the Spirit. And there shouldn't be anything to worry about. Therefore, we should always pray for fullness of grace, fullness of power, and fullness of gifts.

 

5. The place of women in the church

“Women should be silent in the church, as it is in the church of all saints, for there is no permission for them to speak; but as the law says, you must obey. It is a shame, because did the word of God come from you, or did it come only to you” (34-36).

These words were not meant to belittle women with patriarchal prejudice because Paul is a man. This is because men and women should be viewed as a concept of order, not a concept of upper and lower levels. A lesson we can learn from history is that there are two women behind a famous person: a mother and a wife.

The greatest benefactor of Dr. Young-Woo Kang, who is blind, was the devoted love of his wife. He lost his sight when he was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and struggled and prayed to God to recover his sight for two years, but he did not recover. There were five female college students who came to visit, and one of them said that one of the kind female college students had become his wife.

At that time, she was the daughter of a wealthy family and was attending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nd he was a middle school student with a visual impairment, so he couldn't conceive of marriage. However, it is said that as time passed, her love deepened and, despite the opposition of her parents, they got married and got to where they are today.

Because of the devoted love of a woman, Dr. Kang Young-woo became a world-famous figure, and his sons also grew up brilliantly. The youngest son and wife studied law at a world-class university, and are working as the youngest law researcher in the US Congress and as a legal adviser to President Barack Obama.

This is an example of the most unfortunate man brought about such a remarkable change through a woman. To whom did the Lord first show his glorious resurrected body? She was the woman who broke the alabaster.

I am thankful for the grace that God has allowed the first and second morning worship services. We believe that awakened prayer is the driving force of life. Be careful not to let your faith fall into inertia. You should remember to say the prayer “Wake up the dawn” at least three times a day. Please believe that those who dedicate themselves in prayer can become great workers. Please pray a lot for the elders and pray a lot for the ordained deacons. I pray that all of us, like Priscilla and Aquila, will become saints who shine in the Book of Life. Amen

 

 

사도 중에 작은 자

고전 15:1-11

 

복음 중에 복음이라면 부활의 복음이라 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의 부활은 기독교의 진리만이 유일한 진리임을 증명해주는 것입니다. 바울은 지금까지 고린도 교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를 지적하고 또 여러 가지 은사를 다룬 후에 이제는 그리스도 부활의 진리에 관해 말씀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우리가 먼저 기억해야 할 것은 이 부활의 사건이 은밀한 중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많은 증인들이 있다는 것입니다. 또 육신으로 오신 주님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았으나 부활하신 주님께서는 모든 것을 초월하신다는 것입니다. 감사한 일은 주님께서 부활하셨기 때문에 우리에게도 부활의 소망이 있으며, 그리스도의 영광이 곧 우리의 영광이 되신다는 것입니다.

“주께서 호령과 천사장의 소리와 하나님의 나팔로 친히 하늘로 좇아 강림하시리니 그리스도 안에서 죽은 자들이 먼저 일어나고 그 후에 우리 살아남은 자도 그들과 함께 구름 속으로 끌어올려 공중에서 주를 영접하게 하시리니 그리하여 우리가 항상 주와 함께 있으리라”(살전4:16-17).

“보라 내가 너희에게 비밀을 말하노니 우리가 다 잠잘 것이 아니요 마지막 나팔에 순식간에 홀연히 다 변화하리니”(고전15:51).

 

1. 영생에 이르는 믿음

복음에서 그리스도의 부활을 제한다면 이는 참된 복음이라 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사도들이 전하는 복음의 핵심은 언제나 그리스도 부활에 있었습니다.

“형제들아 내가 너희에게 전한 복음을 너희로 알게 하노니 이는 너희가 받은 것이요 또 그 가운데 선 것이라 너희가 만일 나의 전한 그 말을 굳게 지키고 헛되이 믿지 아니하였으면 이로 말미암아 구원을 얻으리라”(1-2).

여기서 유의할 것은 이것은 이미 받은 복음이요 또 그 믿음 가운데 서 있다 할지라도 동일한 복음을 또 다시 전해야 할 것은 복음은 믿는 자에게 생명이 되는 영의 양식이기 때문입니다. 연세가 높은 분들은 건강한 것 같아도 곡기가 끊어지면 속히 운명합니다. 사실 죽음의 문제는 젊은 사람, 어린아이라도 차이가 없습니다. 무엇을 우리에게 교훈해 주고 있습니까? 마지막 심판도 멀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어떤 분은 전화 심방을 하면 “내가 모두 알아서 할 것이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하는 분도 있습니다. 고맙지요. 그러나 영혼이 핍절하면 우리의 믿음도 약해지는 것입니다.

“종말로 나의 형제들아 주 안에서 기뻐하라 너희에게 같은 말을 쓰는 것이 내게는 수고로움이 없고 너희에게는 안전하니라”(빌3:1).

믿음은 복음을 들음으로 성장합니다. 중요한 것은 그리스도의 부활이 나의 부활이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음부에 떨어진 홍포 입은 부자에게 낙원이 위로가 될 수 없다면 그리스도 밖에 있는 자들도 마찬가지입니다.

 

2. 성경대로 이루어진 부활

“내가 받은 것을 먼저 너희에게 전하였노니 이는 성경대로 그리스도께서 우리 죄를 위하여 죽으시고 장사 지낸 바 되었다가 성경대로 사흘 만에 다시 살아나사”(3-4).

육신으로 오신 주님도 성경대로 오셨습니다. 빌립이 나다나엘에게 전한 복음입니다.

“모세가 율법에 기록하였고 여러 선지자가 기록한 그이를 우리가 만났으니 요셉의 아들 나사렛 예수니라”(요1:45).

성경에는 태어나기 전부터 이삭과 삼손, 세례요한과 같이 예언으로 온 인물이 있습니다. 그런 사람들은 특별한 임무와 사명을 받아 태어난 자들입니다. 우리는 그들처럼 예언에 의해 태어난 사람이 아니라 생육하고 번영하라 하신 일반 법칙으로 났지만 선택받은 하나님의 자녀요 일꾼임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너희가 나를 택한 것이 아니요 내가 너희를 택하여 세웠나니”(요15:16).

주님은 메시아로 세상에 오셨습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의 생애를 통해 “선지자의 예언을 이루려 함이라”하신 말씀을 깨달아야 합니다. 어떤 면에서는 각본에 의해 등장한 인물로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것은 진리가 될 수 없지만 하나님의 뜻은 진리입니다. 그러므로 주님께서는 하나님의 뜻에 복종하여 세상에 오신 것입니다.

“너의 안에 이 마음을 품으라 곧 그리스도 예수의 마음이니 그는 근본 하나님의 본체시나 하나님과 동등 됨을 취할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시고 오히려 자기를 비어 종의 형체를 가져 사람들과 같이 되었고 사람의 모양으로 나타나셨으매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복종하셨으니 곧 십자가에 죽으심이라”(빌2:5-8).

 

3. 부활의 증인

바울은 본문에서 부활의 증인들을 모두 언급하지는 않으나 횟수와 숫자를 보아서 그리스도의 부활이 역사적인 사건임을 증명하기에 충분합니다.

“게바에게 보이시고 후에 열두 제자에게와 그 후에 오백여 형제에게 일시에 보이셨나니 그 중에 지금까지 태반이나 살아있고 어떤 이는 잠들었으며 그 후에 야고보에게 보이셨으며 그 후에 모든 사도에게와 맨 나중에 만삭되지 못하여 난 자 같은 내게도 보이셨느니라”(5-8).

여기서 깨달아야 할 것이 있습니다.

1) 원수에게는 보이지 않으셨다는 것입니다.

인간적인 생각에서라면 바리새인들과 그를 심문하던 제사장들에게 한번 보이셨으면 세상이 어떻게 되었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나 백보좌 심판 때에는 원수들에게도 나타내 보이실 것입니다.

“나의 계명을 지키는 자라야 나를 사랑하는 자니 나를 사랑하는 자는 내 아버지께 사랑을 받을 것이요 나도 그를 사랑하여 그에게 나를 나타내리라”(요14:21).

2) 택함을 받은 자 즉 사랑하는 자에게 나타나셨습니다.

귀중한 선물은 아무에게나 주는 것이 아니라 특별한 관계에 있는 사람에게만 주고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여러분! 그리스도 부활이 믿어지십니까? 나를 특별히 사랑하사 이 믿음의 선물을 주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시기 바랍니다.

3) 시공을 초월하는 분으로 등장하셨습니다.

“너희에게 평강이 있을지어다”(요20:19, 26).

제자들에게 나타나신 주님께서는 이제 나귀를 이용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또 사십일 동안 제자들과 함께 하셨으나 그동안 어디에서도 숙식을 함께 하신 흔적을 찾아볼 수 없는 것은 시공을 초월하신 몸으로 부활하셨기 때문입니다. 그리스도의 부활이 불원간 우리의 부활이 되어 우리도 영원한 영광에 이를 것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4. 바울의 겸손

1) 만삭되지 못하여 태어난 자

이는 달을 태우지 못하여 모자라게 태어났다는 의미입니다. 곡식이 덜 익어 수확된 것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씀드리면 자기는 인간으로서 어디가 모자라게 태어난 자와 같다는 고백입니다. 일찍 그가 진리를 대적할 때는 이런 겸손이 없었습니다. 오히려 자신을 대단한 인물로 생각하고 살았습니다. 그러나 부활하신 그리스도 예수를 만난 후 그 앞에서는 자신이 너무도 미미한 존재임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우리는 순간이라도 멸망 받아 마땅한 자로서 죄인 된 근본을 망각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2) 사도 중에 지극히 작은 자

“유명하다는 이들 중에 (본래 어떤 이들이든지 내게 상관이 없으며 하나님은 사람의 외모를 취하지 아니하시나니) 저 유명한 이들은 내게 더하여 준 것이 없고”(갈2:6).

그러면서도 낮아진 바울의 모습을 보게 되는데 이는 부활하신 그리스도의 영광 앞에 자신의 영광이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밤하늘의 별들이 밝은 태양 아래서는 사라지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내게 자랑할 것이 있습니까? 부활하신 주님 앞에서 겸손한 사람이 되시기 소원합니다.

 

5. 두 가지 고백

1) 나의 나 됨의 은혜

미국 대통령 부쉬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엘 고어와 대통령 선거로 한참 경쟁이 벌어지고 있었을 때 그의 보좌관으로부터 권유가 있었습니다.

“유세 때 될 수 있으면 하나님의 소리를 적게 하라 유권자의 인기가 떨어진다”고 하자.

“나는 이 땅에 하늘나라를 이루기 위해 나왔기 때문에 그럴 수 없다. 만일 떨어지면 NBA 자격이 있으니 떨어지는 것도 하나님의 뜻으로 받아들이겠다”고 하여 더 인기가 더 높아졌다고 합니다. 또 하루는 기자의 질문이 있었습니다.

“당신이 세상에서 제일 존중하는 사람이 있다면 누구를 들 수 있습니까?” 하였을 때 서슴치 않고 “Jesus Christ. He has change me and my life." ”예수 그리스도, 그는 나를 변화시킨 분이다”라고 했습니다.

두 번째 질문에 “믿으면 천국가고 불신자는 지옥에 간다는 것이 보수층의 믿음인데 당신의 신앙관은 어떠합니까?” 하자,

“Ask God.” “그것은 하나님께 물어보시오. 구원하고 안 하는 것은 나의 소관이 아닙니다. 그렇지만 예수를 믿기 때문에 사후에 천국에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 내 신앙이라”고 하였습니다.

“나의 나 된 것은 하나님의 은혜”라는 바울의 고백이 우리의 고백이 되기를 소원합니다.

2) 더 많이 수고한 은혜

“내게 주신 그의 은혜가 헛되지 아니하여 내가 모든 사도보다 더 많이 수고하였으나 내가 아니요 오직 나와 함께 하신 하나님의 은혜로라”(10절).

얼마나 마음 뜨거워지는 고백입니까? 이러한 믿음의 사람 자기의은 자기 공적을 내세우지 아니하고 도리어 십자가를 지고 주님을 따르는 것이 영광이 아닐 수 없는 것입니다.

“십자가의 도가 멸망하는 자들에게는 미련한 것이요 구원을 얻는 우리에게는 하나님의 능력이라”(고전1:18).

하나님의 능력 힘입기를 소원하십니까?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나도 지고 주님을 따르는 성도들이 되시기 소원합니다. 아 멘

 

 

 

 

 

 

The little one among the apostles

1 Corinthians 15:1-11

 

If it is the gospel among the gospels, it can be called the gospel of the resurrection. Moreover, the resurrection of Christ proves that the truth of Christianity is the only truth. After pointing out the problems that were occurring in the church in Corinth and dealing with various gifts, Paul now speaks about the truth of the resurrection of Christ. The first thing we need to remember here is that this resurrection event did not take place in secret, but there are many witnesses. Also, the Lord who came in the flesh was limited by time and space, but the risen Lord transcends all things. What we are thankful for is that because the Lord is resurrected, we also have the hope of resurrection, and the glory of Christ becomes our glory.

“For the Lord Himself will descend from heaven with a shout, with the voice of the archangel and with the trumpet of God; and the dead in Christ will rise first, and then we who are alive and remain will be caught up together with them in the clouds to meet the Lord in the air, so that we may always with the Lord” (1 Thessalonians 4:16-17).

“Behold, I tell you a mystery, we will not all sleep, but at the last trumpet we will all be changed in an instant” (1 Corinthians 15:51).

 

1. Faith to Eternal Life

If we exclude the resurrection of Christ from the gospel, it cannot be said to be the true gospel. Therefore, the core of the gospel preached by the apostles has always been in the resurrection of Christ.

“Brothers, I make known to you the gospel that I have preached to you, which you received and stand in the midst of it.

Note here that this is the gospel you have already received, and even if you are standing in that faith, you must preach the same gospel again because the gospel is the food of the spirit that gives life to those who believe. Older people seem healthy, but if they lose their grain, they quickly die. In fact, the problem of death makes no difference whether it is a young person or a child. What is it teaching us? You should know that the final judgment is not far away.

Some people say, "Don't worry, I'll take care of everything for you." Thank you. But when our souls are lacking, our faith is also weakened.

“Finally, my brethren, rejoice in the Lord, for it is no trouble for me to write the same thing to you, and it is safe for you” (Philippians 3:1).

Faith grows by hearing the gospel.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resurrection of Christ must be my resurrection. If paradise cannot comfort the rich man in the scarlet robe that has fallen into hell, neither can those outside Christ.

 

2. Resurrection made according to the Bible

“I first reported to you what I received, because Christ died for our sins according to the scriptures, and was buried, and rose again the third day according to the scriptures” (3-4).

The Lord who came in the flesh also came according to the Bible. This is the gospel Philip preached to Nathanael.

“We have found him, whom Moses wrote in the law, and which the prophets wrote, Jesus of Nazareth, the son of Joseph” (John 1:45).

In the Bible, there are people who came to prophecy before they were born, like Isaac, Samson, and John the Baptist. Such people are born with a special mission and mission. Please believe that we are not born by prophecy like them, but are chosen children and servants of God even though we are born according to the general rule of being fruitful and prosperous.

“You did not choose me, but I chose you and appointed you” (John 15:16).

The Lord came into the world as the Messiah. Therefore, through the life of Christ, he must realize the words “that the prophecies of the prophets may be fulfilled”. In some ways, you can think of it as a character who is portrayed by a screenplay. However, what made by man cannot be the truth, but the will of God is the truth. Therefore, the Lord came into the world in obedience to the will of God.

“Have this mind in you, which was also in Christ Jesus, who, being in the form of God, did not regard equality with God as robbery, but emptied himself, taking the form of a servant, being made in human form, and being found in human form, humbled him and became obedient to the point of death, even the death of a cross” (Philippians 2:5-8).

 

3. Witnesses of the Resurrection

Although Paul does not mention all the witnesses of the resurrection in the text, the number and number are sufficient to prove that the resurrection of Christ is a historical event.

“He appeared to Cephas, and later to the twelve, and then to more than five hundred brothers at one time, of whom most of them are still alive, and some have fallen asleep, and after that he appeared to James, and then to all the apostles, and lastly to all the apostles, and lastly to the unborn child. He has also appeared to me as a child” (5-8).

Here's something to realize.

1) It means that he was invisible to the enemy.

From a human point of view, I wonder what the world would have been like if he had once been seen by the Pharisees and the priests who questioned him. But at the time of the Great White Throne Judgment, He will also be revealed to his enemies.

“He who keeps my commandments is the one who loves me. He who loves me will be loved by my Father, and I will love him and reveal myself to him” (John 14:21).

2) He appeared to the elect, that is, to the loved one.

A precious gift is not given to anyone, but can only be given or given to someone in a special relationship.

everyone! Do you believe in the resurrection of Christ? Please give glory to God who loved me especially and gave me this gift of faith.

3) You appeared as a person who transcends time and space.

“Peace be with you” (John 20:19, 26).

The Lord, who appeared to his disciples, no longer had to use a donkey. He was also with his disciples for forty days, but there is no trace of living and eating together anywhere during that time because he was resurrected with a body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Please believe that the resurrection of Christ will become our resurrection forever, and that we too will reach eternal glory.

 

4. Paul's Humility

1) Those who were born prematurely

This means that they were born short because they could not burn the moon. It can be said that the grain is unripe and is harvested. In other words, it is a confession that one's self as a human being is like someone who was born lacking somewhere. He had no such humility when he was early against the truth. Rather, he thought of himself as a great person and lived his life. But after meeting the resurrected Christ Jesus, he was forced to confess that he was a very insignificant existence in front of him. We should not forget the fundAmentals of being a sinner, even for a moment, as those who deserve to be destroyed.

2) The least of the apostles

“Among those who are famous (I do not care who they are, God is no respecter of people), those who are famous have added nothing to me” (Galatians 2:6).

Still, we see the lowly figure of Paul, because his glory disappears before the glory of the risen Christ. It's like the stars in the night sky disappear under the bright sun. Do I have anything to brag about? I want you to be humble before the risen Lord.

 

5. Two Confessions

1) The grace of being me

This is the story of President Bush. When Al Gore was in a long run for the presidential election, he got an invitation from his aide.

Let's say, "When possible, make the voice of God as little as possible during the campaign, and the popularity of the voters will drop."

“I cannot do that because I came to this earth to establish the kingdom of heaven. If I fall, I have NBA qualifications, so I will accept it as God's will." Another day, a reporter asked a question.

“If there was a person you respect the most in the world, who would you name it?” Without hesitation, he said, “Jesus Christ. He has changed me and my life.” “Jesus Christ, He has changed me.”

To the second question, “If you believe, you will go to heaven and unbelievers will go to hell. What is your view of faith?” lets do it,

“Ask God.” “Ask God about it. It is not my business to save or not. However, my faith is that I can enter the kingdom of heaven after death because I believe in Jesus.”

We hope that Paul's confession, "I am what I am, is by the grace of God" becomes our confession.

2) Grace for more hard work

“His grace to me was not in vain; I labored more than all the apostles, but it was not me, but the grace of God that was with me” (verse 10).

How heartwarming is this confession? It is an honor for a person of this kind of faith to take up the cross and follow the Lord without promoting his own merits.

“For the message of the cross is foolishness to those who are perishing, but to us who are being saved it is the power of God” (1 Corinthians 1:18).

Do you want to be empowered by God's power? I pray that you will take up the cross of Christ and become believers who follow the Lord. Amen

 

 

죽은 자의 부활

고전 15: 12-19

 

진리는 두 가지로 말할 수 있는데 하나는 자연의 진리요, 또 하나는 영생의 진리입니다. 자연의 진리는 우주 만물의 창조와 함께 부여된 자연의 질서 곧 자연의 법으로서 이것은 과학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영생의 진리는 인간의 이성과 과학으로 밝힐 수 없는 진리 곧 영생의 법입니다.

자유주의 신학자와 한 청년이 주고받은 이야기입니다. 하루는 청년이 성경을 읽으며 고개를 끄덕이는 것을 보고 사유를 물었습니다.

“하나님께서 홍해를 가르시고 이스라엘 백성을 구원하셨다는 말씀에 감동이 되어서 그렇습니다.”

“청년! 원문에는 홍해가 아니라 갈대 바다일세 그러므로 이스라엘 백성들은 무릎까지 차는 갈대밭을 건넌 셈이지”

“할렐루야! 하나님께서 무릎까지 밖에 차지 않는 갈대밭에서 애굽 군대를 전멸시켰으니 이것이야말로 하나님의 기적이 아닙니까?”

여기서 그 신학자는 입을 닫고 말았습니다. 구원의 진리를 인간의 이성으로는 알 수 없는 것입니다.

“십자가의 도가 멸망하는 자들에게는 미련한 것이요 구원을 얻는 우리에게는 하나님의 능력이라 기록된바 내가 지혜 있는 자들의 지혜를 멸하고 총명한 자들의 총명을 폐하리라”(고전1:18-19).

 

1. 부활의 진리를 불신하는 자들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셨다 전파되었거늘 너희 중에서 어떤 이들은 어찌하여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이 없다 하느냐”(12절).

부활이 없다면 기독교의 복음은 구원에 이르게 할 수 없는 허위로서 속임수가 될 것입니다.

“만일 죽은 자의 부활이 없으면 그리스도도 다시 살지 못하셨으리라 그리스도께서 만일 다시 살지 못하셨으면 우리의 전파하는 것도 헛것이요 또 너희 믿음도 헛것이며 또 우리가 하나님의 거짓 증인으로 발견되리니 우리가 하나님이 그리스도를 다시 살리셨다고 증거하였음이라 만일 죽은 자가 다시 사는 것이 없으면 하나님이 그리스도를 다시 살리시지 아니하셨으리라”(13-15).

그리스도의 부활은 엄연한 역사적인 사건입니다. 이렇게도 확실한 부활의 진리가 믿어지지 않는다는 것보다 불행한 일은 없을 줄 압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부활의 신앙을 가지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겠습니까?

1)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만나야 합니다.

“태초부터 있는 생명의 말씀에 관하여는 우리가 들은 바요 눈으로 본 바요 주목하고 우리 손으로 만진 바라”(요일서1:1).

부활하신 주님께서 엠마오로 행하던 두 제자에게 나타나신 사건입니다.

“너희가 길 가면서 서로 주고받고 하는 이야기가 무엇이냐?”

“당신이 예루살렘에 우거하면서 근일 거기서 된 일을 홀로 알지 못하느뇨... 나사렛 예수의 일이니 그는 하나님과 모든 백성 앞에서 말과 일에 능하신 선지자여늘 우리 대제사장들과 관원들이 사형 판결에 넘겨주어 십자가에 못박았느니라”

“미련하고 선지자들의 말한 모든 것을 마음에 더디 믿는 자들이여 그리스도가 이런 고난을 받고 자기의 영광에 들어가야 할 것이 아니냐 하시고 이에 모세와 및 모든 선지자의 글로 시작하여 모든 성경에 쓴 바 자기에 관한 것을 자세히 설명하시니라”

“그들이 서로 말하되 길에서 우리에게 말씀하시고 우리에게 성경을 풀어주실 때에 우리 속에서 마음이 뜨겁지 아니하더냐 하고 곧 그 시로 일어나 예루살렘에 돌아가 보니 열한 사도와 및 그와 함께 한 자들이 모여 있어 말하기를 주께서 과연 살아나시고 시몬에게 나타나셨다 하는지라 두 사람도 길에서 된 일과 예수께서 떡을 떼심으로 자기들에게 알려지신 것을 말하더라”(눅24:17-20, 25-27, 32-35).

다메섹 도상에서 변화된 사울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들은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만남으로 실의에 빠졌던 발길이 돌아서게 되었고 또 진리를 대적하던 발길은 증인의 삶으로 변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2) 성령을 받아야 합니다.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알게 하노니 하나님의 영으로 말하는 자는 누구든지 예수를 저주할 자라 하지 않고 또 성령으로 아니하고는 누구든지 예수를 주시라 할 수 없느니라”(고전12:3).

“너희는 다시 무서워하는 종의 영을 받지 아니하였고 양자의 영을 받았으므로 아바 아버지라 부르짖느니라 성령이 친히 우리 영으로 더불어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인 것을 증거하시나니”(롬8:15-16).

“예수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이의 영이 너희 안에 거하시면 그리스도 예수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이가 너희 안에 거하시는 그의 영으로 말미암아 너희 죽을 몸도 살리시리라”(롬8:11).

여러분! 성령을 받았습니까? 은혜 베푸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시기 바랍니다. 은혜를 힘입은 자는 그 안에 그리스도의 생명이 있으므로 영생 얻은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더욱 큰 은혜를 사모해야 합니다. 어느 때에 성령이 임하시는지 보십시오.

(1) 말씀을 들을 때 임하십니다.

초대교회 베드로의 설교를 듣고 일어난 성령의 역사입니다.

“그들이 이 말을 듣고 마음에 찔려 베드로와 다른 사도들에게 물어 가로되 형제들아 우리가 어찌할꼬 하거늘 베드로가 가로되 너희가 회개하여 각각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죄 사함을 얻으라 그리하면 성령을 선물로 받으리니 이 약속은 너희와 너희 자녀와 모든 먼데 사람 곧 주 우리 하나님이 얼마든지 부르시는 자들에게 하신 것이라...그 말을 받는 사람들은 세례를 받으매 이날에 제자의 수가 삼천 명이나 더하더라”(행2:37-39, 41).

(2) 기도할 때 임하십니다.

우리의 자랑은 새벽기도입니다. 새벽을 깨워서 기도하게 하시는 주님께 감사를 드리고 또 더욱 기도에 힘쓰는 사람이 되도록 해야 합니다.

“너희는 내게 부르짖으며 와서 내게 기도하면 내가 너희를 들을 것이요 너희가 전심으로 나를 찾고 찾으면 나를 만나리라”(렘29:12-13).

“빌기를 다하매 모인 곳이 진동하더니 무리가 다 성령이 충만하여 담대히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니라”(행4:31).

 

2. 그리스도의 부활이 없다면

바울은 변증법적으로 그리스도의 부활을 증거하는 중에 만일 “그리스도께서 다시 사신 것이 없으면”하고 가정법을 쓰고 있습니다.

여기서 먼저 생각해야 할 것은 인간은 신 불신을 막론하고 무덤에서 종지부를 내리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만일 죽은 자가 다시 사는 것이 없으면 그리스도도 다시 사신 것이 없었을 터이요”(16절).

모든 사람은 육신의 장막을 벗어나는 그 날에 생명의 부활과 심판의 부활로 나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이를 기이히 여기지 말라 무덤 속에 있는 자가 다 그의 음성을 들을 때가 오나니 선한 일을 행한 자는 생명의 부활로, 악한 일을 행한 자는 심판의 부활로 나오리라”(요5:28-29).

“이 첫째 부활에 참여하는 자들은 복이 있고 거룩하도다 둘째 사망이 그들을 다스리는 권세가 없고”(계20:6).

그날에 우리는 첫째 부활에 참여하는 성도들이 되어야 합니다. 바울은 이 진리를 불신하는 자들을 향해 ‘그리스도께서 다시 사신 것이 없으면’ 하고 가정법을 써서 부활의 진리를 증거하고 있습니다. 만일 그리스도의 부활이 없다면 어떻게 될까요?

1) 믿음이 헛되다고 했습니다.

사실 구원받지 못할 진리라면 누구를 믿으라고 전도할 수 있겠습니까? 그러나 기독교의 진리는 부활의 진리요, 영생의 진리입니다.

“너희는 마음에 근심하지 말라 하나님을 믿으니 또 나를 믿으라 내 아버지 집에 거할 곳이 많도다 그렇지 않으면 너희에게 일렀으리라 내가 너희를 위하여 처소를 예비하러 가노니 가서 너희를 위하여 처소를 예비하면 내가 다시 와서 너희를 내게로 영접하여 나 있는 곳에 너희도 있게 하리라”(요14:1-3).

2) 속죄의 은총을 받을 수 없습니다.

영원히 멸망 받아 마땅한 죄인이 구원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속죄의 은총을 입어야 합니다.

“나도 너를 정죄하지 아니하노니 가서 다시는 죄를 범하지 말라”(요8:11).

간음하다 현장에서 끌려온 여인에 하신 말씀입니다.

“소자야 안심하라 네 죄 사함을 받았느니라”(마9:2).

침상에 누운 채 네 사람에게 메여 온 중풍환자에게 하신 말씀을 듣고 서기관들은 속으로 “신성을 모독하도다” 하였습니다.

그들은 주님께서 죄를 사할 권세가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습니다. 주님의 받으신 고난과 흘리신 보혈이 영원히 멸망 받아 마땅한 죄악을 사해주셨다는 증거가 무엇입니까? 그리스도 부활에 있음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그리스도께서 다시 사신 것이 없으면 너희의 믿음도 헛되고 너희가 여전히 죄 가운데 있을 것이요 또한 그리스도 안에서 잠자는 자도 망하였으리니”(17-18).

3) 그리스도의 부활이 없다면 부활신앙을 가진 자가 더욱 불쌍한 자가 됩니다.

세상에는 가련하고 불쌍한 사람들이 많습니다. 가난하고 병들고 또 부모 없이 살아가는 고아나 과부들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나 이런 자들에게 소망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살아 계신 하나님의 긍휼을 더 많이 힘입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참으로 불쌍한 자는 홍포 입은 부자와 같이 세상 영화를 한 몸에 지니고 살면서도 부활의 신앙을 불신하는 자들입니다. 진리를 진리로 믿지 못하는 것이 인생의 불행이라면 거짓을 진리로 믿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만일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의 바라는 것이 다만 이생뿐이면 모든 사람 가운데 우리가 더욱 불쌍한 자리라”(19절).

그러나 기뻐하고 감사하십시오. 부활하신 그리스도께서 지금도 보혜사 성령으로 우리와 함께 하시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믿음의 선진들은 영원한 이 진리를 위해 목숨도 기쁘게 버릴 수가 있었습니다. 이 믿음 굳게 잡고 오늘도 승리하는 성도들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Resurrection of the dead

1 Corinthians 15: 12-19

 

The truth can be said in two ways. One is the truth of nature, and the other is the truth of eternal life. The truth of nature is the order of nature, the law of nature, that was given with the creation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which can be measured by science. However, the truth of eternal life is the truth that cannot be revealed by human reason and science, that is, the law of eternal life.

This is the story of a young man and a liberal theologian. One day, he saw a young man nodding his head while reading the Bible and asked why.

“I was moved by the word that God had parted the Red Sea and saved the people of Israel.”

"Youth! In the original text, it is not the Red Sea, it is a sea of ​​reeds. Therefore, the Israelites crossed a field of reeds that reached their knees.”

"Hallelujah! God annihilated the Egyptian army in a field of reeds that were only up to the knees. Isn’t this a miracle of God?”

Here the theologian shut his mouth. The truth of salvation cannot be known by human reason.

“For the message of the cross is foolishness to those who are perishing, but to us who are being saved it is the power of God. As it is written, I will destroy the wisdom of the wise,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wise” (1 Corinthians 1:18-19).

 

1. Those who do not believe in the truth of the resurrection

“If it is preached that Christ has risen from the dead, why do some among you say that there is no resurrection from the dead?” (verse 12).

Without the Resurrection, the Christian gospel would be deceitful as a falsehood that could not lead to salvation.

“If there is no resurrection of the dead, then Christ has not been raised. If Christ is not raised, then our preaching is in vain, and your faith is also in vain, and we will be found as false witnesses of God. For if the dead did not rise again, then God would not have raised up Christ” (13-15).

The resurrection of Christ is a truly historic event. I know that there is nothing more unfortunate than not believing in the sure truth of the resurrection. So, what must we do to have faith in the resurrection?

1) We must meet the risen Christ.

“As for the word of life, which was from the beginning, which we have heard, and which we have seen with our eyes, which we have looked upon and have touched with our hands” (1 John 1:1).

The resurrected Lord appeared to the two disciples on the road to Emmaus.

“What are the conversations you guys have with each other along the way?”

“You sojourned in Jerusalem, and are you not alone aware of what has happened there in recent days? This is the case of Jesus of Nazareth, who was a prophet mighty in word and deed before God and all the people, and our chief priests and rulers delivered him to be condemned to death on the cross. I nailed it.”

“O fools and slow of heart to believe all that the prophets have spoken, did not the Christ have to suffer these things and enter into his glory?” do”

“They said to one another, “Weren’t our hearts burning within us while he was talking to us on the road and opening the scriptures to us?” Immediately they got up and returned to Jerusalem. Indeed, he had risen and appeared to Simon.” They both told what had happened on the road and what was made known to them by Jesus breaking the bread” (Luke 24:17-20, 25-27, 32-35).

The same is true of Saul who was transformed on the Damascus road. When they met the resurrected Christ, they turned away from their disappointment, and the way they opposed the truth turned into the life of witnesses.

2) You must receive the Holy Spirit.

“Therefore I make it known to you that no one speaking by the Spirit of God calls Jesus accursed, and no one can say, Jesus is Lord, except by the Holy Spirit” (1 Corinthians 12:3).

“You did not receive the spirit of bondage again to fear, but because you have received the spirit of adoption, we cry, Abba, Father. The Holy Spirit Himself bears witness with our spirit that we are children of God” (Romans 8:15-16). .

“If the Spirit of him who raised Jesus from the dead dwells in you, he who raised Christ Jesus from the dead will also give life to your mortal bodies through his Spirit who dwells in you” (Romans 8:11).

everyone! Have you received the Holy Spirit? Please give glory to God who has given you grace. Those who receive grace have the life of Christ in them, so they become children of God who have eternal life. But we must long for a greater grace. See when the Holy Spirit will come.

(1) He comes when you hear the word.

This is the work of the Holy Spirit that happened after hearing Peter's sermon in the early church.

“When they heard this, they were cut to the heart and asked Peter and the other apostles, saying, “Brothers, what shall we do?” Peter said to him, “Repent and be baptized every one of you in the name of Jesus Christ for the forgiveness of your sins, and the gift of the Holy Spirit And this promise was made to you and to your children and to all distant people, to as many as the Lord our God called... ” (Acts 2:37-39, 41).

(2) He comes when we pray.

Our pride is morning prayer. We need to give thanks to the Lord for waking up in the morning to pray and to become a person who puts more effort into prayer.

“You will call upon me and come and pray to me, and I will hear you; and if you seek and seek me with all your heart, you will find me” (Jeremiah 29:12-13).

“When they had done their prayers, the place where they were assembled was shaken, and they were all filled with the Holy Spirit, and they spoke the word of God with boldness” (Acts 4:31).

 

2. Without the Resurrection of Christ

Paul dialectically testifies to the resurrection of Christ, using the subjunctive, saying, “If Christ has not been raised,” he uses the subjunctive.

The first thing to think about here is that human beings, regardless of their disbelief in God, are not putting an end to the grave.

“If the dead had not been raised, neither would Christ have been raised” (verse 16).

We must not forget that the day we leave the veil of the flesh is divided into the resurrection of life and the resurrection of judgment.

“Do not marvel at this, for the hour is coming when all who are in the tombs will hear his voice, and those who have done good will come out to a resurrection of life, and those who have done evil to a resurrection of judgment” (John 5:28-29).

“Blessed and holy are those who have part in this first resurrection; the second death has no power over them” (Revelation 20:6).

On that day, we must become the saints who participate in the first resurrection. To those who disbelieve this truth, Paul uses subjunctive methods to testify of the truth of the resurrection, saying, 'Unless Christ has risen again.' What would happen if there was no resurrection of Christ?

1) He said that his faith was futile.

In fact, if it is the truth that cannot be saved, whom can you evangelize to believe? However, the truth of Christianity is the truth of resurrection and eternal life.

“Do not let your hearts be troubled; believe in God, believe also in me. My Father’s house has many dwelling places, otherwise I would have told you. I am going to prepare a place for you. If I go and prepare a place for you, I will will come again and receive you to Me, that where I am, there you may be” (John 14:1-3).

2) You cannot receive the grace of atonement.

A sinner who deserves eternal destruction must receive the grace of atonement in order to be saved.

“Neither do I condemn you; go and sin no more” (John 8:11).

These are the words spoken to the woman who was taken from the scene of adultery.

She said, “Take heart, little one, your sins are forgiven you” (Matthew 9:2).

Lying on her bed, listening to her words to the paralytic who had been carried by four men, the scribes said to themselves, “You blaspheme.”

They did not know that the Lord had the power to forgive sins. What is the evidence that the Lord's suffering and shed blood have forgiven sins that deserve eternal destruction? Believe in Christ's resurrection.

“If Christ has not been raised, your faith is in vain, and you will still be in your sins, and those who have fallen asleep in Christ have perished” (17-18).

3) If there is no resurrection of Christ, those who have faith in the resurrection will be more pitiful.

There are many poor and pitiful people in the world. The same goes for orphans and widows who are poor, sick, and without parents. But it is not without hope for these people. Because we can draw more from the mercy of the living God. But the truly pitiful people are like the rich man in a scarlet robe, living with the glory of the world in one body, yet disbelieving in the faith of the resurrection. If not believing the truth as the truth is a misfortune in life, it is the same with believing a lie as the truth.

“If in this life our hope is only in Christ, we are of all men the most pitiful” (verse 19).

But rejoice and be grateful. Because the resurrected Christ is still with us through the Counselor, the Holy Spirit. Therefore, the forefathers of faith could gladly lay down their lives for this eternal truth. I pray that you will hold on to this faith and become victorious saints today. Amen

 

 

부활의 차서

고전 15:20-28

 

옛날이나 오늘이나 죽은 자의 부활을 부정하는 자들은 그리스도의 부활 또한 불신합니다. 그러므로 그런 자들은 영생을 유업으로 받을 수 없습니다. 기독교와 다른 종교의 차이를 살펴보면 유교나 불교에서 주장하는 신선과 극락은 영원을 사모하는 마음에서 나온 기대일 뿐 보장된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의 부활은 확실한 증거를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우리는 또다시 2002년 뜻깊은 성탄을 앞두고 있습니다. 그리스도의 탄생은 일반인들과 동일하지 않습니다. 지난 금요일 저의 자부가 병원을 다녀오더니 “아버지, 아이 사진 한 번 보세요. 그리고 속히 아이의 이름을 지어주세요. 예쁜 이름으로요.” 하며 보여주는데, 칼라와 흑백으로 나온 뱃속 아기의 사진을 보면서 ‘참 세상이 많이 좋아졌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제는 몇 달 있으면 저도 할아버지가 됩니다. 성도 중에는 목사님이 손자를 보시면 다른 아이들은 안중에 두지 않으리라는 이야기도 합니다. 저는 본래 생긴 것이 그렇게 하지 못할 것 같으니 근심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우리가 그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더라”(요1:14).

바울은 그리스도의 부활을 믿지 못하는 자들의 결과에 대해 언급한 후 본문에 와서 그리스도 부활의 적극적인 면을 다루기 시작합니다.

 

1. 부활의 첫 열매

“그러나 이제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가 되셨도다”(20절).

유의할 것은 ‘첫 열매’입니다. 곡식 중에서 맏물은 우량종으로서 농부들은 그것을 씨종자로 사용합니다. 또한 육체와 부활체의 차이입니다. 성경에는 육체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난 일들이 있는데, 그중에 나사로의 부활도 있습니다. 주님께서 마르다와 주고받은 이야기입니다.

“주께서 여기 계셨더면 내 오라비가 죽지 아니하였겠나이다 그러나 나는 이제라도 주께서 무엇이든지 하나님께 구하시는 것을 하나님이 주실 줄을 아나이다.”

“네 오라비가 다시 살리라.”

“마지막 날 부활에는 다시 살 줄을 내가 아나이다.”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 나를 믿는 자는 죽어도 살겠고 무릇 살아서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죽지 아니하리니 이것을 네가 믿느냐.”

“주여 그러하외다 주는 그리스도시요 세상에 오시는 하나님의 아들이신 줄 내가 믿나이다”(요11:21-27).

나사로의 무덤에 이르신 주님께서 “돌을 옮겨 놓으라” 하시고 하나님께 기도하신 후,

“큰 소리로 나사로야 나오라 부르시니 죽은 자가 수족을 베로 동인채로 나오는데 그 얼굴은 수건에 싸였더라 예수께서 이르시되 풀어놓아 다니게 하라 하시니라”(요11:43-44).

이 나사로는 예루살렘 성 밖에 가면 “주의 사랑하는 자, 그의 곁에서 잠들다”는 묘비와 함께 예수님의 빈 무덤 곁에 있습니다. 그런데 그리스도의 부활은 어떻습니까? 다시 무덤에 들어가야 할 육체가 아니라 영원히 죽지 않는 몸으로 부활하셨습니다.

중요한 것은 그리스도께서 부활의 첫 열매가 되셨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불원간 그리스도를 구주로 영접한 자들도 그리스도와 동일한 부활의 영광에 이르게 됨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2. 사람으로 말미암은 사망

“사망이 사람으로 말미암았으니 죽은 자의 부활도 사람으로 말미암는도다”(21절).

만일 인간이 없다면 삶과 죽음에 대한 의미가 있을까요? 모두가 자연적인 현상으로 여기게 될 것입니다. 아프리카에 국립공원에는 얼마나 많은 초식동물이 맹수에게 잡혀 먹히는지 알 수 없을 뿐 아니라 또 알려고 하지도 않습니다. 그러나 아무리 미개인이라 할지라도 사람이 짐승에게 해를 입으면 그것은 그냥 넘길 수 없는 것입니다.

사람이 없는 곳이라면 천재지변이 일어났다 할지라도 그것은 자연적인 현상이지만 그곳에 사람이 있으면 재앙이라고 합니다. 문제는 이성 없는 짐승은 사후에 심판받을 일이 없는데 인간은 있으므로 그것을 의식하고 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멸망 받을 인생을 구원하기 위해 독생자를 세상에 보내신 것입니다.

어거스틴은 말하기를 “God loves every one of us as if there were but one of us to love."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마치 이 세상에서 사랑할 사람이 나 한 사람밖에 없는 것같이 사랑하신다”고 하였습니다.

중요한 것은 이 사랑을 깨달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미국에서 일어난 일입니다. 어떤 사람이 다리 난간에 화환을 걸어놓았기에 그 연유를 물었더니 조금 전에 한 여인이 자동차에서 강아지를 안고 여기에서 투신자살을 했는데 그녀가 타고 온 자동차 안에 남긴 유서에는 ‘아무도 나를 사랑하는 자가 없어요. 이 강아지 외에는’이라고 적혀있었다고 합니다.

그녀가 하나님의 사랑을 알았다면 천하와도 바꿀 수 없는 귀중한 생명을 그렇게 포기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하나님은 나를 사랑하시므로 독생자를 세상에 보내주셨습니다. 이렇게 내 인생이 존귀한 존재임을 알았다면 마땅히 하나님 앞에서 내 할 본분과 사명의 중대함도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3. 아담 안에서 죽음과 그리스도 안에서 부활

“아담 안에서 모든 사람이 죽은 것같이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사람이 삶을 얻으리라”(22절).

이 말씀은 저에게 있어서 오랫동안 쉽게 풀리지 않았던 대목이었습니다. 물론 ‘아담의 범죄로 사망이 왔다’는 말씀은 선악과로 인해 그렇게 되었다 할지라도 아담의 범죄가 왜 후손들에게 동일하게 미쳐야 하느냐 하는 문제와 또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사람이 살게 된다는 부활의 진리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이것을 비유로 가르쳐 주신 진리가 참 감람나무와 돌 감람나무요, 또 참포도와 들포도의 비유입니다.

“여호와 하나님이 가라사대 보라 이 사람이 선악을 아는 일에 우리 중 하나같이 되었으니 그가 그 손을 들어 생명나무 실과도 따먹고 영생할까 하노라 하시고 여호와 하나님이 에덴동산에서 그 사람을 내어 보내어 그의 근본 된 토지를 갈게 하시니라 이같이 하나님이 그 사람을 쫓아내시고 에덴동산 동편에 그룹들과 두루 도는 화염검을 두어 생명나무의 길을 지키게 하시니라”(창3:22-24).

이로 말미암아 인간은 세상에 태어나면서부터 죽어야 하는 운명을 벗어날 수 없게 된 것입니다. 감사할 일은 죽어야 마땅할 죄인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영생을 유업으로 받을 수 있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혹자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모든 사람이 삶을 얻으리라’는 이 말씀을 “궁극적으로는 모든 인류가 구원받게 될 것”이라고 하는 자도 있습니다.

이것이 만인 구원설입니다. 이 말씀은 그리스도 예수를 구주로 영접하는 자에게 국한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에덴에서 축출된 아담의 후예는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로 거듭나기 전에는 어떤 도덕이나 철학으로도 구원에 이를 수 없는 것입니다. 이처럼 보혈의 능력이 무한하지만 그리스도 밖에서는 구원받을 길이 없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합니다.

 

4. 부활의 차서

이것 역시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거기 따라 영광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가인 같이 아우를 질투하여 그 영광을 쟁취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남을 나보다 낫게 여기고 섬길 줄 아는 자가 하늘나라에서 큰 자가 됨을 믿으셔야 합니다. 이것은 천국에도 불만이 있을 수 있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그러나 각각 자기 차례대로 되리니 먼저는 첫 열매인 그리스도요 다음에는 그리스도 강림하실 때에 그에게 붙은 자요 그 후에는 나중이니 저가 모든 정사와 모든 권세와 능력을 멸하시고 나라를 아버지 하나님께 바칠 때라”(23-24).

1) 먼저는 첫 열매인 그리스도요.

모든 역사는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이루어진 것입니다. 우주만물을 창조하심이 그리스도로 말미암아서요, 대속과 구원의 은총이 그리스도로 말미암아서라면, 부활의 영광도 그리스도로 말미암아서요, 영원한 영광도 그리스도 재림으로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 없이는 우리에게 소망이 없다는 사실을 믿으셔야 합니다.

2) 다음에는 그리스도 강림하실 때에 그에게 붙은 자요.

구원받는 모든 성도가 여기에 속한 자로 이들은 포도나무 가지가 나무 안에 있어야 열매를 맺을 수 있듯이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들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날이 오기 전에 더욱 충성된 믿음으로 과실을 많이 맺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도록 힘써야 합니다.

 

3) 맨 나중에 멸망 받을 원수입니다

“그 후에는 나중이니 저가 모든 정사와 모든 권세와 능력을 멸하시고 나라를 아버지 하나님께 바칠 때라 저가 모든 원수를 그 발아래 둘 때까지 불가불 왕노릇 하시리니 맨 나중에 멸망 받을 원수는 사망이니라”(24-26).

미국에는 믿는 조종사와 부조종사를 함께 탑승시키지 않는다는 이야기까지 있습니다. 주님께서 오시는 날 함께 들림을 받을까 하여서라 합니다. 물론 조크이지만 생각할 여지는 있다고 여겨집니다. 사실 주님께서 오시는 날에 안전사고를 염려할 겨를은 없을 것입니다. 순식간에 일어나는 일들이기 때문입니다. 또 그날에 세상의 일들을 생각한들 자신의 생명에 무슨 유익이 있겠습니까? 저주와 고통의 역사는 막을 내리고 영광의 새 아침이 불원간 올 것입니다. 우리 모두 주님 오시는 그 날 영광 가운데 주님을 맞을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아 멘

 

 

Book of resurrection

1 Corinthians 15:20-28

 

Those who deny the resurrection of the dead, whether in ancient times or today, also disbelieve in the resurrection of Christ. Therefore, such people cannot inherit eternal life. Looking at the difference between Christianity and other religions, the gods and paradises claimed by Confucianism and Buddhism are only expectations from the longing for eternity and are not guaranteed. But the resurrection of Christ gives us solid evidence. We are again on the verge of a meaningful Christmas in 2002. The birth of Christ is not the same as for ordinary people. Last Friday, my son-in-law visited the hospital and said, “Father, take a look at the child’s picture. And quickly name the child. A pretty name.” When I saw the picture of the baby in my womb in color and black and white, I thought, 'The world has really improved a lot'. Now, in a few months, I will become a grandfather too. Some members of the congregation also say that if the pastor sees his grandchildren, he will not care about other children. I don't think it's possible for me to do that by nature, so I don't have to worry.

“The Word became flesh and dwelt among us, and we beheld His glory, the glory as of the only begotten of the Father, full of grace and truth” (John 1:14).

After referring to the consequences of those who do not believe in Christ's resurrection, Paul begins to deal with the positive aspects of Christ's resurrection in the text.

 

1. Firstfruits of the Resurrection

“But now Christ has risen from the dead, and has become the firstfruits of them that slept” (verse 20).

It should be noted that ‘first fruits’. Among the grains, the first-born is the best variety, and farmers use it as a seed seed. It is also the difference between a physical body and a resurrected body. In the Bible, there are instances in which the body died and came back to life, including the resurrection of Lazarus. This is the story the Lord exchanged with Martha.

“If you had been here my brother would not have died, but I know now that whatever you ask of God, God will give you.”

“Your brother will rise again.”

“I know that he will rise again in the resurrection on the last day.”

“I am the resurrection and the life; whoever believes in me, even if he dies, will live; and whoever lives and believes in me will never die. Do you believe this?”

“Ouch, Lord, I believe that you are the Christ, the Son of God who is to come into the world” (John 11:21-27).

After reaching the tomb of Lazarus, the Lord said, “Remove the stone,” and prayed to God.

“He called with a loud voice, Lazarus, come out. And the dead man came out with his limbs tied with sackcloth, and his face was wrapped in a towel.

Outside the city of Jerusalem, this Lazarus is next to the empty tomb of Jesus, with a tombstone that reads, “Beloved of the Lord, sleep with him.” But what about the resurrection of Christ? He was resurrected as an immortal body, not a body that had to be put into the grave again.

The important thing is that Christ became the firstfruits of the resurrection. Therefore, please believe that those who have received Christ as their Savior will also attain the same glory of resurrection as Christ.

 

2. Death by man

“For since death came through a man, the resurrection of the dead also comes through a man” (verse 21).

If there were no humans, would there be any meaning to life and death? Everyone will see it as a natural phenomenon. We don't know, and we don't want to know, how many herbivores are caught and eaten by wild beasts in national parks in Africa. However, no matter how savage, when a person is harmed by an animal, it cannot be ignored.

If there are no people, even if a natural disaster occurs, it is a natural phenomenon, but if there are people, it is a disaster. The problem is that irrational beasts are never judged after death, but since humans exist, they must be conscious of it. Therefore, God sent His only begotten Son into the world to save those who are perishing.

Augustine said, "God loves every one of us as if there were but one of us to love."

The important thing is to realize this love. It happened in America. Someone had hung a wreath on the railing of the bridge, so I asked why. A while ago a woman committed suicide by jumping from here holding her dog in her car. . Except for this dog.”

If she had known her God's love, she wouldn't have given up so precious an irreplaceable life. Because God loves me, He sent His only begotten Son into the world. If I knew that my life was precious like this, I should not forget the importance of my duty and mission before God.

 

3. Death in Adam and Resurrection in Christ

“For as in Adam all died, so in Christ all shall be made alive” (verse 22).

This is a topic that has not been easily resolved for a long time for me. Of course, the saying that ‘death came because of Adam’s transgression’ is the same as the problem of why Adam’s transgression should extend equally to his descendants and the truth of the resurrection that all people will live in Christ. However, the truth taught in this parable is the parable of the true olive tree and the stone olive tree, and the true grapes and the wild grapes.

“Behold, this man has become like one of us, knowing good and evil, saith the LORD God, lest he stretch out his hand and take also of the tree of life, and eat from it, and live forever.” Then the LORD God sent the man out of the Garden of Eden to destroy the land from which he was born. So God drove out the man, and on the east side of the garden of Eden he placed cherubim and a flaming sword that turned every way to guard the way to the tree of life” (Genesis 3:22-24).

Because of this, human beings cannot escape the fate of dying from the moment they are born. The thing to be thankful for is that a sinner who deserves to die can inherit eternal life in Christ Jesus. Some say, “In Christ Jesus all will be made alive.” Some say, “In the end, all mankind will be saved.”

This is the theory of salvation for all.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these words are limited to those who have received Christ Jesus as their Savior. The descendants of Adam who were expelled from Eden cannot attain salvation through any moral or philosophy until they are born again by the blood of Jesus Christ. As such, although the power of the blood is infinite, we must realize that there is no way to be saved outside of Christ.

 

4. The Book of Resurrection

This is also important. Because the glory is different depending on it. However, like Cain, he is not jealous of his brother and can achieve that glory. Rather, you must believe that those who regard others as superior to themselves and know how to serve will become the greatest in the kingdom of heaven. This does not mean that heaven can be dissatisfied.

“But each one in his own turn, first the Christ the firstfruits, then those who are attached to him at the coming of Christ, and then after that, when he will destroy all principalities and all authority and power and present the kingdom to God the Father” (23). -24).

1) First, Christ, the firstfruits.

All history was made through Christ. If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is through Christ, and the grace of redemption and salvation is through Christ, then the glory of the resurrection is also through Christ, and the eternal glory comes through Christ's second coming. Therefore, we must believe that without Christ we have no hope.

2) Next, those who are attached to Christ at the coming of Christ.

All the saints who are being saved belong to this group, and these are those who are in Christ just as the branch of the vine must be in the tree to bear fruit. Therefore, before that day comes, we should strive to bring glory to God by bearing more fruit with more faithful faith.

 

3) The last enemy to be destroyed

“After that, when he destroys all principalities and all authority and power, and presents the kingdom to God the Father, he will reign unconditionally until he puts all his enemies under his feet, and the last enemy to be destroyed is death” (24-26). ).

There is even a story in the US that believes pilots and co-pilots don't ride together. It is said that on the day the Lord comes, we will be raptured together. It's a joke, of course, but I think there's room for thought. In fact, there will be no time to worry about safety accidents on the day the Lord comes. Because things happen quickly. And what good will it be to one's life if he thinks about the things of the world on that day? The history of curses and suffering will come to an end, and a new morning of glory will come. We pray that we can all meet the Lord in glory on the day of His coming.

Amen

 

 

 

 

 

 

'설교 > 강해설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한복음 2  (1) 2023.05.06
고린도전서(2)  (0) 2023.05.06
로마서  (0) 2023.05.06
사도행전  (0) 2023.05.06
요한복음 1  (0) 2023.05.06